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터"(으)로 총 1,181건 검색되었습니다.
- 원자들이 사랑에 빠졌어요과학동아 l2012년 07호
- 형성되는 과정을 투과전자현미경으로 디테일하게 촬영했습니다. 백금 결정이 수 나노미터 크기로 자라는 모습을 또렷하게 볼 수 있죠.그런데 첫 번째 씬을 찍을 때와 비슷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백금 결정은 용액 속에서 백금 원자들이 서로 엉겨 붙으며 성장합니다. 투과전자현미경은 진공이 ... ...
- 태양전지 옷 갈아 입혀 파워 업!과학동아 l2012년 07호
- ‘4도 인쇄’ 과정을 거쳐야 한다. 하지만 4도 인쇄가 끝나도 그 두께는 1μm(마이크로미터, 1μm=100만 분의 1m) 이하다. 종이에 잉크를 칠한 것이 공정의 전부이기 때문에 무게도 가볍다. 이런 성질 때문에 외부에서는 유기물 태양전지를 가방이나 옷에 붙여 외부에서도 휴대전화를 충전할 수 있는 ... ...
- 비상~! 보이지 않는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맡거나 고기구이집에서 일하는 사람은 위험할 수 있대.◀대기오염물질 검출기인 선포토미터.마이크로플라스틱의 습격미세먼지보다는 크지만 바다를 오염시키는 작은 것들이 있어. 바로 마이크로플라스틱이야. 최근 미국 샌타바버라 캘리포니아대학교의 생태학자인 마크 브라운 박사팀은 영국, ... ...
- 식물! 푸름 그 이상의 아름다움!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알게 됐다. 그 결과, 광합성에는 두 가지 광계이 있다는 것, 이 두 가지 광계는 600nm(나노미터, 1nm는 백만 분의 1m, 광계II), 700nm(광계I) 영역대의 빛을 흡수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시작으로 광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됐으며 광계II에는 엽록소 a 말고도 엽록소 b를 포함한 ... ...
- 전기 만드는 바이러스과학동아 l2012년 06호
- nA).실험에 쓰인 바이러스는 세균을 숙주로 하는 M13박테리오파지로 길이가 880나노미터(nm), 굵기는 6.6nm다. 표면이 나선형의 단백질로 덮여 있는데 이를 누르거나 비틀면 단백질의 양쪽 끝이 각각 양(+)전기와 음(-)전기를 띠면서 전류가 흐른다.연구팀은 압전판에서 음(-)전기를 띠는 쪽 끝에 음전하 ... ...
- 차세대 연료전지 나노 기술로 상용화 앞당긴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것이 중요합니다. 여기서 ‘나노’ 기술을 끌어들여야 합니다. 백금의 지름을 1~2nm(나노미터, 1nm는 백만 분의 1m)로 잘게 쪼개면 그 안에는 백금 원자 100~200개만 들어갑니다. 알갱이가 작아질수록 표면적은 넓어지고 그만큼 반응은 커지는 것입니다.”성 교수는 수소연료전지에서 백금의 사용량을 5% ... ...
- 세균만 골라 죽이는 휴대용 플라스마 손전등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손전등의 살균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장에 기생하는 ‘장구균’을 배양시켜 25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0만 분의 1m)의 두께로 만든 뒤 5mm 떨어진 곳에서 약 5분간 플라스마를 쏴줬다. 두꺼운 생체막 속에 있는 세균은 대부분 파괴됐지만 세포는 손상되지 않았다. 코스타 오스트리코브 연방과학원 ... ...
- 바이오 전자 현미경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은 1300kV의 전압으로 전자빔을 가속시킬 수 있어 원자 사이의 간격에 해당하는 0.12nm(나노미터, 10억분의 1m) 크기도 구별할 수 있다.단백질의 모습을 찍은 사진 여러 장을 합성하고 평균 모습으로 만든 뒤, 단백질의 회절 패턴을 고려해 보정하면 3차원 구조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이처럼 초고전압 ... ...
- ‘별의 단발마’ 항성풍의 정체는과학동아 l2012년 05호
- 항성 지름의 약 2배였고, 입자의 크기는 지구의 미세먼지 수준인 반지름 약 300nm(나노미터. 10억분의 1m)였다.연구팀은 “기존에 알려졌던 것보다 입자 크기가 크다”며 “그 동안 작은 입자가 왜 강한 빛과 열에 증발하지 않는지 의문이 많았는데, 이번 연구로 해결됐다”고 밝혔다.앨버트 지즐스트라 ... ...
- 꽃집 장미는 모두 성형미인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이용해 직접 유전자를 식물세포의 핵 안으로 쏘아 넣는 장비다. DNA를 지름 0.6μm(마이크로미터, 100만 분의 1m)의 작은 금속 탄환에 붙여 고압으로 ‘캘러스’에 발사한다. 캘러스는 식물 세포를 배양한 것으로, 씨앗처럼 완전한 식물체로 성장할 수 있다. 금속 탄환이 식물세포에 박힐 때 유전자도 함께 ... ...
이전555657585960616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