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터"(으)로 총 1,181건 검색되었습니다.
-
- ‘구리실 반도체’ 더 작게, 더 빨리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방식으로 구리나노와이어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와이어의 폭은 처음에는 150nm(나노미터, 10억분의 1m)이었지만 이제는 20nm까지 줄어들었다. 보통 머리카락 두께(약 100μm)의 5000분의 1에 달하는 크기다. 물론 구리를 기판에 입히는 재료인 구리 전해 도금 용액을 개발한 것도 김 교수의 연구팀이다. ... ...
-
- 불굴의 탐사선 하야부사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오랜 세월을 기다려 온 가설이 단번에 입증됐다. 크기가 대부분 10~50μm(마이크로미터, 1μm=100만 분의 1m)로 먼지 정도에 불과한 물질에서 어떻게 이런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었을까.[지구에서 발견된 콘드라이트 운석.]동위원소비도 운석과 일치해어느 두 천체가 동일한 기원을 가졌는지 확인하는 ... ...
-
-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카메라와 가시광선 카메라, 그리고 분광기가 있다. 근적외선은 파장이 1.0~2.5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0만분의 1m)로 가시광선 파장인 0.4~0.7μm보다 긴 영역이다. 검출기는 한번 교체하는 데 3일 정도가 걸리기 때문에 만일 이때 가시광선 카메라나 분광기가 달려 있었다면 바로 관측에 들어가지는 ... ...
-
- 비닐에서 LCD까지, 미세 가공을 부탁해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연구하고 있다. 펨토초레이저는 수백 nm(나노미터, 1nm = 10-9m) 크기에서 수 μm(마이크로미터, 1μm = 10-6m) 크기의 매우 정밀한 가공이 가능해 기존의 가공 기술로는 다루기 힘든 유리, 세라믹, 폴리머 같은 물질을 가공한다. 노 실장은 펨토초레이저의 장점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레이저의 ... ...
-
-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과학동아 l2011년 10호
- 했다. 이 강연은 나노시대의 시작을 알렸다. 이후 수 cm 크기의 진공관 스위치는 수 nm(나노미터, 10억 분의 1m) 크기의 트랜지스터로 대체되면서 메가바이트(MB), 기가바이트(GB), 테라바이트(TB)의 시대로 발전해 왔다.그런데 이런 소형화 또는 반도체 소자의 집적화가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스위치가 ... ...
-
- 금속 몰아내는 고성능 플라스틱과학동아 l2011년 10호
- 2000개 뚫린 판을 통해 뽑아낸 유리섬유를 잡아당기면 가늘어진다. 지름 50~150㎛(마이크로미터, 1㎛=10-6m)의 얇은 실이 되면 물을 뿌려 굳히고 코팅한 뒤 한 데 모아 한 가닥의 끈으로 만든다. 얇은 한 가닥 끈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2000가닥의 유리섬유가 붙어 있다. 마지막으로 유리 섬유를 4.5mm단위로 ... ...
-
- 나노물질로 유도만능줄기세포 만든다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바이러스 대신 나노입자를 썼다. 우선 170nm(나노미터, 1nm=10억분의 1m) 크기의 생체 독성이 없는 나노입자를 만들고, 이 나노입자에 철 분자를 첨가했다. 음극을 띤 DNA와 결합시키기 위해서다. 유전자가 붙은 나노입자를 세포 속에 다시 넣자 역분화가 일어났다. ... ...
-
- 별과 생명체의 씨앗 우주먼지과학동아 l2011년 09호
- 0.1% 차지우주먼지(cosmic dust)는 분자가 몇 개 모여 있는 입자에서 크기가 수 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0만분의 1m)에 이르는 고체입자다. 평균적으로 봤을 때 우주에서 먼지의 밀도는 무척 희박하다. 어느 정도인가 하면 우리은하의 경우 1km3에 먼지 100개가 있다. 그래도 공간이 워낙 넓다보니 ... ...
-
- Part 2. 게놈 클럽 신분증 직접 만들어보다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요즘은 염기서열을 해독할 때 클로닝을 하지 않습니다. 박테리아 대신 1μm(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미터) 크기의 자성 구슬에 DNA를 붙여 양을 늘리죠.”DNA를 구슬에 붙이는 과정은 간단했다. 박 연구원은 “방금 뽑은 DNA에 몇 가지 시약을 넣은 후 20분을 기다리면 화학반응을 통해 자동으로 조각난 ... ...
-
- 세계에서 가장 밝은 빛 쏜다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선 자유전자레이저’라고 부르기도 한다. 빛의 밝기도 일정해 관측 효율도 높다. 수 나노미터 수준의 구조도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다. 생명과학을 연구한다면 원자 수준까지 ‘눈으로 보면서’ 연구할 수 있는 셈이다.또 하나 중요한 특징은 ‘동영상’ 관찰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구조와 함께 시간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