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복사
조사
야광
형광
복제
냉광
방열
뉴스
"
발광
"(으)로 총 675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진으로 돌아보는 허블 우주망원경 25년의 기록
2015.04.23
자리의 말머리 성운. 지구로부터 1500광년 거리에 있다. 1888년 처음 발견됐으며, 뒤쪽의
발광
성운을 가리고 있다. - NASA/ESA 제공 나비 성운으로도 불리는 NGC6302. 전갈 자리에 있으며 지구에서 3800광년 떨어져 있다. - NASA/ESA 제공 지구에서 2900만 광년 떨어진 솜브레로 은하. 은하 주위의 짙은 먼지 띠와 ... ...
[프리미엄 리포트 3] 왜 이렇게 됐나, 과학자 20명 직격 인터뷰
2015.04.20
피인용 지수가 그다지 높지 않은 물리 전문 저널에 발표됐다”고 말했다. 지난해 청색
발광
다이오드(LED)를 개발해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논문은 피인용 지수가 1.057인 ‘일본 응용물리학저널’ 등에 발표됐다. 세계 3대 저널인 네이처, 사이언스, 셀의 피인용 지수는 30~40 수준이다. 이재영 ... ...
늘어났다 줄어들며 전기 만드는 ‘스타킹 전자소재’
2015.04.15
나노자가발전기는 최대 3배까지 늘어나면서 4V의 전압을 발생시킨다. 이는 지름 5mm가량의
발광
다이오드(LED) 하나를 작동시킬 수 있는 수준이다. 또 이 나노자가발전기는 100회 이상 잡아당겨도 망가지지 않고 전기적인 성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됐다. 이 교수는 “전자피부를 비롯한 웨어러블 ... ...
‘꿈의 물질’ 2개 합쳤더니 고효율 광센서가 ‘뙇’!
2015.04.14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참여한 연구팀은 그래핀의 유연하고 투명한 성질과 최근
발광
다이오드(LED) 제작에 쓰이는 양자점을 이용한 새로운 구조의 광센서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광센서란 빛을 감지하는 센서로, 현재 상용된 실리콘 반도체 기반의 광센서는 우리가 눈으로 보는 가시광선처럼 ... ...
[SW가 미래다 2] SW 교과서 조목조목 뜯어보니
2015.04.10
- 한국과학창의재단 제공 중학교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교과서는 난도가 더 높다.
발광
다이오드(LED)와 각종 센서를 조절하는 프로그램을 직접 짜서 ‘스마트 공예품’을 만들게 한다. 실제로 지난해 소프트웨어 시범교육에 참여한 인천 계수중에서는 학생들이 LED를 제어해 원하는 색깔과 글자, ... ...
움직이는 ‘로봇 재료’가 온다
2015.04.03
인식할 수 있다. 이들 센서에 데이터가 기록되면 간단한 계산 과정을 거쳐 벽에 설치된
발광
다이오드(LED)가 작동되고 해당 부위의 색이 변한다. 산업 현장에서 쓰이는 인간형 로봇 ‘박스터(Baxter)’의 등에 로봇 피부를 이식했다. 로봇 피부는 사람이 어디에 손을 대고 있는지 위치를 인식할 수 ... ...
그래핀 넣은 플라스틱 제조 레시피 나왔다
2015.03.30
열을 전달하고 전자파를 차단하는 기능까지 갖추고 있다”며 “향후 자동차 내장재나
발광
다이오드(LED) 부품 개발 등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16일자 게재됐다. 그래핀과 CBT 입자를 섞은 뒤 열을 가해주면 그래핀 입자가 ... ...
세포 속에도 ‘도로’와 ‘트럭’이 있다
2015.03.29
톰베시 미국항공우주국(NASA) 고다드우주항공센터 박사팀은 광학적으로 제1형 초
발광
적외선 은하계로 분류되는 ‘IRAS F11119+3257’에서 X선 영역에 존재하는 강착원반 바람을 살펴 그동안의 가설을 지지하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강착원반 바람은 성간 매질로 작용해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했다 ... ...
차세대 양자점 TV 성능 3배 더 UP!
2015.03.25
전과 같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뜻이다. 황 박사는 “이번에 개발한 극치환 방식은
발광
효율을 높여줄 뿐 아니라 디스플레이장치의 수명도 이전보다 길게 만들어 준다”며 “LED 디스플레이와 작동 원리가 비슷한 태양 전지와 광센서 소자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 ...
인간이 지구를 변화시킨 지질시대 ‘인류세’
2015.03.15
간단히 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이미지화 시킨 것이다. 미국 일리노이대 연구팀은
발광
다이오드(LED)에 쓰이는 올리고페닐린(oligophenylene)과 태양전지의 소재인 올리고티오핀(oligothiopene) 등 14가지 다른 물질을 합성할 수 있는 자동화 공정을 개발해 이번 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그동안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