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우리는 왜 ‘언프리티랩스타’에 열광하는가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정반대의 패턴을 보였다(왼쪽 그래프 참고). 길로리 교수는 논문에서 “이번 연구
결과
는 직접적인 접촉이 없더라도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감정이 전이될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말했다.또 다른 의견도 있다. 김상희 고려대 뇌공학과 교수는 이런 현상을 ‘대립과정이론(opponent ... ...
[Hot Issue] 막 먹은 영혜씨, 8주간 유전자 다이어트를 체험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대한 부족한 자료를 보강해 나가는 중이다. 강 대표는 “한국인 SNP와 관련된 최신 연구
결과
가 나올 때마다 이를 반영해 소비자들에게 업데이트된 다이어트 처방을 제공할 것”이라며 “유전 정보를 분석한 과정을 오픈 소스로 공개해 잘못된 부분을 외부 과학자들과 함께 수정해나갈 계획도 ... ...
강아지와의 친밀감은 옥시토신 때문?!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초대해 주인과 30분 동안 놀게 했어요. 그리고 사람과 개의 소변을 각각 분석했죠. 그
결과
옥시토신이 주인에게서는 300%, 개에게서는 130%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답니다.인간들 때문에 네가 더 약해졌단 말도 있던데? 그게 무슨 말이야? 맞는 말이에요. 혈통을 강조하는 사회 분위기 때문에 발생한 ... ...
바나나 살리기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병에 걸렸던 거예요. 게다가 농장에서는 바나나를 많이 얻기 위해 촘촘하게 심어요. 그
결과
야생에서보다 전염병이 더 빨리 퍼진답니다. 유전공학으로 바나나를 살려라!우리들의 유전자가 똑같은 게 문제였군! 그런데 내가 듣기론 요즘 기술이 워낙 좋아져서 유전자도 막 마음대로 바꿀 수 ... ...
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곳곳에 에너지가 쌓인 정도도 달라진다. 띠의 모양은 띠의 각 지점의 에너지 분포에 따른
결과
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화장실로 간 수학자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Part 2. 물거품은 매듭을 알고 있다Part 3. 벽과 바닥에 숨은 ... ...
호모 에렉투스, 요리의 비밀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일어나요. 그러면서 녹말 보풀이 일어나 감자와 기름이 맞닿는 표면적이 커져요. 그
결과
더욱 바삭바삭한 감자 튀김을 만들 수 있지요.”모던니스트 퀴진은 왜 이런 요리에 도전하는 걸까요?“요리는 예술이자 과학이에요. 모든 예술이 그렇듯이 재료와 기술에 대해 잘 알아야 멋진 작품을 만들 수 ... ...
[수학뉴스] 수학으로 푼 몸속 시계의 원리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먼저 모의실험을 하게 되면 실제로 해야 하는 실험 횟수를 줄여 전보다 쉽고 빠르게 연구
결과
를 얻을 수 있다”며 “수리생물학 연구를 진행해 생물학 실험에서 봉착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 ...
오감만족 수학 놀이터 군포수학체험관에 가다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줄어든다. 그
결과
, 곡선 위에서 공의 속도가 점점 커져서 공이 더 빨리 도착하게 된다.
결과
를 예측할 수 없는 수학의 재미여러 실험을 마친 독자기자들은 여러 가지 색깔의 실로 작품을 만드는 ‘스트링아트’와 ‘678클라인병 만들기’에도 도전했다. 스트링아트를 하려면 둘레를 따라 일정한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얻은 독성물질로 자신을 방어하는 원리를 소개하며 화학물질명과 각종 실험
결과
를 덧붙인다. 수필과 논문을 자연스레 오가는 점은 파브르의 전매특허인데, 정 박사는 그마저도 빼닮았다.정부희 곤충기는 재밌다. 먹이활동을 다루는가 하면 어느샌가 짝짓기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다. 홍날개 암컷과 ... ...
[과학뉴스] 귀성길 지긋지긋한 멀미, ‘모자’로 예방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10분 동안 쓰게 한 뒤 흔들리는 의자에 앉아 멀미가 나는 상황을 경험하게 했다.그
결과
특수 모자를 썼을 때는 쓰지 않았을 때보다 멀미를 훨씬 덜 느끼고, 어지러움 등 증상이 빨리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과가 기존의 먹는 약만큼 좋았고, 졸음 등 부작용은 오히려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 ...
이전
593
594
595
596
597
598
599
600
6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