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난간
상부
상단
상란
뉴스
"
윗부분
"(으)로 총 130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습기살균제, ‘살인적 사용법’이 문제였다
2021.01.20
것이다. 고분자인 PHMG・PGH와 달리 ‘저분자’인 CMIT・MIT는 ‘대부분’ 호흡기의
윗부분
인 상기도에서 흡수되어서 빠른 시간에 독성이 낮은 물질로 대사가 되어버린다는 교묘한 논리도 재판부에 놀라운 설득력을 발휘했다. 호흡으로 흡입한 CMIT・MIT의 ‘일부’가 하기도까지 들어갈 수 있다는 ... ...
노화한 피부세포 다시 젊게 만드는 '세포 역노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6
못하고 있다. 조 교수팀은 3개 층으로 이뤄진 인체 피부 가운데 가장 두꺼운 ‘진피’
윗부분
에 존재하는 ‘섬유아세포’ 속 단백질 수십 종에 주목했다. 섬유아세포는 마치 건물의 시멘트처럼 세포 사이의 공간을 채워주고 세포 사이를 연결해주는 콜라겐 등 물질(세포외기질)을 생산하는 ... ...
CT·X선 조합 첨단기술로 '하와라 초상화 4번 미라' 비밀 풀었다
연합뉴스
l
2020.11.26
초상화 미라'는 1888~1889년과 1910~1911년 고대 이집트 하와라 지역에서 발견된 미라들로
윗부분
에 초상화가 그려진 점이 특징이다. 특히 4번 미라에 그려진 초상화는 성인 여성인데 미라의 크기는 작아 궁금증을 자아냈다. 연구 결과 미라의 주인은 영구치도 나지 않고 머리부터 발끝까지 키가 약 9 ... ...
[프리미엄 리포트] 불꽃 축제 대신 방구석 빛 축제에 초대합니다
과학동아
l
2020.11.07
합니다. 준비가 다 되면 야광봉 속 물질을 모두 꺼내서 분리합니다. 플라스틱관의
윗부분
을 자르면 그 안의 유리관을 꺼낼 수 있습니다. 유리관은 안전을 위해 끝을 휴지로 감싸고 가위로 자르세요. 참고로 유리관 밖에 차 있던 과산화수소는 평소에 소독약으로 사용하던 과산화수소와 다르게 감촉이 ... ...
3만4000년 전 동아시아인은 코스모폴리탄
동아사이언스
l
2020.10.30
몽골에서 나온 유일한 플라이스토세(약 258만~1만 년 전) 고인류 화석이다. 두개골 가운데
윗부분
만 발굴됐는데, 눈두덩 부위가 발달해 보이는 게 특징이다. 이 교수는 “이 때문에 서양에서는 이 화석의 주인공이 호모 에렉투스라거나 네안데르탈인이라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지만, 제대로 된 연구가 ... ...
"구강청결제 코로나19 전파 늦출 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20.10.22
NYT는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해 구강 청결제나 비강 세정제에 의존하는 것은 잡초의
윗부분
을 다듬고 정원 해충이 사라지기를 기대하는 것만 큼 쓸모가 없다”고 비판했다. 메이어 교수도 이 같은 비판을 어느정도 인정했다. 그는 “구강 청결제를 사용한 후 바이러스가 얼마나 남아있는지는 ... ...
어린이들 '숨은 전파자' 될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30
중 5분의 1은 3주가 지나도 바이러스를 흘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와 후두 등 기도의
윗부분
인 상기도에 증상이 있는 아이들은 18.7일간 바이러스가 검출됐고 기관지와 허파 등 하기도에 증상이 나타난 아이들은 19.9일간 바이러스를 흘렸다. JAMA 소아과지는 논평을 내고 이번 연구가 중요한 정보를 ... ...
국내 PCR 진단시설 6.8%에서 결과 오류 나타나..."문제될 정도 아니지만 개선여지"
동아사이언스
l
2020.08.27
법을 개발했다. 코로나19를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를 배양한 후 기도의
윗부분
인 코나 목구멍 등에서 채취한 상기도 검체와 기도 깊은 기관지 등에서 얻은 하기도 검체에 각각 섞었다. 바이러스 농도는 10배씩 희석해 각각 4개씩 만들었다. 여기에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대신 감기를 ... ...
코로나 바이러스,인체 침투하는 유연한 관절 지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20
역시 여러 방향으로 꺾일 수 있는 것으로 관찰됐다. 벡 단장은 “RBD가 있는 단백질
윗부분
은 백신 개발을 위해 유전자 재조합 등 기술로 널리 만들어질 정도로 잘 알려져 있지만, 기둥 부분의 구조가 부드럽다는 것은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이라고 말했다. 유연한 스파이크 단백질 기둥 구조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벼가 물에 잠겼을 때 일어나는 일들
2020.08.11
제공 벼는 이렇게 얻은 에너지의 일부를 줄기를 생장시키는 데 사용한다. 키를 키워
윗부분
이라도 물속을 벗어나게 하려는 전략이다. 이게 성공해 식물체의 일부라도 공기와 만날 수 있게 되면 광합성이 재개되고 산소도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죽음의 위협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러나 줄기가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