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염
고양이 수염
촉각
d라이브러리
"
촉수
"(으)로 총 60건 검색되었습니다.
멸종과 생존의 긴 역사
과학동아
l
198912
여러 개체가 한데 붙어 군체(群體)를 이룬다. 또 각 개체의 입 주위에는 움직일 수 있는
촉수
(觸手)들이 나 있다.이 산호류의 화석은 캠프리아기 말엽에 나타나 처음에는 서서히 나중에는 비교적 빨리 번성한다. 하지만 오르도비스기 말엽에는 대량 멸종된다. 그후 다시 크게 흥성하다가 데본기 ... ...
PARTⅠ지구에 어떤 영향을 주나
과학동아
l
198909
1980년에 지구궤도에 올려져 수많은 태양관련정보를 지구에 전해 준 이 고참 우주선의
촉수
에 포착된 것이다. 금년 11월이면 폐기될 운명인 '솔라 맥스'의 어쩌면 마지막 봉사였다.그러나 특별히 튼튼하게 만든 '솔라 맥스'도 강력한 방사선 앞에서는 1분간 '멍청'해질 수 밖에 없었다. '솔라 맥스'를 ... ...
생물의 갖가지 형태가 갖는 의미
과학동아
l
198905
조개는 불가사리의 운동에 대한 반응을 나타낸다. 후각기관으로 작용하고 있는
촉수
를 재빨리 내밀어 불가사리의 '냄새'를 맡는다. 이어 조개는 급히 몸을 일으켜서 헤엄쳐 도망간다.여러 실험 결과, 움직이고 있는 대상물의 모양이나 색깔따위는 국자가리비를 조금도 놀라게 하지 못한다는 사실이 ... ...
바다꽃들의 대향연
과학동아
l
198810
그것은 산호가 말미잘과 같은 폴리스포어(Polyspore) 군체(群体)여서 조금만 자극해도 그만
촉수
를 오므려 버립니다. 밤의 바다생물 모양에 관심이 많아 자주 밤에 잠수를 하는데 그럴때 전등빛에 생물들이 놀라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바다 속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특수한 생물을 촬영 하는데는 ... ...
생명 모양의 원천 나선형의 세계
과학동아
l
198809
구멍을 뚫고 석회질의 단단한 관속에 파고 들어 그 속에 숨어 있다. 바다물 속에서는
촉수
를 벌려 동물성 플랑크톤을 잡는다. 그 모양에서 따 '크리스마스 트리 웜'이라고도 부른다.녹색실을 감은 것 같은(아래사진)이 나선형의 뉴기니의 숲속 깊은 곳에서 광채를 내고 있는 극락조(極樂鳥) 수컷의 ... ...
"조개가 이처럼 아름다운줄 몰랐다"는 감탄자아내 목포의 조개전시관
과학동아
l
198806
사랑의 여신 '아프로디테'가 탄생했다는 설화로 유명한 가리비조개(Scallop), 섬세한
촉수
(觸手)가 있는 국화조개, 아프리카 모리셔스산의 길이 10cm짜리 하프조개, 서인도제도산으로 길이 20cm의 대형인 짜부락고둥, '바다의 영광'이란 별명이 붙은 청자고둥, 지름 15cm의 가량의 대형 집낙지, 뱅갈산의 ... ...
바닷속 신비 산호초
과학동아
l
198707
싸움과 천적과의 싸움의 두가지다. 종(種)이 다른 산호끼리 어쩌다 접근하게되면 긴
촉수
를 서로뻗어 상대에게 유독분비액을 주입하려한다. 그래서 생명력이 강한 산호가 이겨 살아남아 차츰 그와 같은 종의 커다란 산호초로 성장해간다. 산호의 최대의 천적은 도깨비 불가사리이다. 이 ... ...
행성지구 그 신비를 해부한다
과학동아
l
198704
갖고 있다는 점이다. 카메라로 찍은 '테나포'라는 동물은 먹이를 모아들이는 붉은
촉수
를 자기 몸속으로 빨아 들인다. 이것은 아직 한번도 보지 못한 것이다. '메두사'라는 아주 가벼운 젤리와 같은 물고기도 심해에서 산다. 수집된 30종의 표본 중 반이 처음 알려진 것이다."바다속의 소리는 '바디의 ... ...
진화론의 새학설 유전자 진화론
과학동아
l
198609
거기에 원래부터 정해져 있는 파리의 다리 대신에 양분을 흡수하는 관(管)이라든가
촉수
또는 파리의 날개 같은 것을 만들게 하는 것이다. 어떤 배아에서 발전 부분의 수가 보통 때보다 적어져 거의 치명적인 변형을 불러 일으키거나 또는 어떤 형성작업이 잘못하여 두번 일어났을 때도, 그 밖에 ... ...
한반도에는 어떤 동물들이 살고 있나
과학동아
l
198603
모양이 마치 백합과 같이 생긴 이 해백합은 뿌리가 있고 줄기와 함께 끝에는 꽃처럼 생긴
촉수
를 가진 팔이 있다. 고생대 말기에 바다에서 크게 번성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성게와 같은 극피동물이 속한다. 이 해백합은 중생대에 들어서면서 쇠퇴하였으며 신생대에 이르러서는 크게 줄어들어 지금은 ... ...
이전
2
3
4
5
6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