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복사
조사
야광
형광
복제
냉광
방열
뉴스
"
발광
"(으)로 총 675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라이팬과 휴대전화의 공통점은?
2014.12.12
11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거실로 옮겨가면 휴대전화가 눈에 들어온다. 트랜지스터와
발광
다이오드(LED), 전자결합소자(CCD) 카메라 등이 집결된 휴대전화에는 무려 21명의 노벨상 수상자의 업적이 집약돼 있다. 김선빈 국립과천과학관장은 “노벨상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 ...
한국판 스미스소니언박물관, 민자연사연구소
2014.12.04
삼성전자 전 부사장이 개인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비영리 연구소다. 어두운 조명 속에서
발광
다이오드(LED)의 불빛을 받고 있는 그의 수집품들은 광물 표본이 아닌 자연의 예술품이었다. 이 소장은 2011년 4월 사재를 털어 496㎡(약 150평) 전시 규모의 민자연사연구소를 차렸다. 자연사연구소 앞에 ... ...
퀀텀닷 대량 생산 기술 첫 개발
2014.11.19
수 있어 차세대 TV나 모니터 제품으로 인기가 높다. 퀀텀닷은
발광
다이오드(LE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태양전지, 바이오센서, 위조방지 인쇄 등 다양한 분야에 쓰일 것으로 보인다. 김덕종 한국기계연구원 나노역학연구실 박사팀은 나노소재를 기반으로 한 기능성 소자 적용 기술을 통해 ... ...
‘퀀텀닷’이 뭐길래 이렇게 뜨나
2014.11.14
최근 전자업계의 최대 화두는 ‘퀀텀닷(Quantum dot·양자점)’이다. 소니가 지난해 퀀텀닷 TV를 출시한 데 이어 삼성전자는 내년 초 퀀텀닷 TV를 공개할 것으로 전망된다. 애플은 올해 퀀텀닷 디스플레이 특허를 출원했다. 소니는 2013년 세계가전전시회(CES)에서 퀀텀닷 기술을 적용한 TV인 ‘XBR-X90 ... ...
우리가 제안한 OLED조명 기술 ‘국제표준’ 됐다
2014.11.11
필름의 모습. - 한국전자 통신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세계 처음으로 제안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조명에 관한 기술이 전기분야 국제표준화 기구인 국제 전기기술위원회(IEC)에 국제표준으로 채택됐다. OLED 기술의 일종인 아몰레드(AMOLED)를 이용해 만든 TV나 모니터 디스플레이는 ... ...
스스로 빛 내는 고효율 형광 유기
발광
소자 개발
2014.11.04
아니라 수명도 늘리는 물질도 개발할 계획”이라며 “이는 용액공정용 형광 유기
발광
소자를 상용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재료분야 권위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0월 15일자에 실렸다. ... ...
태양전지에 레드 양자점 붙였더니…
2014.10.23
014 노벨물리학상의 주인공 청색
발광
다이오드(LED). 여기서 녹색 LED가 개발됐고, 이들은 기존의 붉은 LED와 함께 LED 조명으로 모든 색을 낼 수 있는 시대를 열었다. 손동익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선임연구원. - K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전북분원 복합소재기술연구소 ... ...
스트레스와 우울증 관계 처음 밝혀졌다
2014.10.22
대응력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연구진은 세포에 나타나는
발광
현상을 ‘형광
발광
영상장치’를 이용해 영상으로 포착하는 데 성공했다. 이 장치로 3주간 하루 2시간씩 비닐에 가둬 우울증에 걸리게 만든 쥐에게 실험을 진행더니, 우울증에 걸린 쥐는 스트레스를 줬을 때 뇌에서 스트레스 회복 ... ...
이황화몰리브덴 차곡차곡 4층 쌓았더니
2014.10.21
발광
효율이 최대 4배 이상 향상됐다. 이황화몰리브덴 사이에 넣은 고분자전해질층이
발광
현상을 도왔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휘어지는 디스플레이와 초경량 전자제품에 응용할 수 있다”며 “단일층 소재에 국한됐던 연구가 돌파구를 찾았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나노분야 학술지 ... ...
‘한국판 퀴리 부인’ 찾아보니…
2014.10.17
등에 대한 국내 특허를 24건이나 보유하고 있다. 스마트폰에 많이 쓰이는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가 대표적인 유기 반도체인데, 김 교수는 이들보다 성능이 뛰어난 재료와 제조법 등을 개발해 특허 등록을 했다. 기초과학인 유기화학을 공부한 그가 기초와 응용 모두에서 성공적인 성과를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