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뱃속
내용
마음속
실질
안
d라이브러리
"
속
"(으)로 총 13,48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헤라클레스보다 더 멀리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선수가 쓰는 원반의 무게가 남자의 절반인 1kg이기 때문에 생긴 결과다. ▼관련기사를 계
속
보시려면?INTRO 무모한 도전 육상특집 : 더 빨리, 더 멀리, 더 높이PART 1 우사인 볼트보다 더 빨리 PART 2 헤라클레스보다 더 멀리 PART 3 미녀새 이신바예바보다 더 ... ...
중학생 논문집 펴내는 경북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아름다운 예술작품이나 멋진 글에는 창조의 고통이 녹아 있다. 새것이 주는 아름다움은 힘든 과정을 통과한 땀의 열매인 셈이다. 경북대 과학영재교육원은 논문집과 자 ... 기대합니다. 이들이 과학적 업적뿐 아니라 인성에서도 존경받는 리더이길 바라는 마음으로 계
속
노력하겠습니다 ... ...
Part 3. 과학이 만든 '착한 토네이도'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악몽’을 ‘첨단기술’로 승화시키는 재주, 과학이 예술인 이유다.▼관련기사를 계
속
보시려면?Intro. 토네이도 vs 토네이도 헌터Part 1. 회오리 뒤쫓는 '바람사냥꾼' (인포그래픽)Part 2. 오후 6시가 되면 마법사가 깨어난다Part 3. 과학이 만든 '착한 토네이도 ... ...
사자는 무엇을 보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Empel연보랏빛 옷을 입은 소녀가 숲
속
에 서서 우리를 바라보고 있다. 엠펠이 가꿔낸 정글
속
으로 우리를 안내해 줄, 사이버 세계의 앨리스다. 넓은 잎사귀를 제치면 사진 오른쪽 귀퉁이에 있는 잎을 붉은 페인트로 칠한 하트 여왕의 카드 병사들이 보일 것이다.월드 #23ⓒRuud van Empel사진작가 루드 반 ... ...
고양이가 혀로 물 마시는 건, “볼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하는 방식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그 결과 흥미로운 사실이 확인됐다.즉 개가 혀의 연
속
왕복운동으로 우유를 마실 때 입안으로 들어가는 양이 3단계에 걸쳐 목으로 넘어간다는 것. 즉 혀의 뒷부분과 입 천장의 뒷부분(연구개라고 부른다) 사이에 처음 들어온 분획이 있고 혀의 중간과 입천장의 ... ...
태초에 빛과 물질이 함께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했는지도 중요한 연구 과제다. 마지막으로 우주가 미래에 계
속
팽창할지 수축할지를 밝히는 연구도 계획 중이다. 새로운 빅뱅이론이 우주 탄생의 비밀을 푸는 데 도움이 되길 기원한다 ... ...
“20년 꿈을 달나라로 쏘겠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마음은 오죽했을까. 나로호의 2단로켓 개발을 담당했던 조인현 추진제어팀장은 n“머리
속
이 하얘지고 아무 생각이 안 났다”고 당시 심정을 밝혔다. 이런 실패를 딛고 한국 과학기술진이 다시 우주로 도전한다. 교육과학기술부(이하 교과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은 나로호 3차 발사에 ... ...
아이언맨이 뛰쳐나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넣는 수술을 받아야 했기 때문에 실용화가 어려웠지만 최근에는 근적외선을 이용해 뇌
속
의 산소량을 읽는 방식도 개발됐다. 외골격 로봇 전문가들은 사람의 몸에서 나오는 신호를 읽는 여러 가지 방법 중 꼭 한 가지만 채택할 필요는 없다고 설명한다. 2~3가지 방법을 함께 사용해 최적의 동작 ... ...
꿈이 있어야 구체적인 길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구체적인 진학, 진로 고민을 발전시키도록 한다. “그럼 지금까지 하던대로 공부를 계
속
하면 될까요?” “그래. 내신성적은 어느 학과를 지망하든지 중요하니까 철저히 관리하고. 하고 싶은 일을 찾아서 네 인생의 이야기를 써나가렴.” ... ...
다양한 눈으로 바라본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가장 민감한 눈을 갖고 있는 것은 하늘의 무법자인 매이다. 매는 높은 하늘을 날며 빠른
속
도로 먹이를 잡는 육식성 새이기 때문에 인간에 비해 4∼8배나 멀리 볼 수 있다. 매는 색을 감지하는 원뿔세포의 밀도가 인간의 5배나 되기 때문에 선명한 천연색 영상을 볼 수 있다. 반면에 막대세포는 거의 ... ...
이전
605
606
607
608
609
610
611
612
6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