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난간
상부
상단
상란
뉴스
"
윗부분
"(으)로 총 130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거품 터지는 현상 설명하는 새 이론
동아사이언스
l
2020.08.09
방사형으로 생긴다. 과학자들은 이를 관찰하면서 원인을 중력이라고 보고 있었다. 거품
윗부분
을 연결하던 막이 사라지면서 무게로 인해 돔이 내려앉고 표면을 평평하게 만들려는 표면장력을 이기고 물결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러한 통념을 실험 조건을 뒤집는 것으로 바꿔 놓았다. ... ...
"건강해도 술 마시면 심방세동 발생위험 2.2배 높아"
연합뉴스
l
2020.08.06
심방세동 발생 위험을 조사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6일 밝혔다. 심방세동은 심장의
윗부분
인 심방이 불규칙하게 뛰는 증상을 말하며, 혈액순환을 방해해 다양한 합병증을 야기한다. 심방세동 환자는 일반인 대비 뇌졸중 위험이 5배 이상 높다는 보고도 있다. 연구팀은 2007~2015년 서울대병원 ... ...
[사이언스N사피엔스]분광학, 천문학의 새 장을 열다
2020.08.06
아랫부분은 밝고
윗부분
은 어두운데, 아랫부분이 관측자인 지구로 향하는 빛이고,
윗부분
이 지구에서 멀어지는 빛이기 때문이다. 굉장히 빠른 속도로 가스가 회전한 탓에 도플러 효과가 극대화된 것이다. EHT 제공 19세기가 남긴 또 하나의 위대한 유산은 분광학(spectroscopy·分光學)이다. 분광학이란 말 ... ...
[게놈과 인류사]16세기 멕시코로 건너간 아프리카인의 고단했던 삶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게놈을 해독했다. 먼저 이들의 출신지를 확인했다. 연구팀은 치아에서는 손상된 앞니
윗부분
을 메운 흔적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서아프리카에서 지금도 관찰되는 치료행위”라고 말했다. 이들이 서아프리카에서 왔을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이는 이들이 사하라사막 이남인 남아프리카 또는 ... ...
코로나19는 어떤 방식으로 생명을 앗아가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2.26
'랜싯'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코로나19 감염 초기에는 바이러스가 주로 호흡기
윗부분
에서 증식하면서 기침과 재채기 같은 증상을 나타낸다고 분석했다. 이렇게 감염 초기부터 겉으로 드러나는 증상이 많이 나타나면 바이러스 입장에서는 유리하다. 그만큼 빨리 다른 숙주를 찾아 바깥으로 나갈 수 ... ...
철수의 상상은 '무한상상실'에서 현실이 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3
말려 있다가 햇빛을 가릴 때 펼쳐지는 원리다. 표현할 수 있는 무늬가 단조롭고 창문
윗부분
에만 설치가 가능해 제한이 많았다. 전 씨는 무늬와 패턴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햇빛을 막는 위치도 편리하게 조절하는 방안으로 두 개의 회전축을 가진 이중 블라인드를 고안해 특허까지 냈다. 전 ... ...
“돌을 품은 돌” 발견돼 눈길
팝뉴스
l
2019.12.10
한다. 돌 속에 돌이 있는 것을 봤다는 설명이다. 사진은 설명 그대로다. 돌
윗부분
이 깨져 있는데 그 속에 또 작은 돌이 들어 있다. 해외 네티즌들은 “계란 속의 계란”을 떠올리게 된다고 말한다. 또 까도 까도 또 나오는 양파를 닮은 돌멩이라고 말하는 댓글도 눈길을 간다. ※ ... ...
[표지로 읽는 과학] 쇠똥구리 가슴뿔과 날개는 기원이 같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24
가슴과 배 사이에서 날개 조직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동안, 일부 형태가 변형돼 가슴
윗부분
에서 뿔로 돋아났다고 분석했다. 이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22일자에 실었다. 연구팀은 쇠똥구리뿐 아니라 장수풍뎅이와 거저리, 뿔매미, 방패벌레 등 뿔을 가진 곤충들이 비슷한 과정을 거쳐 뿔을 갖게 ... ...
고주파 무선으로 전력 공급받은 경전철 달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4
활용하면 물리적인 접촉식 장치가 필요없어 유지보수 비용이 약 20% 줄어든다. 열차
윗부분
에 전차선이 없기 때문에 지하철에 적용할 경우 터널 시공시 터널 단면적을 10% 이상 축소할 수 있다. 또 전차선과 집전장치의 마찰이 없어져 지하철 역사내 미세먼지도 줄일 수 있다. 연구진은 배터리로 ... ...
시각장애인도 갸우뚱? 표준 없어 읽지 못하는 '제멋대로 점자'
동아사이언스
l
2019.11.04
읽고 싶어도 읽을 수 없는 지도가 많다. 점자가 구형으로 뾰족하게 튀어나오지 않고
윗부분
이 평평한 형태로 만들어진 지도가 많아 손에 걸리지 않는다. 한참을 손을 대야 ‘화장실’, ‘안내데스크’와 같은 단어를 간신히 알아볼 수 있다. 한참을 걸려 제대로 읽히기라도 하면 그나마 낫다.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