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
제로
d라이브러리
"
0
"(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체험실] 수학과 거리두기는 이제 그만! 인도의 베다 방진과 베다 도형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9로 나눴을 때의 나머지를 채워넣은 표다. 이때 9의 배수에 대해서는 9로 나눈 나머지
0
을 쓰지 않고 9로 채워넣는다. 직접 베다 방진을 채우고 이를 이용한 베다 도형을 그려보자. 복잡한 계산만 하는 것이라는 선입견이 사라져 수학과의 거리 두기도 멈출 수 있을 것이다 ... ...
[한페이지 뉴스] 공기 희박해도 OK 빛으로 비행하는 비행체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더 빠르게 움직이며 양력이 발생해 비행체가 공중에 뜰 수 있다. 실제로 저압 환경인 1
0
~3
0
파스칼(Pa) 챔버에서 발광다이오드(LED) 빛을 비추며 시험 비행을 진행한 결과, 비행체는 정상적으로 날았고 빛을 이용해 방향까지 조절할 수 있었다. 바르가틴 교수는 “이 비행체에 센서를 부착하면 중간권의 ... ...
어느 행성에 살아보실래요? 입주 전 따져 볼 조건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1.
0
이었는데 현재 지구의 PHI는
0
.96으로 떨어졌죠.슐츠-마쿠흐 교수팀은 지금껏 알려진 4
000
여 개의 외계행성 중 생명체 거주 가능성이 있는 24개를 추린 뒤, 위에 제시한 까다로운 조건을 모두 통과한 행성을 선별했습니다. 안타깝게도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행성은 없었어요. 다만 KOI 5715.
0
1이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짝수 치환과 홀수 치환 양의 정수 n에 대해, 1부터 n까지의 정수들을 모아놓은 집합을 Xn이라고 하자. 이때 Xn의 원소들을 차례대로 나열하는 ...
0
년에는 로보컵 대회 우승팀이 월드컵 챔피언과 겨루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해요. 2
0
5
0
년에 로봇과 인간이 축구하는 모습을 꼭 보고 싶어요 ... ...
살고 싶은 행성 ‘눈’으로 확인하자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데 243일이 걸리기 때문에 이는 자전이 원인이 아닙니다. 금성에서는 구름 상층에 초속 1
00
m의 강한 바람이 부는데, 이 바람이 금성 전체를 한 바퀴 도는 데 약 4일이 걸립니다. 금성의 밝기 변화에는 바람이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뜻입니다.흥미롭게도 금성의 밝기는 어느 때는 4일 어느 때는 5일 ... ...
[특집] 미션3. 빛으로 구조 신호를 보내라!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어떤 사물이 ‘있다’ 혹은 ‘없다’로 바꿔 쓸 수 있어요. 있으면 1이나 선, 없으면
0
이나 점으로 나타내면 되니까요. 실제로 무전기를 사용할 수 없는 군사 작전 중에는 빛을 이용해 모스부호로 정보를 전달해요. 전등을 껐다 켰다하며 신호를 보낸답니다. 김정구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 ...
[특집] 딥러닝의 모든 것은 ‘함수’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기술을 사용하는 데 어떤 규칙성도 없지. 다시 들을 수 있는 그리운 목소리2
0
2
0
년 2월 6일 방영된 MBC 다큐멘터리 ‘너를 만났다’ 제작팀은 그리운 사람의 목소리를 딥러닝으로 재현했어. 7살에 병을 앓다 세상을 떠난 나연이의 가족이 가상현실을 통해 나연이를 다시 만날 수 있게 한 거야. 나연이가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15화. 파이데이와 군론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있는 다른 복소수가 되는 것이죠.예를 들어 i×(-1)=-i는 9
0
° 회전과 18
0
° 회전을 더한 것이 27
0
° 회전과 같다는 의미입니다. 단위원군에서의 곱셈은 각도의 덧셈으로 볼 수 있죠. 이렇듯 절댓값이 1인 복소수들의 곱셈은 원의 대칭이동에서 각도를 더하는 것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원의 회전 대칭의 ... ...
승리호, 과학으로 탑승할 준비됐나?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나노봇 제어에 새로운 가능성을 연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doi: 1
0
.1
0
38/s41467-
0
21-21322-
0
그동안 체액과 같은 유체에서 나노봇을 자기장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로봇의 형태가 비대칭적이거나 유연해야 한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구형 입자는 대칭적이기 때문에 나노봇이 될 수 없었다. 연구팀은 실험 ...
[기획] π의 혁신을 불러온 무한급수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코일렌의 업적은 금세 유명무실해집니다. 영국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 아이작 뉴턴이 16
00
년대 후반 아크사인 급수의 변수 x에 1을 대입해 얻은 ‘뉴턴 급수’가 대표적입니다. 뉴턴 급수는 22번째 항까지만 계산해도 원주율의 소수점 아래 16번째 자릿수까지 정확하게 나왔습니다. 단숨에 라이프니츠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