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뱃속
내용
마음속
실질
안
d라이브러리
"
속
"(으)로 총 13,484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초에 빛과 물질이 함께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했는지도 중요한 연구 과제다. 마지막으로 우주가 미래에 계
속
팽창할지 수축할지를 밝히는 연구도 계획 중이다. 새로운 빅뱅이론이 우주 탄생의 비밀을 푸는 데 도움이 되길 기원한다 ... ...
“20년 꿈을 달나라로 쏘겠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마음은 오죽했을까. 나로호의 2단로켓 개발을 담당했던 조인현 추진제어팀장은 n“머리
속
이 하얘지고 아무 생각이 안 났다”고 당시 심정을 밝혔다. 이런 실패를 딛고 한국 과학기술진이 다시 우주로 도전한다. 교육과학기술부(이하 교과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은 나로호 3차 발사에 ... ...
생명 살리는 작은 분자를 찾아서, GIST 신약표적 연구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혈당을 낮추는 물질도 발견했다. 실험 결과 이 물질은 인슐린과 구조가 비슷해 몸
속
에서 마치 인슐린처럼 행동한다. 이 물질을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신약표적 연구실의 또 다른 장점은 생명과학과 함께 영어도 배울 수 있다는 것이다. 지도 교수는 영국인이고 ... ...
대소변 가리기도 경쟁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이들은 작은 그림을 모으면 어떤 그림이 나타나는지 생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우물
속
에 있는 돌멩이를 세고 또 세느라 우물 밖에 어떤 큰 세상이 있는지 모르는 것처럼 말이다.그런데 진짜 흥미로운 부분은 따로 있다. 바로 숲을 보고 나무를 보는 과정이 우리의 뇌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다. ... ...
익스트림 에너지공학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어떠한 현상을 갖는지 연구하고 이를 응용하는 분야다. 로켓에 사용되는 추진체가 엔진
속
에서 어떤 현상을 보이는지에 대해 연구하는 한편, 폭발 사고를 역학적으로 분석해 원인을 규명할 수 있다. 특정 레이저의 경우 물체의 표면에 닿으면 국소적으로 폭발이 일어난다. 이때 순간적으로 압력이 ... ...
실험실 밖 세상의 화학 탐구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했다. 문헌 조사와 실험을 통해 베네딕트 용액의 반응 한계점을 찾으려는 노력을 지
속
했다. 실험 계획 및 수행 요오드팅크 용액을 이용해서 녹말을 검출하는 방법과 베네딕트 용액을 이용해서 포도당을 검출하는 반응을 상록수의 잎과 상록수가 아닌 활엽수의 잎에 대해 수행하고 그 차이를 ... ...
잠을 잊은 당신 건강한가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공공부문에서나 겨우 4조 3교대를 하고 있지만, 북유럽은 5조 3교대가 기본이다.연
속
으로 교대근무를 하는 횟수를 줄이는 것도 도움이 된다. 황 교수는 “간호사들도 3일 이상 근무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큰 병원에서도 일주일씩 밤근무를 하는 경우가 ... ...
아이언맨이 뛰쳐나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넣는 수술을 받아야 했기 때문에 실용화가 어려웠지만 최근에는 근적외선을 이용해 뇌
속
의 산소량을 읽는 방식도 개발됐다. 외골격 로봇 전문가들은 사람의 몸에서 나오는 신호를 읽는 여러 가지 방법 중 꼭 한 가지만 채택할 필요는 없다고 설명한다. 2~3가지 방법을 함께 사용해 최적의 동작 ... ...
꿈이 있어야 구체적인 길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구체적인 진학, 진로 고민을 발전시키도록 한다. “그럼 지금까지 하던대로 공부를 계
속
하면 될까요?” “그래. 내신성적은 어느 학과를 지망하든지 중요하니까 철저히 관리하고. 하고 싶은 일을 찾아서 네 인생의 이야기를 써나가렴.” ... ...
다양한 눈으로 바라본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가장 민감한 눈을 갖고 있는 것은 하늘의 무법자인 매이다. 매는 높은 하늘을 날며 빠른
속
도로 먹이를 잡는 육식성 새이기 때문에 인간에 비해 4∼8배나 멀리 볼 수 있다. 매는 색을 감지하는 원뿔세포의 밀도가 인간의 5배나 되기 때문에 선명한 천연색 영상을 볼 수 있다. 반면에 막대세포는 거의 ... ...
이전
607
608
609
610
611
612
613
614
6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