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난간
상부
상단
상란
뉴스
"
윗부분
"(으)로 총 130건 검색되었습니다.
“잠 모자라면 치매 빨리 온다”
2019.01.25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의 뇌를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으로 확인한 영상이다.
윗부분
이 아밀로이드베타 농도가 높은 부위. 미국국립보건원(NIH) 제공 치매도 전염될 수 있다 존 콜린지 영국 런던칼리지대 신경학과 교수 연구팀은 타우와 아밀로이드 베타가 뇌신경 수술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날개 없는 비행기 콘테스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1.20
해요. 과연 그 힘의 정체는 무엇일까요? 함께 비행기를 만들며 알아봐요. ① 물병의
윗부분
을 잘라 컵 모양으로 만든다. (가벼운 컵이 있다면 컵을 사용해도 좋다.) ② 두꺼운 종이에 물병 바닥을 대고 연필로 따라 그린 뒤, 크기에 맞춰 돌기가 나오도록 오린다. ③ ②에서 오린 종이의 양쪽 면에 ... ...
숨 막히는 교통 사고 현장
팝뉴스
l
2019.01.10
어두운 길을 달리다가 쇠로 된 울타리와 충동했다. 문제는 울타리가 휘어지면서 뾰족한
윗부분
이 차량의 전면 유리를 뚫고 운전석까지 침투했다는 점. 찔렸다면 사람은 치명타를 입었을 것이다. 그러나 하늘이 내린 행운이라고 해야 할까. 아무도 다친 사람은 없었다. 에어백만 뾰족한 철에 뚫렸을 ... ...
익룡의 원시 털 비밀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공룡 중 프시타코사우루스 등의 깃털과 비슷했다. 2번 유형의 피크노파이버는 목, 다리
윗부분
, 꼬리와 몸통이 연결된 부분 등에 나 있었으며 기둥 같은 굵은 섬유 끝에 가늘고 휜 섬유 뭉치가 나 있는 구조였다. 마치 붓처럼 보인다. 길이는 2~13.8mm였고, 전체 굵기는 0.08~0.18mm였다. 3번 유형의 ... ...
바지 같은 롱부츠
팝뉴스
l
2018.11.20
인터넷 쇼핑몰에서 판매되고 있는 화제의 상품이다. 공식적으로는 ‘롱부츠’이다. 맨
윗부분
은 무릎 위 허벅지까지 온다. 이렇게 긴 부츠를 신었는데도 무릎을 굽힐 수 있는 것은 데님 재질이기 때문이다. 청바지를 입고 활보할 수 있듯이 이 데님 부츠를 신어도 활동에는 전혀 지장이 없다. ... ...
[조선과학기술 시네마]2관. 세계 최초의 로켓과 최강 군함
2018.09.21
총구멍이 설치돼 있다고 기록돼 있다. 노는 한쪽에 8개씩 양쪽에 설치돼 있으며, 배의
윗부분
은 거북 등처럼 판자로 덮었고, 그 위에 칼과 송곳이 꽂혀 있으며 십자형으로 길이 나 있다. 채연석 UST 교수는 3년의 연구 끝에 거북선에 설치된 함포의 종류와 수량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거북선의 형상을 ... ...
[짬짜면 과학 교실] 세계 일주에 흠뻑 빠진 손오공
2018.09.08
기체나 고체로 변하여 스스로 이동해요. 지구상에 가장 많은 바닷물은 기온이 높아지면
윗부분
부터 조금씩 수증기로 변해요. 수증기는 기체예요. 기체가 된 수증기는 하늘 높이 올라가서는 다시 액체가 되어요. 찬 공기의 영향으로 엉기어(응결) 구름이 되는 거예요. 구름이 점점 커지고 무거워지면 ... ...
우리 손으로 만든 첫 로켓, 내달 말 하늘로 솟구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07
3단 로켓에 실릴 산화제 탱크를 개발 중인 연구진. - 사진 제공 윤신영 발사체
윗부분
이 마치 칼로 싹둑 자른 듯 뚝 끊겨 있는 모습이 독특했다. 로켓이라고 하면 흔히 떠올리는 돌고래 머리처럼 생긴 유선형 구조가 아니었다. 원 책임연구원은 “2단에 해당하는 ‘중량 시뮬레이터’ 9m를 분리했기 ... ...
200년만에 환생한 프랑켄슈타인...팔 이식, 전자의수 무엇을 원해요?
과학동아
l
2018.07.30
‘위치’다. 현재는 팔이 팔꿈치 위쪽에서 절단된 경우 정확도가 떨어진다. 팔꿈치
윗부분
은 팔꿈치의 각도를 조절하는 신호와 손가락을 움직이는 신호가 섞여 있어 원하는 특정 신호만 가려내기 어렵다. 이 때문에 팔의 잘린 부분에 있는 신경 하나하나에 전극을 꽂아 신경 신호를 직접 받는 연구가 ... ...
기상이변 원인 ‘엘니뇨’ 발생 과정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26
태평양 동부에서 발생하는 ‘동태평양 엘니뇨’가 있다. 연구팀은 이 엘니뇨가 바다
윗부분
이 따뜻해지면서 깊은 곳의 찬 바닷물이 위로 올라오지 못할 때 발생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또다른 엘니뇨는 2~3년마다 찾아오는 ‘중태평양 엘니뇨’다. 연구 결과, 이들은 바다 위에 강한 서풍(무역풍)이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