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차례
등급
등위
단계
순위
순차
뉴스
"
서열
"(으)로 총 1,168건 검색되었습니다.
혈액형, 인류 조상이 질병과 싸웠던 '고대 무기고'
동아사이언스
l
2025.01.24
14명, 또 다른 고인류인 데니소바인의 후예로 추정되는 9800년 전 고인류의 유전체 염기
서열
이 분석됐다. 현대 독일부터 시베리아, 중국에 이르는 유라시아 유적지 전반에서 나온 화석들이다. 분석 결과 인류는 7만~4만5000년 전 발생지인 아프리카를 벗어나 유라시아로 이동할 때 아프리카 이외의 ... ...
[의학바이오게시판] 서울대병원 ‘헬스케어AI 연구원’ 개원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1.24
있다. ■ 엔젠바이오는 우크라이나 진코드(Genecode)사와 협력해 ‘차세대 염기
서열
분석(NGS)’ 정밀진단 제품 및 분석 솔루션을 현지 시장에 국내 최초로 공급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에 공급하는 제품은 유전성 유방암 및 난소암 검사 제품인 브라카아큐패널 에이치알디, 고형암 정밀 의료 제품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 든 동물은 생태계 지킴이
2025.01.22
냉혹한 자연의 세계에서 무리의 수컷 우두머리는 어느 순간 젊고 힘센 수컷에게
서열
경쟁에서 밀려나 짝짓기 기회를 잃는 것은 물론 무리에게 쫓겨나기도 한다. 이런 일이 아니더라도 자연계에서는 사고나 질병으로 늙을 때까지 살아남을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게 우리의 통념이다. 논문에 따르면 ... ...
암세포 증식 82%까지 줄이는 소형 유전자 가위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유전자 가위 ‘eCas12f1’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유전자의 특정 염기
서열
을 절단해 잘린 유전자를 제거하거나 부위에 유전자를 추가 또는 새로운 유전자로 교정하는 기술이다. 최근 크리스퍼(CRISPR) 유전자가위 기술을 기반으로 한 유전자 교정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며 높은 ... ...
한국인 DNA에 새겨진 변이 8개 발견…인간 유전체 진화 단서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데도 성공했다. 제1저자인 조수복 생명연 전임연구원은 “고품질 인간 유전체
서열
정보를 활용해 한국인 고유의 유전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한 걸음 더 나아갔다”며 “최근 출범했고 이번 연구를 지원한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사업’은 대규모 한국인 유전체 정보의 체계적 구축은 ... ...
인간처럼 옆 동료 따라 소변 보는 침팬지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가까울수록 배뇨를 따라 할 가능성도 증가했다. 무리 내
서열
도 영향을 미쳤다.
서열
이 낮은 침팬지는 다른 침팬지가 소변을 볼 때 따라 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연구팀은 "배뇨 행동이 사회적 위계에 영향을 받아 위에서부터 '흘러내리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하품은 ... ...
'무도병' 헌팅턴병 치료하는 샤페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CAG 반복
서열
이란 시토신, 아데닌, 구아닌 등 세 개의 염기가 반복되는
서열
이다. CAG 반복
서열
이 증가하면 헌팅틴 단백질의 급격한 응집을 유발해 독성 응집체를 형성하고 신경세포 내에 축적되면서 세포 기능을 방해해 결국 신경세포 사멸을 초래한다. 헌팅턴병을 치료하는 근본적인 치료제는 ... ...
손상된 DNA 복제 재개 시점 조절 단백질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구조가 아직 완전히 규명되지 않은 ATAD5나 BAZ1B와 같은 단백질을 이루는 아미노산
서열
을 입력하면 기존 데이터를 기반으로 3차원 구조와 상호작용 부위를 예측한다. BAZ1B와 ATAD5 단백질에 의한 Ub-PCNA 탈유비퀴틴화 조절 과정. ATAD5는 탈유비퀴틴화 효소와 함께 작용해 Ub-PCNA의 탈유비퀴틴화를 촉진해 ... ...
의도치 않게 '춤 추는' 희귀질환 헌팅턴병 새 메커니즘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세포 수준에서 유전체의 RNA 발현을 분석했다. 컴퓨터 모델링을 통해 분석한 결과 CAG
서열
의 반복은 몇십 년에 걸쳐 천천히 증가했다. 반복 횟수가 일정 수준 이상에 도달하면 독성이 발현되며 뇌세포를 죽였다. 연구팀은 "헌팅턴 단백질은 존재하는 기간의 95%를 무해한 상태로 신경세포와 보낸다 ... ...
노벨상 '유전자가위' 유방암 진단 정확도 '확'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5.01.10
얻은 줄기세포의 BRCA2 유전자를 사용했다. 크리스퍼 캐스-9 기술로 BRCA2 유전자의 DNA 염기
서열
에 돌연변이를 삽입한 다음 단일염기 수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전자 돌연변이 총 6551개를 만들어냈다. 이는 BRCA2 유전자에서 만들어질 수 있는 돌연변이의 90%를 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진은 각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