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지구 나무 절반으로 줄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토대로 단위면적 당 나무 수를 계산해 전세계 삼림의 전체 나무 수를 추정했다. 조사 결과 현재 지구에 남아 있는 나무는 총 3조 그루. 10년 전 예상했던 수치(4000억 그루)보다는 7배 많지만 인류 문명이 시작된 1만2000년 전에 비하면 46%나 감소한 수치다. 연구진은 매년 벌목으로 19만km2의 숲과 100억 ... ...
- [과학뉴스] 유령입자가 충치 막았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불화수소가 적외선을 흡수하면서 남긴 특이한 스펙트럼을 중점적으로 관측했다. 그 결과 51개가 넘는 별에서 불소 농도가 높다는 사실은 확인했다. 보통 별에서 일어나는 핵융합으로는 만들어질 수 없는 높은 농도였다.연구팀은 초신성 폭발을 원인으로 꼽았다. 초신성이 폭발할 때 생기는 1058개가 ... ...
- [Life & Tech] 2015 이스라엘 세계과학컨퍼런스 탐방기 “과학은 가장 좋은 대화법”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만나 박테리아가 널리 전파되면, 자연스럽게 초파리 개체 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그 결과 과일 생산량도 늘릴 수 있지요.”이스라엘에 있는 동안 WSCI뿐만 아니라, 수천 년의 역사 유적과 농업, 그리고 창업강국으로서의 면모까지 다양한 매력을 만날 수 있었다. 이스라엘 땅에 분쟁이 잦아들고 ... ...
- [Hot Issue] 남의 고통은 나의 행복?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기쁨을 느낀다거나 자기보다 다른 사람을 위해 돈을 쓸 때 더 큰 행복감을 느낀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고 말했다.결국 우리가 가지고 있는 선한 속성에 좀 더 초점을 맞추고, 악한 속성을 최대한 멀리하는 것이 ‘뇌’도 ‘나’도 행복해지는 길이 아닐까 ... ...
- [Knowledge] 자존감에 집착하지 마세요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사람은 상대적으로 공격성이 낮았다.높은 자존감이 갑(甲)질과도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손님은 왕’이라며 갑질을 하는 사람을 ‘자존감이 낮은 사람’이라는 지적이 있는데 사실이 아니다. 갑질하기 좋아하는 사람은 대개 자신이 엄청 난 사람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자존감이 높다. ... ...
- “세상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학문, 컴퓨터공학”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할지가 중요해졌습니다. 데이터만 모였다고 해서 저절로 의미 있는 결과가 나오는 건 아니니까요.이선민 망망대해에서 작은 물고기를 잡는 심정이시겠네요. 어떤 순서로 그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나요?전병곤 처리 방식에 따라 조금씩 다릅니다. 일단 크게 분류한 뒤 처리하는 ... ...
- [Life & Tech] 비만? 고기보다 음료수가 문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문제가 될까. 송 교수는 “과일을 통해 당을 섭취하면 오히려 비만이 줄어든다는 연구결과가 있다”고 말했다. 과일을 먹을 때는 다양한 영양분과 섬유소를 함께 먹기 때문이다. 하지만 음료를 통해 당을 섭취하면 열량은 높고 포만감은 적어서 조금 있다가 또 음식을 먹기 마련이다. 송 교수는 ... ...
- BRIDGE. 우리를 부르는 이상한 외계행성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걸로 추정된다. 행성에 작용하는 매우 높은 압력이 내부 탄소 성분을 결정화시킨 결과다. 당장 날아가고 싶지만 거리는 좀 멀다. 4000광년 떨어진 중성자별(펄사)의 주위를 돌고 있다. ▲혜성 아니고 행성, GJ 436b해왕성 크기의 GJ 436b는 마치 혜성처럼 엄청난 가스 기류를 분출하며 이동한다. 덕분에 ... ...
- Part 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복소함수, 보험통계학, 변분법, 고차함수, 화법기하학 등 수많은 분야가 창조됐다.그 결과, 미적분은 수학의 패러다임을 바꿨다. 기하학으로 한정돼 있던 수학의 범위를 대수학으로 확장했다. 이전까지 수학자들은 종이에 삼각형을 그려놓고 연구했는데, 이제 원과 곡선을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게 ... ...
- Part 3. 적분은 미분의 반대가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정의역의 길이, 즉 측도에 해당한다. 매상은 유한한 값이므로 두 방법 모두 같은 결과를 가져오지만, 무한히 많고 나눌 수 없는 수들을 더하는 경우에는 큰 차이가 생긴다.” 미분해도 원래의 함수로 돌아오지 않는다앞의 예로 돌아가 보자. 함수 값 2에 해당하는 정의 역의 길이, 즉 무리수의 측도와 ... ...
이전5945955965975985996006016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