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비만? 고기보다 음료수가 문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문제가 될까. 송 교수는 “과일을 통해 당을 섭취하면 오히려 비만이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
가 있다”고 말했다. 과일을 먹을 때는 다양한 영양분과 섬유소를 함께 먹기 때문이다. 하지만 음료를 통해 당을 섭취하면 열량은 높고 포만감은 적어서 조금 있다가 또 음식을 먹기 마련이다. 송 교수는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잘 찢어지지 않는 플라스틱을 곰팡이가 분해하고, 심지어 먹이로 이용한다는 연구
결과
가 밝혀지면서 많은 과학들의 관심을 한몸에 받고 있답니다.#앗! 거북이 할아버지 얘기를 듣다 보니 내 몸에 벌레가 붙어 있는 줄 몰랐네. 이건 말로만 듣던 플라스틱 먹는 바다 미생물? 그럼 난 이제 더 이상 ... ...
[수학뉴스] 토성 고리의 수수께끼를 풀다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토성 고리에는 크고 작은 얼음 알갱이가 뒤섞여 있습니다. 그런데 토성의 고리가 정갈하게 보이는 이유는 뭘까요? 영국 레스터대 수학 ... 천왕성이나 해왕성도 이 법칙을 따르는지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연구
결과
는 지난 8월 5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실렸습니다 ... ...
[지식] 축구공을 꼭 닮은 풀러렌!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만들 수 있는 건축 구조를 만들기 위해 구를 닮은 다면체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그
결과
풀러는 전통적인 건축물보다 훨씬 더 적은 재료를 사용해 더 큰 공간을 얻을 수 있는 새로운 건축 양식인 지오데식 돔을 개발했다.세 사람은 새 물질의 구조가 이와 닮았다는 결론을 내리고, 건축가 풀러의 ... ...
[생활] 고흐의 진짜 해바라기를 찾아라! 명탐정 코난 화염의 해바라기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이 그림에는 여섯 사람이 나오는데 왼쪽부터 오른쪽까지 1~6번 순서로 각각 분석했지. 그
결과
1~3번은 페루지노의 그림 스타일을 나타내는 구 안에 포함됐지만, 4, 5, 6번은 구 바깥에 있었어. 심지어 세 점이 서로 멀리 떨어져 있었지. 파리드 교수는 1~3번 얼굴은 화가 본인이 그렸지만 4~6번은 다른 ... ...
[참여] 수학의 신대륙을 찾아서 신일고 Math Pioneer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수열에서는 보이지 않던 새로운 성질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생각지도 못했던
결과
였다. 3학년 권용현 학생은 “수열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니까 숫자로는 알 수 없었던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됐다”며, “이를 통해 도형의 넓이 합을 쉽게 구할 수 있는 공식도 유도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한편 ... ...
발걸음이 가벼워지는 특수 부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종아리 근육과 나란하게 용수철을 달아서 걸을 때 필요한 힘을 나눈 것이랍니다. 실험
결과
걸음을 걸을 때 사용하는 대사 에너지가 약 7.2%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어요.논문의 공동저자인 미국 노스캐롤리나대 그레고리 사위키 교수는 “앞으로 스키 부츠보다도 싼 가격으로 만들 수 있게 노력할 ... ...
눈물은 그만~! 맵지 않은 양파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만든 거예요. 그 뒤 20명의 직원이 직접 새로 개발된 양파를 만져 보고 맛을 봤어요. 그
결과
20명 모두 양파를 먹고 매운 맛을 느끼지 못했으며, 양파를 썬 후에도 눈물을 흘리지 않았답니다. 또 양파를 만진 후 손에서 사라지지 않던 양파 특유의 매운 향도 사라졌지요.하우스푸드사는 이번에 새로 ... ...
[수학뉴스] 개미 떼를 이끄는 리더 개미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적용해 개미 떼가 함께 힘을 합쳐 먹이를 옮기는 것에 대한 수학모형을 만들었습니다. 그
결과
개미가 약 20마리일 때 집까지 먹이를 옮기는 속도가 가장 빠르고 시간도 가장 적게 걸린다는 사실을 알아 냈습니다. 1~20마리 사이에서는 개미 수가 많아질수록 먹이를 옮기는 능률이 점점 높아졌습니다. ... ...
[생활] 조선시대 최고의 궁궐에서 수학데이트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수 있어요. 이때 점 C는 문루 창방에 놓여 있는 점이에요.직접 그 길이를 측정해 확인한
결과
, (밑변의 길이):(높이):(빗변의 길이)가 약 3:4:5였답니다. 또 밑변 AD와 높이 AB 사이의 각이 직각을 이룬다는 것도 알 수 있지요. 이것은 두 삼각형이 서로 닮은 직각삼각형이라는 말이겠지요? 구고현의 정리를 ... ...
이전
597
598
599
600
601
602
603
604
6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