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스페셜
"
미터
"(으)로 총 60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의 수중탐사는 언제 시작됐을까?
KISTI
l
2013.06.05
들어가는 것은 이야기가 달랐다. 물고기와 조개를 얻기 위해 잠깐 몸을 담그고 몇
미터
아래로 내려갈 수는 있었지만 호흡 때문에 오래 머물 수는 없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장치들이 고안됐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레베타(lebeta)라는 잠수장비에 대해 언급한 바 있다. ... ...
[채널A] ‘식중독’ 잡는 은나노 개발…입자 구조 바꿔 큰 효과
채널A
l
2013.06.04
입자의 구좁니다. 은나노는 입자가 작을수록 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연구진은 지름 700나노
미터
정도로 기존 은나노보다 훨씬 크고 둥글게 만들었습니다. 특히 은나노 중앙에 자성을 띄는 물질을 넣어 은나노가 병원균을 죽이고 나면 자석으로 끌어당겨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인터뷰: ... ...
나노로드 구조 고효율 박막 태양전지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5.31
기반의 박막 태양전지 단면 및 광전류-전압 곡선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0.6마이크로
미터
길이를 갖는 산화물 나노로드(나노막대)에 광흡수물질을 흡착하여 광전변환 효율 9.4%를 갖는 박막 태양전지 기술이 국내 연구진과 싱가폴 난양공대 연구진의 공동연구에 의해 개발되었다. 성균관대학교 박남규 ... ...
아리랑 3호 백서 발간
동아사이언스
l
2013.05.20
최문기 장관은 백서 발간 축사를 통해 ‘우리나라 기술력으로 세계 4번째로 서브
미터
급 해상도와 기동성능을 갖춘 다목적실용위성 3호의 개발과 성공적인 운영은 대한민국도 우주 선진국으로 진입하였음을 전 세계에 보여 주었다’고 언급하였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앞으로도 공공 및 민간 부문 ... ...
대한민국 우주기술의 자부심‘다목적실용위성 3호 백서’발간
동아사이언스
l
2013.05.20
최문기 장관은 백서 발간 축사를 통해 ‘우리나라 기술력으로 세계 4번째로 서브
미터
급 해상도와 기동성능을 갖춘 다목적실용위성 3호의 개발과 성공적인 운영은 대한민국도 우주 선진국으로 진입하였음을 전 세계에 보여 주었다’고 언급하였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앞으로도 공공 및 민간 부문 ... ...
전기장을 이용한 초고속 나노선(線) 프린팅 기술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5.07
이용해 1m/s의 빠른 속도로 인쇄할 수 있다. 또한 나노선을 이용해 수십에서 수백나노
미터
크기의 대면적(大面積, large-area) 패터닝에 성공함으로써, 반도체 직접회로 패턴 묘사기술에 사용되던 고가의 전자빔 리소그래피(Electron-Beam Lithography) 공정을 저비용의 유기 나노 리소그래피(organic nanowire ... ...
본다는 것의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사실이 밝혀졌다. 또 멜라놉신이 빛 가운데서도 파장이 짧은 파란빛(480나노
미터
(1나노
미터
는 10억분의 1
미터
)에서 가장 민감)에 반응한다는 사실도 발견됐다. 의미3: 옵신이 없어도 보고 옵신이 있어도 못 본다 최근까지도 과학자들은 동물에서 빛의 신호는 옵신 단백질을 통해서만 이뤄진다고 ... ...
세상을 바꾸고, 미래를 선도하는 혁신기술_반도체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족 원소를 이용한 화합물, 그 중에서도 황화인듐(InP, Indium Phospide) 기반 반도체기술과 나노
미터
수준에서 양자현상을 이용한 공명터널다이오드(Resonant Tunneling Diode, 이하 RTD) 소자기술을 이용한 초고속 아날로그 및 디지털 집적회로를 중점적으로 연구하 고 있다. 양자효과를 이용한 대부분의 소자들이 ... ...
천재의 머리에만 있던 장치가 세상에 빛을 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집속이온빔밀링이라는 기술로 폭 62나노
미터
(나노는 10억분의 1)인 두 틈이 서로 272나노
미터
떨어져 있는 이중슬릿을 만들었다. 그리고 바로 뒤에 압전소자로 움직이는 가리개를 붙였다. 가운데가 창문처럼 뚫려있는 가리개가 이동하면 닫혀 있던 슬릿 가운데 슬릿1이 열리고 이어서 슬릿1과 2를 다 ... ...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8000만 그루가 쓰러졌다고 한다. 그리고 수많은 순록이 타죽었다. 이 지역은 수십 킬로
미터
를 가도 사람 그림자도 볼 수 없는 외진 곳이었기에 인명피해는 보고되지 않았다. 이때 나무가 쓰러지는 방향이 원의 바깥을 향하고 있었기 때문에 1927년 무려 19년이나 지나 현장조사를 나간 과학자들은 ... ...
이전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