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 우리가 작아진다면?수학동아 l2014년 08호
- 들어보자.안녕하세요. 먼저 자신을 소개해 주세요.저는 영국 에버딘에서 태어나 현재는 미국 캘리포니아에 살고 있는 데이비드 길리버라고 합니다.이런 사진들을 찍게 된 계기가 무엇인가요?저는 1997년부터 2001년까지 영국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사진을 공부했어요. 공부를 하면서 ‘디오라마’라는 ... ...
- [시사] MARVEL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에너지 스펙트럼을 볼 수 있다.Science실제로도 인공 눈을 이식한 사례가 있다. 지난 4월 미국에서 최초로 세컨드 사이트 메디컬 프로덕트(SSMP)사가 시각장애 환자에게 ‘아르고스 Ⅱ’란 인공 망막 시스템을 이식해 시각 기능 회복에 도움을 주었다. 하지만 아직은 시각 기능을 돕는 정도일 뿐, 시각 ... ...
- Part ➊ 수학자들의 올림픽, 세계수학자대회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업적을 세운 수학자에게 수여된다. 2010년 인도 세계수학자대회에서 캐나다 출신의 미국 수학자 루이스 니렌버그가 처음으로 수상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세계수학자대회의 모든 것Part ➊ 수학자들의 올림픽, 세계수학자대회Part ➋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100배 즐기기Part ➌ 한국의 ... ...
- PART2 - 군집로봇 뇌 속엔 무엇이 들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제어기법도 발전을 거듭해, 현재는 ‘선도추 종 제어기법’이 가장 많이 쓰인다. 2001년 미국 드렉셀 대 제이데브 데사이 교수(현 메릴랜드대 교수)가 철새들 의 V자 편대비행을 본 따 만들었다. 철새들은 맨 앞에 있는 리더를 중심으로 자기 앞에 보이는 다른 새들과의 상대적 위치를 유지하면서 ... ...
- ❺ 수리생물학 - 수학과 생물학 아무도 예상 못한 커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변화에 어떤 규칙성이 있는지 1958년 핀란드 수학자 미르베르히를 필두로 러시아, 프랑스, 미국의 많은 학자들이 연구에 뛰어들었습니다. 물리학자 출신의 이론생물학자 로버트 메이는 1976년 신기한 사실을 밝혀냅니다. 초기조건에 따라 동물 집단의 개체수는 일정하게 유지되기도 하고, 무작위로 ... ...
- 인류와 데니소바인의 ‘결혼’과학동아 l2014년 08호
- 현생인류 즉 호모 사피엔스가 원래 지니고 있던 유전자가 아니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 UC버클리 통합생물학과 라스무스 닐센 교수팀은 티베트인에게 고산병을 예방해주는 ‘변형 EPAS1’ 유전자가 친척인류인 ‘데니소바인’에게서 왔다는 사실을 밝히고 그 결과를 ‘네이처’ 7월 2일자에 ... ...
- 꿀꺽~ ‘나노주스’로 내시경하세요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사람만이 안다. 이런 불편함을 획기적으로 줄여줄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개발돼 화제다. 미국 뉴욕주립대 조나단 러벨 박사팀은 한 모금 마시기만 하면 내시경을 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나노주스’ 기술을 개발해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7월 6일자에 발표했다.내시경 대신 몸 ... ...
- 침팬지도 똑똑한 건, 엄마 아빠 덕?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유전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30% 정도로, 나머지는 대부분 환경의 영향이다. 그런데 최근 미국국립영장류연구소의 연구에 따르면, 침팬지는 유전의 역할이 약 절반으로 사람보다 높다. 혹시, 영화 ‘혹성탈출’의 시저도 그럴까? 가만, 두 발로 걷고 말도 타는데, 그거 사람이야, 침팬지야 ... ...
- 물고기 뱃속에 그 많은 플라스틱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인간은 1년 동안 3억t 가량 플라스틱을 생산한다. 대부분의 플라스틱은 땅 속에 묻히지만 매해 0.1% 가량의 플라스틱은 빗물에 씻겨 바다 속으로 흘 ... “매년 바다로 들어가는 플라스틱 양에 대한 새로운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6월 30일자에 실렸다 ... ...
- 무질서 속에 질서가 있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지니지 못하는 ‘비결정성 물질’에 새로운 규칙성을 부여할 이론이 제안됐다.미국 펜실베니아대 물리학과 안드레아 리우 교수는 결정학을 통해서 구조를 알지 못하는 ‘무질서한’ 물질의 구조를 설명하는 새로운 이론을 연구해 그 결과를 ‘네이처 피직스’ 7월 7일자에 발표했다. 리우 교수팀은 ... ...
이전5945955965975985996006016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