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식사
끼니
먹이
meal
식음
쌀
벼
d라이브러리
"
밥
"(으)로 총 818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는 기억 못해도 뇌는 기억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이런 현상은 식사 때마다 일어났다. 때로는 쟁반 왼쪽에
밥
이 놓여 있는데도 병원에서
밥
을 주지 않는다고 불평을 하기도 하고, 왼쪽에 있는 반찬을 먹지 않으면서 반찬이 너무 적다는 불평을 했다. 그렇다고 이 환자가 왼쪽에 놓인 반찬들을 싫어하기 때문에 먹지 않는 것은 아닌 듯 했다. 간병인이 ... ...
다이어트로 인체는 깍쟁이 된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더 크고 오래 간다”고 말한다. 단 짜게 먹진 말아야 한다. 반찬이 짜면 열량이 높은
밥
을 많이 먹게 돼 체중조절이 어려울 뿐 아니라 체내에서 염분을 희석시키기 위해 수분을 내보내지 않아 몸이 붓기 쉽기 때문이다.그러나 실제로 지방을 완전히 없애는 식품은 없다. 박용우 교수는 “운동하지 ... ...
여자는 쓴맛 남자는 단맛에 민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없기 때문이다. 필요에 따라 민감도 달라‘시장이 반찬’이란 말이 있다. 배가 고프면
밥
한 그릇에 김치 한 조각도 꿀맛이다. 반면 허기가 채워지면 일류 요리사가 만든 고급 요리에도 손이 가지 않는다. 말라위 말라위대 입 즈베레브 교수팀은 16명의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배가 고플 때 ... ...
밥
을 먹으면 졸린 까닭은? 위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있어야 분비되기도 하지만, 생리리듬에 맞춰 식사 때가 되면 분비되기도 한다. 따라서
밥
을 제때 먹지 않으면 음식물과 섞이지 못한 산성액이 위 안에 남는다. 반복해서 끼니를 거르면 위벽을 보호하던 점막이 산성액에 견디지 못해 깎여나가 위궤양이나 위염이 생긴다. 이것이 더 심하면 위암이 ... ...
보약 못지않은 녹황색 채소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고추장을 2:1로 섞고, 양파, 마늘, 깨, 참기름, 쪽파 등을 첨가해 맛을 낸다. 녹황색 채소에
밥
을 얹고 쌈장을 찍어 넣어 싸 먹으면 가장 건강에 좋은 음식인 셈.얼마 전 필자는 아시아 영양학자들이 모인 국제학술대회에 참가한 적이 있다. 공식행사를 마친 뒤 학자들은 ‘21세기의 건강식품은 ... ...
과학이 당신을 엿본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유출을 엄격하게 관리하도록 했다.하지만 정부안은 정보통신부와 행정자치부의
밥
그릇 싸움으로 몇달째 표류하고 있는 실정이다. 뒤늦게 열린우리당과 민주노동당이 올 상반기 중 법안을 발의할 예정이지만 여전히 풀어야할 문제들은 남아있다.새로운 감시기술을 규제하고 감독할 장치가 없다는 ... ...
소녀를 사랑한 청둥오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채원이는 우리 엄마“강아지는 목욕도 시켜 줘야 하고 챙겨 줄 게 많어, 오리는
밥
만 주면 지가 알아서 큰다니깐∼!”할머니께서 강아지 대신 오리를 사온 이유는 그렇게 특별한 것이 아니었어요. 오리는 키우면서 신경 쓸 점이 별로 없을 거라고 생각하셨던 거죠. 하지만 채원이는 달랐답니다. ... ...
7. 아인슈타인이 가장 좋아하는 유머는?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캐 바라. 한시간이 1분 같을기라. 이게 바로 상대성이라 카이.” “그라문, 갸는 그걸로
밥
벌어 묵고 사나?”아인슈타인의 연구 조수 중에는 1948~ 1949년에 일했던 헝가리 출신 존 케메니가 있었다. 아인슈타인은 자기가 즐기는 유머를 되풀이해 얘기했기 때문에 케메니는 아인슈타인이 가장 좋아하는 ... ...
부엌에서 부는 IT혁명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제빵기를 선보였다. 이 회사는 이들 제품 외에도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는 오븐과
밥
솥 등을 현재 개발 중이다. 궁극적으로 개인 기호에 맞는 조리 방식에 따라 음식을 만드는 기술을 개발한다는 계획. 조리중 손쉽게 웹사이트 검색을 하거나 요리법을 참조해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기술도 추가로 ... ...
'지하철은 훌륭한 이동 연구실'-임지순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3호
어려서부터 뭔가에 빠져들면 다른 것은 들리지 않았어요. 책을 보고 있을 때는 어머니가
밥
먹으라는 소릴 듣지 못할 정도였죠. 그렇다고 아주 안 들리는 것은 아니었지만요.”집중력. 임지순 박사의 말 속에서 들리는 한 마디는 바로 집중력이란 단어였어요. 무엇이든 포기하지 않고 끊임없이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