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태양계 옆집엔 이웃이 살까요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만들어지는 유기물을 찾았습니다. 그 결과 금성 대기에 포스핀(PH3)이라는 물질이 약 20ppb 농도로 포함돼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포스핀은 가스형 행성인 목성과 토성의 대기에 주로 존재하는 유기물입니다. 지구, 금성, 화성과 같은 암석형 행성에서는 대기의 포스핀이 지표와 반응하므로 금세 ... ...
- [기획] π의 혁신을 불러온 무한급수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코일렌의 업적은 금세 유명무실해집니다. 영국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 아이작 뉴턴이 1600년대 후반 아크사인 급수의 변수 x에 1을 대입해 얻은 ‘뉴턴 급수’가 대표적입니다. 뉴턴 급수는 22번째 항까지만 계산해도 원주율의 소수점 아래 16번째 자릿수까지 정확하게 나왔습니다. 단숨에 라이프니츠 ... ...
- [수학체험실] 수학과 거리두기는 이제 그만! 인도의 베다 방진과 베다 도형수학동아 l2021년 03호
- 9로 나눴을 때의 나머지를 채워넣은 표다. 이때 9의 배수에 대해서는 9로 나눈 나머지 0을 쓰지 않고 9로 채워넣는다. 직접 베다 방진을 채우고 이를 이용한 베다 도형을 그려보자. 복잡한 계산만 하는 것이라는 선입견이 사라져 수학과의 거리 두기도 멈출 수 있을 것이다 ... ...
- 승리호, 과학으로 탑승할 준비됐나?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나노봇 제어에 새로운 가능성을 연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doi: 10.1038/s41467-021-21322-0그동안 체액과 같은 유체에서 나노봇을 자기장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로봇의 형태가 비대칭적이거나 유연해야 한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구형 입자는 대칭적이기 때문에 나노봇이 될 수 없었다. 연구팀은 실험 ...
- 살고 싶은 행성 ‘눈’으로 확인하자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데 243일이 걸리기 때문에 이는 자전이 원인이 아닙니다. 금성에서는 구름 상층에 초속 100m의 강한 바람이 부는데, 이 바람이 금성 전체를 한 바퀴 도는 데 약 4일이 걸립니다. 금성의 밝기 변화에는 바람이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뜻입니다.흥미롭게도 금성의 밝기는 어느 때는 4일 어느 때는 5일 ... ...
- [그래프뉴스] 마스크 때문에 친구 마음을 모르겠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마스크를 쓴 얼굴에서는 0.70점이 나왔어요. 공포의 감정도 마스크를 쓰지 않았을 때(0.90점)가 마스크를 썼을 때(0.77점)보다 알아차리기 쉬웠습니다. 투명 마스크를 썼을 땐 마스크를 쓰지 않았을 때와 점수가 비슷했습니다. 연구진은 사람들이 눈과 입을 보고 감정을 읽는다고 ... ...
- [만화뉴스] 멈추지 않는 인구 감소! 어린이가 줄고 있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계속 줄고 노인인구는 늘어나고 있어요. 65세 이상 인구는 857만 4588명인데, 이는 아동(0∼17세) 인구 765만 명보다 많고 청소년(9∼24세) 인구 846만 명보다도 많아요. 인구가 줄면 나라 경제가 큰 타격을 입습니다. 돈을 쓰는 사람이 줄어들어서 기업이 돈을 벌기가 힘들어 지고, 나라에 세금을 내는 ... ...
- [층간소음 줄이기 대작전] 소음 측정 방식을 바꿔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거예요. 뱅 머신에 비해 충격력이 작고(약 1600N), 어린이들이 뛸 때의 충격력(1000~3000N)과 유사해 새로운 측정 방법으로 활용될 예정이랍니다. 어린이 뜀이 측정 방식의 기준이 되다?!전남대학교 바이오하우징연구센터 송민정 교수팀은 지난해 새로운 충격모델로 어린이 뜀을 제안했어요. ... ...
- [매스미디어] 음악과 함께 떠나는 영혼들의 여행, 소울수학동아 l2021년 02호
- 13년 ‘몬스터 대학교’를 시작으로 ‘토이스토리4(2019년)’, ‘온워드: 단 하루의 기적(2020년)’ 등 다양한 애니메이션 제작에 참여했습니다. ‘소울’ 작업에도 참여한 그에게 ‘소울’의 영상 속에 숨겨진 이야기를 물어봤습니다. Q ‘소울’은 가로 길이가 강조된 2.35:1의 화면비로 ... ...
- [기획] 그래프, 확률, 벡터까지 더해 램지 수 범위 좁혔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KAIST 수리과학과 교수님은 “이 증명은 알고 보면 매우 간단하고 자연스러운데 지난 70년간 아무도 생각해내지 못한 것”이라며 “아무도 생각하지 못한 것이지만 누군가 생각해낸 이후엔 너무나 자연스러운 것이 바로 혁신”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수학의 진보’에 게재 ... ...
이전6061626364656667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