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림
충실
충만
싫증남
포식
satiety
d라이브러리
"
포만
"(으)로 총 60건 검색되었습니다.
기능성 쌀 등장으로 다시 주목 받는 쌀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무엇보다도 비만의 치료와 예방에 효과가 있다. 식이섬유는 에너지를 내지 못하지만
포만
감을 준다. 또 장내에서 콜레스테롤이 흡수되는 것을 막고 대변의 양을 늘려 변비를 완화한다. 그리고 장내 유해물질을 흡착시켜 함께 배설된다.농촌진흥청 농촌생활연구소 이성현 박사는 고식이섬유쌀이 ... ...
① 일란성 쌍둥이와 복제인간 같은가 다른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식습관을 갖고 있음이 드러났다. 그들은 하루 중 비슷한 시간에 저녁 먹기를 좋아했으며
포만
감을 느끼는 음식의 양과 식사 후 배고픔을 느끼는 시간도 비슷했다. 또한 저녁식탁에서 같이 식사하기를 원하는 사람의 숫자까지 동일했다.영국 연구팀의 또다른 쌍둥이 연구 결과는 환경에 대한 ... ...
죽음 부른 다이어트 약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으로 그 분자구조가 도파민과 매우 유사하다.따라서 복용할 경우 시상하부의
포만
중추를 효과적으로 자극하지만, 이와 함께 기분조절중추도 자극해 여러 부작용을 나타낸다. 특히 지각과 정서를 담당하는 시상하부 내의 림빅 시스템(limbic system)을 자극해 자꾸 약물을 투약하고 싶은 중독성을 ... ...
동물의 갖가지 체온유지 비법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체온을 올리고 다시 동면상태에 이른다.동물에게는 먹이량을 조절하는 중추(섭식중추,
포만
중추)가 있어 평소에 체중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그런데 동면동물은 동면 직전에 보통보다 월등히 많은 먹이를 섭취해 비만에 이른다. 이런 과체중은 동면 동안 에너지 소비를 충당하게 한다. 이들 ... ...
1. 인간은 고기 좋아하는 잡식성 동물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흡수해 대변으로 배출된다. 또한 일정 시간 동안 소화되지 않고 위 속에 남아
포만
감을 주기 때문에 과식과 비만을 예방한다. 섬유질은 자신보다 16배나 무거운 물을 머금어 변을 부드럽게 한다. 또한 박테리아의 활동을 도와 발효 가스를 발생시킴으로써 변을 부풀리고 발암물질의 생성을 막는다.6· ... ...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니콜슨, 루이스 플레쳐 주연. 켄 케이시의 베스트셀러 소설을 영화화한 작품으로 밀로스
포만
의 대표작이다. 주인공 맥 머피 역의 잭 니콜슨은 이 영화로 스타덤에 올랐으며 정신병 환자 마티니 역을 맡은 젊은 날의 대니 드 비토를 비롯한 조연급 연기자들의 개성 있는 연기가 빛을 발한다. 교도소에 ... ...
자연과학에 뿌리 둔 관심법 심리학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이 부위들이 인간이나 동물에게 있어 배고픔과
포만
감을 느끼게 해주는 식욕 또는
포만
중추임을 확인했다.개인의 차이를 연구하는 성격심리학, 정신질환이나 이상심리 상태를 연구하는 임상심리학, 이상심리학 및 범죄심리학의 경우도 다른 방식으로 실험에 제약이 있다. 성격의 특징, 정신 질환 ... ...
다이어트의 새로운 돌풍 비만약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신경전달물질이 한 조절중추에만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세로토닌과 노르아드레날린은
포만
중추외에도 다른 조절중추를 자극할 수도 있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돼 있다. 따라서 세로토닌과 노르아드레날린의 분비를 촉진하는 식욕억제제의 경우 부작용의 소지가 있다. 또한 이러한 식욕억제제가 다른 ... ...
④ 동물들의 잠버릇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있기 때문에 아무도 두려워할 필요 없이 대낮에 넓은 초원에서 배를 하늘로 향하고
포만
감을 즐기며 자유스럽게 잘 수가 있다.대개 사자 같은 맹수들은 한번 사냥을 나가면 쉽게 먹잇감을 잡으리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사자의 사냥 성공률은 평균 세번에 한번 꼴이라고 한다. 사자들도 열심히 '일 ... ...
포도당이 기억력 증가시킨다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증가하는 화학물질(aFGF)을 지목했다. 이 물질의 주요 기능은 뇌의 시상하부에 존 재하는
포만
중추에 신호를 보내 "배가 부르니까 더이상 먹지 말라"는 명령을 내리는 일이다.그러나 이 물질이 집결하는 또다른 장소는 뇌의 해마 부위다. 감정이나 학습(특히 공간 학습)을 담당하는 곳이다.리 연구팀은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