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복사
조사
야광
형광
복제
냉광
방열
뉴스
"
발광
"(으)로 총 675건 검색되었습니다.
LED 교통신호등 수명 2배로 늘렸다
2014.10.14
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기술을 전국에서 쓰고 있는 LED(
발광
다이오드) 형 교통 신호등에 적용하면 지금보다 낮은 전력을 쓰면서도 사용기간을 두 배 이상 늘릴 수 있어 경제적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이런 신호등은 전국적으로 수 만개 이상 보급돼 있다. ... ...
“노벨상 수상자의 공통점은 ‘유쾌함’”
2014.10.14
및 화학반응연구단장의 수상 불발에 대해 아멜린 관장은 “올해 화학상을 거머쥔 청색
발광
다이오드(LED)는 1990년대 초에 등장했는데 이제야 받았다”며 “노벨상을 수상하기까지 대개 수십 년이 걸리는 만큼 앞으로 가능성이 있지 않겠냐”고 말했다. 또 그는 “한국의 ‘인촌상’이나 ... ...
[2014 노벨 물리학상] ‘빛의 혁명’ 선물한 과학자들
2014.10.07
광원(光源)을 선물한 일본 출신 과학자 3명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노벨상위원회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LED)를 최초로 개발한 아카사키 이사무 일본 메이조대 교수(85)와 아마노 히로시 나고야대 교수(54), 나카무라 슈지 미국 샌타바버라 캘리포니아대(UC샌타바버라) 교수(60)를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 ...
차세대 OLED TV, 기존 대비 3배 밝게 만드는 기술 개발
2014.10.01
있도록 해
발광
량을 늘리고, 극성용매를 써 전자의 이동을 자유롭게 만들었다. 그 결과,
발광
효율이 17.8%로 기존 대비 3배 이상 효율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 관계자는 “장시간 쓸 수 있는지 안정성 테스트를 거쳐야 겠지만 빠른 시간 안에 상용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첫 한국인 노벨 과학상 나올까
과학동아
l
2014.10.01
처럼 새로운 물질에 관한 연구들도 유력한 수상자로 예측됐다. 화학 분야에서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연구 실적이 뛰어난 ‘칭 탕’과 ‘스티븐 반 슬라이크’ 등이 거론되고 있다. 유룡 교수의 특기인 기능성 메조다공성 물질 연구자 중에선 ‘찰스 크레스지’, ‘게일런 스터키’ 같은 ... ...
‘건강한’ 그래핀 양자점 개발
2014.08.28
이는 휴대전화 화면의 최대 밝기를 넘어서는 광도다. 전 교수는 “양자점의
발광
효율은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활용하면 종잇장처럼 얇은 디스플레이는 물론 커튼 같은 유연한 물체에도 원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기술도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 ...
총천연색 AMOLED 대량 생산 비법
2014.08.25
제공 미래창조과학부는 성균관대와 AP시스템이 ‘차세대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대량생산 기술’에 대한 특허권 통상실시 기술이전계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기술이전 대가는 정액기술료 15억 원을 2015년까지 납부하는 조건이다. 저온 실리콘 결정화는 AMOLED 패널 제작의 핵심 ... ...
“술 그만 마셔요” 색깔로 알려주는 첨단 셔츠
2014.08.22
개발한 셔츠는 술에 취하면 칼라에 달린 센서가 입김 속 알코올을 감지해 어깨에 내장된
발광
다이오드(LED)를 밝힌다. 셔츠에는 이렇게 감지한 알코올 농도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기술도 포함됐다. 이 셔츠를 입고 있는 한 아무리 “안 취했다”고 우겨도 셔츠 색이 바뀌면 집으로 돌아갈 수밖에 ... ...
유리 투명전극을 LED에?
2014.08.20
주입하고 분산시키는 기술이 관건이었으나 기존 전류주입 방식은 면적이 넓어질수록
발광
특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98%의 가시광선 투과도를 갖는 질화규소 박막을 유리 투명전극을 이용해 문제를 해결했다. 기존 금속전극을 사용할 때와 비교해 전력 소모는 0.5V(볼트) 감소했고 ... ...
뇌전증의 과학
2014.07.28
상황을 연출한 것이다. 당시 사형장에 끌려간 15명 가운데 한 명은 죽음의 공포로
발광
했고 도스토예프스키도 극단적인 순간을 겪으며 깊은 정신적 충격을 받았다. 이 사건으로 러시아 문단의 총아였던 도스토예프스키는 4년간의 시베리아 강제노역과 역시 4년간의 군복무 형을 받았다. 1850년 2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