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염
고양이 수염
촉각
d라이브러리
"
촉수
"(으)로 총 60건 검색되었습니다.
여름에 보는 천체 베스트 10
과학동아
l
199808
2개의 큰 산개성단 M6과 M7이다. 위쪽의 M6은 6등급에서 10등급 사이의 별들이 곤충의
촉수
같은 V자 모양의 별무리를 이루고 있는데, 잠자리 모습과 닮았다. M7은 5-6등급의 별만도 5개나 모여있어 맨눈으로는 성운처럼 보이는데, 6인치 망원경으로 배율이 40배 정도면 플레이아데스 이중성단 만큼이나 ... ...
전갈이 뜨면 오리온은 지고
과학동아
l
199807
가장 적당한 산개성단이다. M6은 6등성에서 10등성 사이의 별들이 50여개 보인다. 곤충의
촉수
같은 V자 모양의 별무리를 이루어 잠자리 모습과 더 닮았다.M7은 메시에 천체 중 가장 남쪽에 위치한 천체로 남중고도가 서울 17도, 부산 20도에 불과하다. ‘알마게스트’에도 성운으로 기록됐을 만큼 ... ...
외계인
과학동아
l
199802
지구에 외계인이 본격적으로 발(또는
촉수
)을 딛은지 꼭 1백주년이 되는 해다. 1898년 화성인들은 엄청나게 큰 깡통을 타고 날아와서 지구에 대규모 공습을 감행했다. 영국 작가 H.G. 웰스가 '우주전쟁'에서 자세하게 묘사한 이 사상 최초의 외계인 침공부대는 지구에 대한 사전 조사를 게을리하는 ... ...
4. 바퀴벌레의 지혜터득한 로보로치
과학동아
l
199708
머리에 달린
촉수
가 근육에 보내는 전기적 신호를 찾아내는데 성공했다. 이들은 나방의
촉수
뉴런에 전극을 달아 신호를 증폭시켰다. 그리고 다음에는 페로몬을 제거한 뒤 전극을 통해 근육에 전기적 신호를 보내보았다. 그러자 나방은 이 인공 자극에도 페로몬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반응하며 ... ...
바다탐험
과학동아
l
199706
한 부류에 해당한다. 해파리도 여기에 속한다. 이 동물들은 대칭형 몸체와 가시를 가진
촉수
, 가운데 위치한 입 등을 특징으로 가지고 있다. 산호의 실제 구조는 수백, 수천개의 미시동물이 집단을 이뤄 성장하는 형태다. 이렇게 작은 산호 폴립이 모래톱을 구성한다. 이들의 작은 칼슘 껍데기들이 ... ...
생태계 천적, 자연의 무법자들
과학동아
l
199508
목초지를 불모지로 만들고 가축에 해를 입혔다.마지막 사례는 지중해를 침범한
촉수
모양의 조류(Colerpa Taxifolia)인데, 이 조류는 하루에 6㎝씩 자란다. 이 식물의 성장을 둔화시킬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40-90℃로 끓인 물을 붓거나 손으로 제거하는 것이다.많이 먹어치우고 거칠다이같은 침략자들이 ... ...
최근 국제 스파이 표적은 바이오테크놀러지
과학동아
l
199505
종결되고 세계각국의 스파이는 군사기밀에서 산업비밀, 특히 바이오테크놀러지에
촉수
를 뻗치고 있다.94년 크리스마스 일주일전,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서 두명의 남자가 체포됐다. 적혈구를 증식시키는 작용을 하는 에리스로포에틴(EPO)이라는 물질을 생산하기 위해 세포주와 제조방법을 ... ...
머리좋은 생물들
과학동아
l
199207
진귀한 부류로 두족류가 있다. 머리와 다리가 합쳐졌다는 뜻인데 그 이유는 머리로부터
촉수
가 생겨났기 때문이다. 한때 원시시대의 바다속을 누비던 두족류의 1만종중에서 7백종만이 아직도 남아있다. 두족류는 8개 혹은 그 이상의 팔이 머리를 둘러싸고 있으며 날카로운 턱안에는 먹이를 거칠게 ... ...
「누이좋고 매부좋은」 공생 이야기
과학동아
l
199110
도망쳐 나온다.이런 행동을 반복하는 동안 점차 몸전체로 시험해 본다. 이윽고 전신이
촉수
의 숲속으로 들어가도 휘말리지 않게 된다. 이러한 순화 행동은 30분에서 한시간 정도 걸리는데 이 행동을 통해 오도케우오는 특수한 피막으로 몸을 싸게 된다. 그러면 말미잘은 이것을 먹이로 인식하지 않게 ... ...
암호명 「타조알을 깨뜨려라」
과학동아
l
199107
15cm 내외다. 아름다운 주황색 바탕에 백색 띠를 두르고 있는 이 흰동가리는 말미잘의
촉수
사이를 누비고 다니기 때문에 적으로부터 보호 받을 수 있다. 이들은 먹이를 잡으면 반드시 말미잘이 있는 곳까지 와서 먹는다. 이때 먹다 남은 것은 말미잘이 먹게 된다. 말미잘은 적으로부터 흰동가리를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