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직접교차분화, 암 뛰어넘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이동률 교수는 지난 4월 세계에서 두 번째로 복제배아줄기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미국
오리건 보건과학대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교수가 세계에서 처음으로 만들긴 했지만, 이 때는 기능세포로의 분화가 덜 된 상태인 태아의 세포로 줄기세포를 만들었다.이 교수는 분화가 완료된 성인의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2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두께는 100μm 정도. 2.4mA의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바이러스가 만든 고효율 배터리
미국
MIT 재료공학과 앤젤라 벨커 교수팀은 바이러스를 이용해 효율이 최대 3배 좋은 리튬공기전지용 나노촉매를 만드는 데 성공해 지난해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11월 13일자에 발표했다. 리튬공기전지는 ... ...
[과학뉴스] 화성 탐사에는 비행접시가 딱?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가 비행접시 모양의 새로운 비행체 ‘저밀도 초음속 감속 장치(LDSD)’를 개발해 시험비행에 나선다. SF영화에나 등장할 법한 둥그렇고 납작한 비행접시 모양은 화성대기권 진입 시 공기저항을 크게 하기 위해 특별히 디자인됐다. 화성은 대기밀도가 지구의 1 ... ...
맨틀에 제2의 바다가 있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열을 가했는데, 예상대로 링우다이트가 다른 광물로 변하면서 물을 방출했다. 이번에는
미국
대륙 아래의 지진파 관측 자료를 통해 맨틀이 실제로 녹는지도 확인했는데, 예측한 대로 전이지대 아래에서 맨틀이 녹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슈만트 교수는 “지하에 바닷물 정도의 물이 ... ...
남성미 물씬 사각턱, 이유는 ‘강펀치’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이런 턱은 얼굴을 ‘남자답게’ 만든다. 강한 남자는 왜 ‘사각턱’을 갖게 됐을까.
미국
유타대 연구진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뼈 화석에서 힌트를 얻어 그 결과를 ‘생물학 리뷰’6월 9일자에 발표했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최초의 직립 보행 인류로 두 손을 자유롭게 썼다. 연구진이 ... ...
[이석영 연세대 교수] "우리 모두는 별에서 온 그대"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좋은 경험을 했다면 충분한 거예요.”
미국
예일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이석영 교수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 캘리포니아공대(칼텍), 영국 옥스퍼드대 등 천문학에서는 최고의 직장을 다니다 연세대 교수로 부임했다. ‘사이언스’ ‘네이처’ 등에 1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며 한창 이름을 날렸다. ... ...
[만화뉴스] 공항엔 얼마나 일찍 도착하는 것이 좋을까?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떠날 때 비행기 이륙 몇 분 전에 공항에 도착해야 하는지 고민이 될 때가 있다. 이에
미국
위스콘신대 수학과 조르단 엘른버그 교수가 개인별로 최적의 공항 도착시간에 관한 연구결과를 자신의 저서 에 실어 발표했다.엘른버그 교수는 비행기를 놓치지 않기 ... ...
K-Pop 스타도 깜짝 놀란 홀로그램 콘서트의 비밀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홀로그램 콘서트의 열기는 해외에서도 뜨겁다. 지난 5월에는
미국
빌보드뮤직 시상식에서 2009년 사망한 마이클 잭슨의 홀로그램 콘서트가 열렸다. 사망한 지 이미 5년이 지난 마이클 잭슨이 실물과 똑같아 보이는 영상으로 부활해 무대 위에서 16명의 댄서들과 함께 춤을 ... ...
Part 1. 줄기세포 치료제 언제 나오나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세계 258건의 줄기세포치료제 임상연구 중 우리나라는 40건으로 2등이다. 136건으로 1등인
미국
에 비하면 30% 수준이지만 다른 나라에 비하면 월등히 많다. 그런데 이상한 점이 있다. 우리나라 환자들이 우리보다 기술이 떨어지는 일본이나 중국까지 가서 줄기세포 원정시술을 받고 있다. 규제 ... ...
날조 의혹 STAP 세포 논문, 결국 철회하기로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복수의 관계자를 인용해 “오보카타 연구주임이 논문의 다른 저자인 찰스 버캔티
미국
하버드대 교수와 논문 철회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한편 STAP 세포 논문이 게재된 ‘네이처’의 3일자 블로그에는 일본 언론 보도를 인용해 오보카타 연구주임이 쥐의 세포에서 확립했다고 주장한 STAP ... ...
이전
597
598
599
600
601
602
603
604
6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