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과학도를 품에 안은 중립국 스위스
과학동아
l
200604
가고 싶어하던 유학생들은 어느 나라, 어느 대학을 선택해야 할지 결정이 어려워
미국
으로 발길을 돌렸다. 각 대학별로 다르게 학생들을 평가하다 보니 심지어 다른 대륙에서 유럽의 졸업장을 인정해주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그래서 시작된 것이 바로 ‘볼로냐 개혁’이다. 1994년 유럽 29개국의 ... ...
우주서 빙글빙글 초대형 바람개비
과학동아
l
200604
우리은하 같은 나선은하다.바람개비를 빙그르르 돌릴 만한 바람이 살랑대는 봄이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봄을 앞둔 지난 2월 28일 바람개비를 닮은 나선은하 M101의 허블우주망원경 사진을 공개했다. 여태까지 발표된 허블우주망원경 사진 가운데 나선은하의 진면목을 가장 세밀하게 보여주는 ... ...
인공위성 지진 예보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4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은 ‘지피에스(GPS:위성항법시스템) ’라는 말을 들어 봤지요?
미국
이 우주공간에 올려놓은 스물일곱 개의 인공위성을 이용해서 위치를 정확 하게 측정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아빠, 엄마의 차에 설치되어서 지도를 상세히 보여 주는 장치도 지피에스를 이용한 것이지요. ... ...
우리나라에서 볼 수 없는 개기일식
과학동아
l
200604
발견했다(1901)이것은 나중에 논리학·수학기초론·의미론의 동향에 큰 영향을 끼쳤다1931~
미국
의 물리학자 소립자물리학의 새로운 국면을 개척했다 76년 이 공로로 이 입자를 독립적으로 발견한 S C C 팅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궤도의 법선방향으로 향한 가속도의 성분 질점이 가속도 ... ...
PART1 컴퓨터 바이러스는 살아있다
과학동아
l
200604
바이러스가 탄생하기 전에도 사이버 생명과 비슷한 존재는 있었다. 1970년대 초
미국
국방성 네트워크에서 발견된 ‘크리퍼’(Creeper)라는 프로그램이다. 그러나 크리퍼는 자신의 코드를 복사할 뿐, 파일을 지우는 파괴 활동은 하지 않았다. 자기 복제 기능만을 갖춘 원시 핵산(DNA나 RNA)과 비슷한 ... ...
기획3. 대형망원경 기술로 핵융합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604
매우 클 것이다. 예를 들어 정밀작업을 해야 하는 로봇 중장비에 활용할 수 있다.일본이
미국
하와이 마우나케아에 건설한 스바루 천문대는 그들의 힘을 보여준다. 구경 8.2m의 대형망원경이 설치된 이 천문대에는 거의 날마다 낮에 일본인들이 방문한다. 천문대의 관측실 천장에는 일본 각지의 ... ...
명왕성의 세 위성은 형제자매
과학동아
l
200604
마지막 행성인 명왕성의 세 위성이 형제자매라는 사실이 드러났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연구팀은 허블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세 위성의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 그 색깔이 같았다고 밝혔다. 세 위성은 같은 공전 궤도면을 따라 명왕성 주위를 돌고 있다. 이것은 40억 년 전 명왕성이 자신의 크기와 ... ...
스트레스는 운동 효과 줄인다
과학동아
l
200604
뇌세포 성장은 억제됐다. 이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3월 13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미국
프린스턴대 엘리자베스 굴드 교수팀은 매일밤 쥐를 쳇바퀴에 넣어 수km를 달리도록 했다. 그 결과 여러 마리가 같이 운동한 경우 새로운 뇌세포가 많이 생겼다. 반면 혼자 뛴 경우는 비교적 뉴런이 덜 ... ...
활동적인 엄마 똑똑한 아이 낳을까
과학동아
l
200604
있다. 적어도 쥐의 경우는 그렇다.독일 막스델브뤼크센터의 겔드 켐퍼만 박사는 지난 6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서 활동적인 쥐의 새끼는 학습과 기억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해마부분의 뇌 세포가 보통 쥐보다 40% 이상 더 많다고 밝혔다.이런 뇌 발달은 모두 생후에 진행됐다. 자궁 속에 ... ...
'구글마스'로 화성의 구석구석을 본다
과학동아
l
200604
‘구글 문’에 이어 ‘구글 마스’가 등장해 화성의 구석구석을 살펴볼 수 있게 됐다.
미국
애리조나주립대의 화성우주선 그룹과 구글은 작년 여름 ‘구글 마스’(www.google.com/mars)를 만들기 위해 팀을 구성했다. 그리고 지난 3월 13일부터 일반인들이 직접 화성의 표면을 훑어볼 수 있도록 ‘구글 ... ...
이전
580
581
582
583
584
585
586
587
5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