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산호의 털이 만든 화려한 소용돌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가 ‘2013 비주얼라이제이션 챌린지’에서 우수한 과학 이미지를 뽑았어요. 사진은 미국 MIT(메사추세츠 공과대학교)의 환경공학자인 빈세트 페르난데즈가 레이스 산호(Pocillopora damicornis )를 찍은 작품이에요. 아래쪽에 붉은 색을 띤 부분이 산호지요. 산호 표면에 나 있는 작은 털들이 움직이는 ... ...
- 바다에 살던 연어가 고향 강 찾아오는 비결은 ‘GPS’?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사람들은 잘 알지 못하는 곳을 자동차로 찾아갈 때 위성항법장치(GPS)를 이용하지요. 미국 오리건주립대학교 나단 푸트먼 박사가 연구한 결과, 저희 연어들도 몸속에 GPS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자기장 지도’를 갖고 태어난다는 사실이 밝혀졌답니다.저희들이 먼 거리를 정확하게 여행할 수 있는 ... ...
- 스파이더맨 VS 일렉트로 대정전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4년 05호
- 불안정해져 무너질 수 있다. 이처럼 전력망에도 최적의 크기가 있다는 것이다.연구팀은 미국의 서부 지역의 1만 6000개의 발전기, 변전소, 변압기 등을 점(노드)으로 보고 각각에 연결된 전력망에서 가상의 정전을 일으킨 후, 최적의 전력망 크기를 찾아보았다. 그 결과 점(노드)이 500~700개인 전력망이 ... ...
- 수학계 최고의 스승과 제자는 누구?수학동아 l2014년 05호
- 새로운 연구소를 짓는 것을 허락했지만, 건설자금이 부족했다. 그러자 쿠란트는 직접 미국 록펠러 재단과 접촉해 약 3억 6000만 원의 지원금을 이끌어냈다. 수학 연구소 개관식에서 쿠란트는 공을 클라인에게 돌렸지만, 사실 쿠란트가 없었다면 수학 연구소의 개관은 불가능했을 것이다. 스승을 ... ...
- 김주황의 악당예찬4 - 스스로 진화하는 로봇 울트론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덕분에 가능하다. 항공기에는 이미 자동 이착륙 프로 그램이 사용되고 있다. 지난해에는 미국의 무인 전투기 ‘X-47B’가 베테랑 조종사도 어려워하는 항공모함 이착 륙을 성공시켰다.그러나 울트론의 능력은 단순히 주변의 정보 를 모아 상황판단을 하는 정도로 그치지 않 는다. 울트론의 인공지능은 ... ...
- OUTRO 악당이 세계를 정복하려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그만큼 매그니토가 팀원의 마음을 생각하고 매혹시키는 악당이었다는 의미다.지난해 미국 미시간대 스티브 코즈로우스키 교수는 NASA의 유인화성 탐사와 관련해 재미있는 자료를 발표했다. NASA는 30년 안에 화성에 인간을 보내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 때 화성에 갈 우주인은 좁은 공간 안에서 8. ... ...
- 태초에 빅뱅이 없었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국소성’을 깬 것도 문제다. 레인보우 그래비티 이론을 처음 제안한 리 스몰린 교수는 미국 과학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과의 인터뷰에서 “내가 제안했던 레인보우 그래비티 이론은 국소성의 틀 안에서 발전시켰다”라며 “국소성을 고려해 다시 계산하면 아마 이집트 연구진이 생각하지 ... ...
- 지금은 소프트로봇 시대 - 로봇이 림보도 하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모두 ‘유선’이다. 로봇처럼 유연한 배터리가 아직 상용화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미국 카네기멜론대 기계공학과 카멜 마지디 교수는 “소프트로봇이 발전하려면 전원 공급을 도와주는 새로운 재료와 에너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과연 소프트로봇은 우리에게 어떤 미래를 보여줄까. 이제 막 ... ...
- 침팬지에게도 ‘침대는 과학’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침팬지가 흙 속에 사는 병원균에 감염되는 것을 막고, 자는 동안 체온을 유지하게 돕는다.미국 인디애나대 인류학과 케빈 헌트 박사팀은 우간다의 토로-셈리키 야생보호구역에서 네스트의 소재를 조사했다. 1844개의 네스트를 조사한 결과, 이중 73.6%가 우간다강철나무(Cynometra alexandri)로 ... ...
- 술 먹는 초파리의 비밀, 뇌지도가 풀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앞으로는 초파리의 신경망과 행동의 관계를 담은 ‘뇌지도’만 보면 알게 될지도 모른다.미국 존스홉킨스대 캐리 프리브 교수팀은 초파리의 신경 섬유 1054개를 ‘광유전학(옵토제네틱스)’ 기술을 이용해 일일이 확인했다. 광유전학은 뉴런을 유전학적으로 조작해, 빛을 쬐면 뉴런이 활성화되면서 ... ...
이전6026036046056066076086096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