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림
충실
충만
싫증남
포식
satiety
d라이브러리
"
포만
"(으)로 총 60건 검색되었습니다.
입맛의 생리학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포만
중추를 자극하면 반대로
포만
감을 느껴 음식을 먹고 싶은 생각이 사라진다.식욕과
포만
감을 조절하는 정확한 메커니즘은 아직 완전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크게 세가지 요인이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첫째는 음식이 들어가 위가 늘어나면 위벽에 분포한 신경으로부터 자극이 시상하부에 ... ...
2. 다이어트 섬유소·단백질·시트로산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주성분은 페닐프로파놀라민과 암페타민이라는 약물이다. 이 약물은 뇌 속의
포만
중추를 자극해 식욕을 억제시킴으로써 체중감소에 도움을 주기도 하지만 상당한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 암페타민 계통의 약물은 혈압을 높이거나 두통을 일으킬 수 있으며, 장기간 복용할 경우 내성이 생긴다. 따라서 ... ...
'뚱뚱한 미국' 불가피한 선택 비만 치료제 정식 인정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거짓’ 으로
포만
감을 느낄 수 있다.이 사실에 착안해, 역으로 세로토닌 농도를 높이면
포만
감이 생겨 식사량을 줄일 수 있으리라는 가정하에 인위적으로 세로토닌 농도를 높이는 약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미국의 MIT연구소에서 리처드 워트만의 주도로 세로토닌 농도를 높이는 약이 ... ...
3. 날씬해지는 행동요법5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시상하부의
포만
중추(그림)를 자극,
포만
감이 생긴다.또 식사시간이 길면 글루카곤 등의
포만
물질이 식욕중추를 억제한다. 더욱이 잘 씹어 먹으면 소화호르몬이 계속 분비돼 더 먹고 싶은 기분을 억누른다.따라서 10-15분만에 식사를 마치면 적당한 양을 먹었어도 배가 부른 느낌이 오지 않는다. 그 ... ...
2 모델 동물실험 의약산업 혁명 눈앞에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먹으면 더 안 먹게 되고, 또 어떤 사람은 만족치 못하여 자꾸 먹게 될까? 어떤 사람은
포만
감이 쉽게 오고, 또 어떤 사람은 쉬이 만족을 못할까? 또한 이러한 살찌는 경향은 유전성이 강한 것 같은데 (뚱뚱한 부모에 뚱뚱한 아이) 어떠한 유전자들이 이러한 특성을 정하게 되나?이러한 궁금한 문제들을 ... ...
사용하긴 쉬워도 이해하긴 어려운 멀티태스킹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윈도우의 메모리는 대식(大食)성이지만 보통의 사용자라면 이러한 윈도우의 메모리에
포만
감을 채워주기 힘들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민끝에 나온 것이 가상메모리(Virtual Memory) 방식이다. 가상메모리란 하드디스크 등에서 일정한 영역을 확보한 후 여기에 마치 메모리인 것처럼 주소를 ... ...
테마에세이/환경과 인간⑦ 바다 쓰레기로 해양생물 몸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못하게도 한다. 해양생물들이 실수로 먹는 플라스틱은 체내에서 소화가 되지 않으므로
포만
감을 주어 영양실조를 일으키고 소화 기관을 막거나 상처를 입혀 죽음에 이르게 한다. 플라스틱을 삼킨 생물은 부력장애나 잠수장애를 일으켜 먹이를 잡거나 도망가는데 어려움이 생긴다. 바다에 사는 ... ...
몸무게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널리 쓰이는 암페타민 계통의 약은 중추신경을 흥분시킴으로써 대사율을 상승시키고
포만
감을 주는 약리작용을 갖는다. 아울러 혈압을 높이고 초조 불안감을 가중시키며 불면증을 초래하기도 한다. 장기 복용한 경우 환각증세를 일으키기도 한다.섬유소계통의 식욕억제제도 널리 복용되고 있다. 이 ... ...
(1) 영양 불균형 이루기 쉽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되는 혈중(血中)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낮춰주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식사후
포만
감을 주어서 체중조절에도 이용된다. 따라서 이것이 부족해지면 그 반대의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지방은 결핍증세보다는 과잉섭취가 더욱 문제가 되는 영양소인데 최근 경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비만의 비율이 ... ...
뚱보가 날로 늘고 있다 살빼기 손자병법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할 수있다.대체로 비만한 사람은 음식을 보면 참지 못하는 경향이 있고 음식을 먹어도
포만
감을 잘 느끼지 못하거나 식생활 습관이 잘못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과학적으로 확실히 증명된 바는 없다. 아뭏든 음식물 섭취량을 줄이는 것이 비만증 치료의 가장 중요한 기본이 되는 것은 ... ...
이전
2
3
4
5
6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