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미터"(으)로 총 603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미끄러지는 이유2014.09.29
- 리놀륨 바닥 위에서 쉽게 미끄러진 것. 반면 껍질의 안쪽 면이 거칠기가 수 밀리미터인 신발 바닥과 닿을 경우 균일한 졸이 형성되지 않아 덜 미끄럽게 된다. 바나나를 먹게 되면 어느 쪽 면을 밟느냐에 따라 정말 미끄러운 정도가 다른지 실험해보고 싶은 생각이 문득 들지만, 안 그래도 오래 ... ...
- 비전통자원, 셰일가스와 가스 하이드레이트2014.09.15
- 단점은 있다. 심해저에 부존해 있는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해저면에서 천부에(수백 미터 내외) 매장돼 있는데, 생산시 수반될 지반 안정성 위험성과 해양으로의 가스 유출에 대한 위험성이 존재하고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전통적인 가스 생산량이 감소하면서 매장량이 많은 셰일가스와 가스 ... ...
- 독창적인 광유전학기술로 뇌 비밀 밝힌다IBS l2014.09.04
- 1㎜ 깊이까지 뇌세포를 영상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보통 광학 현미경은 100㎛(마이크로미터, 1㎛=100만 분의 1m) 정도의 두께만 볼 수 있다. 그는 또 "연구단이 보유한 다양한 이미징 장비와 우리 그룹에서 개발한 새로운 바이오이미징 기술을 뇌과학 연구에 적용하면 뛰어난 연구성과를 거둘 수 ... ...
- [Green Focus 동아사이언스 l2014.08.21
- 전력망(전력망 감시제어시스템, 전력망 고장 자동복구체계), 지능형 소비자(스마트미터 보급, 에너지관리 자동화시스템), 지능형 운송(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전기차 운행시스템), 지능형 신재생(대규모 신재생 발전단지, 대용량 에너지저장시스템), 지능형 서비스(다양한 요금제도 개발, 실시간 ... ...
- 아세요? 암모니아 합성에 인류 에너지의 2%가 들어간다는 사실을2014.08.18
- 철산화물촉매의 나노구조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즉 20~40나노미터 크기의 나노촉매의 엄청난 표면적이 반응이 일어날 자리를 충분히 제공했던 것. 이 시스템에 하버-보슈법에 쓰는 보통 철산화물촉매(쇳가루)를 넣을 경우 암모니아가 거의 생기지 않는다. 하버-보슈법과 또 ... ...
- 뇌의 두 가지 지도, 정원과 도시IBS l2014.08.05
- 길지만, 굵기는 나노미터나 마이크로미터 단위로 매우 가늘다. 결국 나노미터부터 센티미터까지 함께 연구해야 하지만 (해상도가 mm 수준인) 현재의 MRI로는 불가능한 상황인 것이다. 반대로 '도시계획가'들은 세포 사이의 연결을 추적하는 '정원사'의 기법이 아직 뇌 전체의 영역을 거시적으로 ... ...
- [신재생에너지 기획③] 땅속의 무한 에너지, 지열동아사이언스 l2014.08.04
- 내려갈수록 지구의 온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 것은 16~17세기에 지하 수 백 미터까지 광산 개발이 이루어지면서부터다. 그러다 18세기에 들어서 최초로 온도계를 이용해 땅속 온도를 측정하게 됐다. 지열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기 시작한 시기는 명확하지 않지만, 19세기 초에 이미 ... ...
- 물고기 복지에 대한 고찰2014.06.23
- 사람보다도 광수용체가 하나 더 있다는 말이다(각각 최대 흡수파장은 400, 450, 530, 620나노미터). 후각은 말할 필요도 없다. 후각이 예민한 걸로 유명한 상어의 경우 민감도가 사람의 1만 배다. 반면 미각은 퇴화돼 신맛과 쓴맛 정도를 느낀다고 한다. 청각은 꽤 발달해 있는데, 참고로 물속에서는 ... ...
- 배에 실려 온 외래생물종의 습격! KISTI l2014.06.05
- 평형수만 빠져나가고 유해수중생물은 통과할 수 없도록 거르는 것이다. 50μm(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m) 정도의 아주 미세한 여과기를 사용하는데, 장치가 간단하고 비교적 많은 양의 평형수를 처리할 수 있다. 하지만 50μm보다 작은 수중생물은 처리하기 어렵고, 여과기가 막히면 이를 교체하거나 ... ...
- [채널A] 공포의 유독가스…1초에 5m 수직 상승채널A l2014.05.28
- 곧바로 연기가 나더니 위쪽부터 서서히 차오르기 시작합니다. 점화한 지 1분 만에 8.64제곱미터(2.6평) 공간의 상층 절반이 연기로 가득 찼습니다. 이번에는 천장이 막히지 않은 상태에서 실험해봤습니다. 연기가 위로 올라가는 속도는 1초에 최고 5m. [인터뷰 : 유용호 / 건설연 화재안전연구센터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