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로운 원소 2종 발견
과학동아
l
200603
원자번호 92번인 우라늄보다 큰 합성원소로 ‘초우라늄 원소’로 불린다. 2004년 러시아와
미국
과학자들이 두 원소를 발견했다고 밝혔지만 지금까지 공식적으로 검증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초우라늄 원소인 아메리슘(Am)이 회전하는 원판에 칼슘 원자를 충돌시켜 원자번호 115번을 만들어냈다. 이 ... ...
작심삼일은 뇌 기능 탓
과학동아
l
200603
습관을 고치기 어려운 이유가 뇌에 있다고 ‘디스커버’가 2월 19일 보도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앤 그레이비엘 교수는 특정한 버릇이 있는 쥐의 뇌파를 분석해 오래된 습관과 뇌의 상관관계를 밝혀냈다.실험에 사용된 쥐는 소리가 들리면 미로 끝에서 초콜릿을 찾는 습관이 있었다. 이 쥐는 ... ...
식물을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0603
묘사가 어느 정도 옳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가장 유명한 것은 ‘ABC 모델’이다. 당시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의 메이에로비츠 교수팀은 ABC 모델을 이용해 겹꽃이 생기는 이유를 설명했다. 이 설명에 따르면 꽃받침과 꽃잎, 수술과 암술은 제각기 만들어져야 할 곳이 유전자군에 의해 조절되는데, 이 ... ...
3. 태권V 10대기술
과학동아
l
200603
공간을 줄이고 구조를 간단하게 만들 수 있다. 이 조건에 가장 부합하는 핵융합로로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구상하고 있는 미래 우주선용 엔진이 있다. NASA는 적은 양의 연료로 큰 추진력을 내는 핵융합 추진체를 현재 개발하고 있는데 이 장치는 발전기로도 사용할 수 있어 태권V의 에너지원으로 ... ...
기획1. 물 한 잔 갖고 짜게 군다?
과학동아
l
200603
물이 더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2등급에 해당된다. 일본보다 약간 낮고
미국
이나 호주와 비슷하며 중국이나 북한보다는 월등히 높다. 즉 우리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물이 부족하지 않다고 느끼는 나라 그룹에 속한다.그럼 정부는 왜 ‘물부족’을 얘기하는가. 정부의 물부족은 가뭄이 ... ...
도둑잡는 복잡계
과학동아
l
200603
망라한 학제간 연구는 꿈속에서나 가능한 일이었다.삼성경제연구원 윤영수 연구원은 “
미국
과 영국, 일본에서는 1980년대부터 사회나 경제, 정치 등 여러 가지 복잡한 세계를 분석하기 위한 노력들을 계속해 왔다”고 말한다.국내 복잡계 연구가 체계적인 모습을 갖추기 시작한 것은 지난해 말. ... ...
우리의 밤은 당신의 낮보다 밝다
과학동아
l
200603
교체해 광공해를 유발하는 상향광의 63%를 줄였고, 덤으로 전력까지 73%나 절약했다.
미국
에서는 100개 이상의 도시에서 안전하고 쾌적한 조명 환경을 만들기 위해 옥외조명 조례를 제정했다. 갓 하나만 씌워도 효과 만점한국은 아직 광공해에 대한 기본 개념이나 인식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 ...
파푸아에서 '에덴' 발견
과학동아
l
200603
바꾸어도 같은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다 달표면의 지형을 정밀 탐사하기 위해 쏘아 올린
미국
의 달표면 탐사기 1966년 8월부터 67년 8월까지 모두 5기가 발사되었다 3호기까지는 달의 적도에 대한 경각(傾角)이 작은 궤도로 발사되었고, 4 · 5호기는 경각이 큰 궤도로 진입시켜 달의 극지방도 탐사할 수 ... ...
4. 한반도 지키는 태권 거인
과학동아
l
200603
감수성을 끊임없이 자극했고 일본 과학계에 지금도 심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일본이
미국
을 따돌리고 로봇왕국이 된 것도 일본인들의 이러한 상상력을 빼고서는 설명하기가 어렵다. 어릴 적 로봇만화에 심취한 이들이 자신의 꿈을 스스로 키운 것이다.반면 우리나라는 전자산업과 IT 인프라에서 ... ...
호박에 줄그어 수박 만든다
과학동아
l
200603
주고받고 화상채팅을 하며 연구를 진행했다. 열성이다. 그게 바로 김 교수다. 그런 그가
미국
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귀국해 처음으로 의미있는 논문을 내기까지 꼬박 8년이 걸렸다. 당시에는 열성이 좀 부족했던 걸까.“박사 때는 생무기화학을 전공했어요. 하지만 한국에 와서는 나만의 영역을 ... ...
이전
583
584
585
586
587
588
589
590
5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