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
제로
d라이브러리
"
0
"(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자의 일기]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의 일기 (1646~1716)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5호
이를 인정할 수 없다고 반박했어요. 이후 1
00
년 동안이나 논쟁이 이어졌지요. 182
0
년에 이르러서야 라이프니츠와 뉴턴이 미분법을 독자적으로 발견했다고 ... ...
[가상 인터뷰] 파리지옥 손, 섬세한 게 매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갇혀서 파리지옥에게 잡아먹히는 거야. 파리지옥이 곤충을 소화하는 데에는 평균 1
0
일이 걸린단다.네 사냥법을 활용한 로봇 손이 있다던데?맞아. 1월 25일, 싱가포르 난양공과대학교와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국제연구팀은 파리지옥의 덫을 잘라 로봇 손으로 개발했다고 발표했어. 연구팀은 ... ...
[기획] 순간 포착! 물질의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펨토초. 1
000
조분의 1초) 정도의 짧은 순간 레이저를 쏘아 마이크로 로봇을 만들었어요. 1
00
fs 동안 레이저와 접촉한 폴리머 액체는 열에 의해 단단해져요. 이 과정을 반복해서 미세한 구멍이 많으면서도 단단한 마이크로 로봇을 완성했지요. 최홍수 교수는 “3D프린터로 만들 수 없는 미세한 구조를 ... ...
[특집] 핵심만 쏙 뽑은 확률의 기본 개념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말하면 음원사이트인 벅스를 통해 아이유의 ‘Flu’라는 곡을 틀어줍니다. 1
00
번을 시행해도 그 답이 변하지 않습니다. 이날 벅스의 음원 차트 1위가 아이유의 라일락임에도 말이죠. 이는 빈도적 확률 알고리듬에 따라 아이유의 최신곡에 대한 값이 Flu로 지정돼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산업계는 계산 ... ...
[논문탐독] 오류에서 찾은 혁신의 실마리 주사터널현미경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광학현미경이 구분해 관측할 수 있는 물체의 최소 크기는 파장의 절반입니다. 약 25
0
nm보다 작은 크기의 대상을 가시광선으로 관찰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광학현미경의 렌즈를 아무리 조합해도
0
.1nm 수준인 원자의 이미지는 얻을 수 없습니다.만약 파장이
0
.1nm 정도인 X선을 쓰면 어떨까요. X선은 물체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이제는 구름도 DIY! 헬륨 비누 거품 구름 생성 장치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수 있는 비결은 거품 속 헬륨에 있습니다. 헬륨은 수소 다음으로 가벼운 원소입니다.
0
℃, 1기압에서 헬륨의 밀도는
0
.18g/L로 건조 공기의 밀도인 1.29g/L보다 작습니다. 같은 부피라면 헬륨이 훨씬 가볍죠. 헬륨은 다른 원소와 반응하지 않는 비활성 기체라 수소처럼 쉽게 폭발하지 않는다는 장점도 ... ...
[가상 인터뷰] 거미줄 도르래로 무거운 것도 거뜬하게?!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어떻게 짜는지 쉽게 보기 위해서였지. 이후
0
.2g에 불과한 거미 몸무게의 2배에서 5
0
배에 달하는 바퀴벌레 먹이를 상자 안에 넣고 사냥 방식을 분석했지. 분석 결과, 거미는 상자 곳곳에 짠 거미줄을 도르래 밧줄처럼 활용해 먹이를 들어올렸어. 도르래 원리를 더 자세히 설명해 줘.도르래 중 ‘움직 ... ...
[기획] 순간 포착! 과학 세상에 이런 일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어떤 순간이든지 다 포착해 내지. 금 분자가 만들어지는 순간부터,
0
.1μs(마이크로초. 1
00
만분의 1초) 사이에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번개까지! 이 순간들을 포착해서 보면 눈에 보이지 않던 새로운 세상이 보여. 그 순간들을 지금부터 감상해 보자!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기획] 순간 ... ...
목성의 오로라가 특별한 이유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차이가 나는 부분이다. 지구는 열린 자기력선 때문에 극지방이 아닌 지구자기위도 7
0
° 내외의 고위도 지역에서만 오로라가 발생한다.피터 델라메레 알래스카 페어뱅크스대 지구물리학연구소 교수는 “자기권을 이해하는 방식의 패러다임 전환을 가져온 연구”라고 평가했다. doi: 1
0
.1126/sciadv.abd12
0
... ...
한 끼 대충 먹는다고 뭐 달라질까?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1
00
명 중 49명, 9~17세 청소년은 1
00
명 중 68명이 넘습니다. 2
0
19년 전국의 중·고등학생 6만 1
00
명을 조사한 결과도 일주일에 5일 이상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청소년은 일주일에 3일 이상 탄산음료와 패스트푸드 등 편의식품을 섭취할 확률이 1.35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doi: 1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