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수학 산책 마이클 아티야의 수학 세계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오묘한 연결점에 대해 공상할 기회를 가졌다.아티야 생일 기념학회마이클 아티야는 미국의 이자도르 싱어(Isadore Singer)와 함께 증명한 ‘타원형 미분작용소 지표정리’의 중요성을 인정받아 1966년 필즈상을 수상한 수학자다. 레바논 출신 아버지와 스코틀랜드 출신 어머니 사이에서 1929년 런던에서 ... ...
- Part 2 수학으로 세운 승부 전략!수학동아 l2014년 06호
- 기록은?우리나라가 역대 월드컵에서 페널티킥을 얻은 것은 총 2회다. 한·일월드컵에서 미국과의 경기에서는 이을용이, 이탈리아와의 경기에서는 안정환이 페널티킥을 얻었지만 상대 골키퍼의 선방에 막혔다.그러나 승부차기에서는 좋은 사례를 갖고 있다. 한·일월드컵 스페인과의 8강전에서 ...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위성 크 기의 행성을 발견했다면, 비슷한 크기의 위성을 발견하 는 것도 가능하다. 미국 하버드-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센터의 데이비드 키핑 박사는 케플러우주망원경의 관측 자료를 이용해 외계 위성을 찾고 있다. 케플러우주망원경은 외계행성 이 자신이 묶여 있는 별의 주위를 돌면서 별빛을 ... ...
- 구름 형성 원인 밝혔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형성 과정이 새롭게 밝혀졌다. 미국 카네기멜론대 연구팀 등으로 구성된 ‘CLOUD’ 프로젝트 팀은 구름이 만들어지는 초기에 산화 유기물이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밝혀 ‘사이언스’ 5월 16일자에 발표했다.구름은 기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구름이 만들어지는 복잡한 과정이 ... ...
- 양치기 개는 갈매기도 잘 몰아요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분변으로 오염시켜 모래에 대장균이 자라게 하기 때문이다. 한국은 아직 사례가 없지만, 미국의 경우 2010년에 모래속 대장균 수치가 지나치게 높아 해변을 폐쇄한 사례가 있을 정도다.연구팀은 해변을 200m 간격으로 나눠 일부 구역에서만 보더콜리가 자유롭게 돌아다니도록 했다. 그 뒤 2012년과 2013년 ... ...
- 150km 강속구도 딱~, 이게 다 망막 덕분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과학자가 주도한 연구에 의해 처음 밝혀졌다.한국계 미국인인 승현준(서배스천 승)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뇌인지과학과 교수(현 프린스턴대 교수)와 김진섭 박사 연구팀은 실험쥐의 ‘망막 커넥톰(연결지도)’을 구축해 그 결과를 최근 ‘네이처’에 공개했다.빛이 눈에 들어가면 광수용체 ... ...
- 서울숲에는 얼마나 많은 생물이 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생물종을 찾아 목록을 만드는 과학참여활동이다. 1996년 미국 워싱턴DC에서 처음 시작해 미국과 호주, 캐나다, 영국 등 세계 각지의 주요 도시와 공원에서 개최되고 있다.우리나라에서는 국립수목원 등이 주최해 2010년 처음 시작됐다. 그 동안 경북 봉화, 경기 가평, 강원 대관령과 청태산 등에서 ...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380~770nm)에서 물체를 투명하게 만들어야 한다. 2011년에는 영국 버밍엄대 슈앙 장 교수팀과 미국 MIT 조지 바바스타티스 교수팀이 거의 동시에 방해석을 이용해 가시광선에서 mm 크기의 물체를 감추는 데 성공했다. 방해석은 빛의 방향에 따라 굴절률이 다른 ‘복굴절’ 물질이기 때문에, 결정축 방향만 ... ...
- [과학출판사를 만나다 1] 사이언스북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세계적인 베스트셀러다. 1983년 처음 나온 이래 500만 부 넘게 팔렸고, 미국에서는 TV 시리즈로 만들어지기까지 했다(최근 ‘코스모스2’가 내셔널지오그래픽에서 방영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현재 양장본과 칼 세이건 10주기 특별판, 두 종류가 나와 있다.해외의 유명 ... ...
- 수증기 내뿜는 ‘화난 소행성’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무척 화가 났을 때처럼 양쪽 귀에서 증기가 쉭쉭 나오는 소행성이 발견됐어요.NASA(미국항공우주국)와 ESA(유럽우주기구) 과학자들은 허셜우주망원경으로 소행성 세레스가 수증기를 내뿜는 현상을 발견했어요. 과학자들은 세레스에서 수증기가 뿜어 나오는 현상이 이 소행성에 물과 얼음이 ... ...
이전6016026036046056066076086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