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차례
등급
등위
단계
순위
순차
뉴스
"
서열
"(으)로 총 1,181건 검색되었습니다.
담수 조개류는 어떻게 육지로 이동했을까…진화과정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22
서식하는 이매패류의 기원을 분석했다. 분자시계는 진화생물학에서 DNA 혹은 단백질
서열
상의 단위 시간 당 돌연변이 속도를 이용해 생물 종 사이에 분화된 시간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분석 결과 고생대 이후 약 1억9000만년 전 판게아가 북반구와 남반구로 분리되는 대륙이동이 진행되면서 ... ...
[동물do감] 싸움 피하려고 암컷 쥐를 미끼로 쓰는 수컷 쥐
동아사이언스
l
2024.10.17
집단 내에서 싸움을 피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활용한다. 연구팀은 집단 내에서 사회적
서열
이 있는 생쥐(학명 Mus musculus)가 다른 쥐의 공격으로부터 어떻게 행동하는지 알아내기 위해 수컷 쥐 두 마리와 암컷 쥐 두 마리가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녹화했다. 실험 결과 거의 모든 상황에서 한 수컷이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단백질 구조 예측 넘어 '새 단백질' 설계까지
2024.10.13
단백질들이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즉, 공통 조상을 가진 단백질들의
서열
을 분석하면 그 안에 구조와 관련된 패턴이 숨어 있다는 점을 확인한 것이다. 허사비스와 점퍼는 인공지능이 데이터에 숨어 있는 패턴을 탐지하는 데 뛰어나다는 점에 착안해, 단백질 구조 데이터베이스를 ... ...
유전자 치료의 딜레마, 뇌질환 치료했는데 암 발생
동아사이언스
l
2024.10.11
바이러스 벡터에는 강력한 ‘촉진 강하제’가 추가되는데 연구팀은 이 촉진 강하제의 DNA
서열
이 암 발생 원인일 것으로 지목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부신백질이영양증이 있는 자녀를 둔 부모들에게 엄청난 고민거리를 안겼다. 이 질환은 진행이 빠르기 때문에 진행을 멈추기 위한 치료가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①생리의학상…유전자발현 정밀 조절자 miRNA
2024.10.10
가공되며 이 짧은 분자를 siRNA(small interfering RNA)라고 한다. siRNA는 자신과 상보적인
서열
을 가진 mRNA와 22nt의 연속적인 결합을 이룬 후 효소가 mRNA를 절단하며 이를 통해 mRNA의 발현을 강하게 줄이게 된다. 이와 같은 RNA 간섭 현상을 이용해 여러 치료제가 개발 중이다. 특히 얼나일럼 파마슈티컬스 ... ...
[노벨상 2024] 생명현상의 기본 '단백질' 설계·구조 예측 AI 개발 과학자들 화학상(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단백질을 읽으면 보유한 단백질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이 단백질과 비슷한 아미노산
서열
을 찾는다. 동시에 아미노산들이 어떻게 연결될지를 예측하고 이를 토대로 어떤 입체 구조를 띠고 있을지 예측한다. 이 과정을 반복하고 압축하면서 최종적으로 단백질 구조를 예측한다. 이를 기반으로 ... ...
[노벨상 2024] 단백질과 분자 상호작용도 예측…화학상 알파폴드2에서 진일보한 알파폴드3
과학동아
l
2024.10.09
AI가 이 부분에서 시간을 당겨주는 역할을 해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미노산
서열
을 토대로 단백질의 구조를 알아내는 알파폴드의 능력은 단백질 신약을 설계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석 교수는 "단백질 구조 예측 AI가 발전하면 AI가 단백질 신약 후보 10개를 설계하고 이 10개에 대한 독성 시험과 ... ...
[노벨상 2024] 새 단백질 찾고 AI로 구조 예측한 과학자 3명 화학상(2보)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긴 가닥으로 연결되고 접힌 3차원 구조가 좌우한다. 1970년대부터과학자들은 아미노산
서열
로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려고 했지만 매우 어려운 작업이었다. 허사비스와 점퍼는 2020년 알파폴드2라는 AI 모델을 발표해 거의 2억 개의 단백질 구조를 예측할 수 있게 됐다. 알파폴드2는 190개국 200만명 ... ...
[표지로 읽는 과학] 세균의 바이러스 방어 메커니즘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6
발현이 유도된다는 점을 발견했다. 개방형 해독틀은 단백질로 번역될 수 있는 DNA나 RNA
서열
을 의미한다. 연구팀이 발견한 새로운 단백질은 세균에서 바이러스가 확산되는 것을 방어하는 역할을 했다. 이 단백질이 발현되는 과정은 기존 유전정보의 흐름을 전복시키고 기존과 다른 생물학적 ... ...
세포 노화·사멸 핵심 '텔로미어' 메커니즘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2
규명하면서 유전체 내부에도 이
서열
이 자리잡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이
서열
이 단순히 염색체 말단을 보호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유전체 내부에 발생한 DNA 손상을 치료하는 능력도 가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최초로 ALT 세포의 유전체 지도를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