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미터"(으)로 총 603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7)공룡발굴에 헌신한 조피아 카일란-자우오로우스카2015.12.28
- 보존 상태가 거의 완벽한 어깨뼈와 팔뼈 한 쌍을 발굴했는데, 팔 길이가 무려 2.4미터였다. 그러나 다른 부위의 화석이 없어 이 공룡의 실체를 두고 반세기 가까이 논란이 계속됐고 이 박사팀의 발굴로 상황이 종료됐다. 1965년 몽골 탐사를 이끈 폴란드의 고생물학자 조피아 카일란-자우오로우스카 ... ...
- 생명연장 꿈 이뤄주는 힘센 난쟁이IBS l2015.12.28
- 딴 나노(nano)는 10억분의 1(보통 10-9)을 나타내는 단위로도 쓰인다. 1m의 10억분의 1인 1나노미터(nm)는 머리카락 굵기의 약 8만분의 1크기에 지나지 않는다. 당연히 이 정도의 영역에서는 기존의 물질이 가지고 있는 것과는 다른 특성을 지닐 수밖에 없다. 나노 영역에서는 물질의 광학적, 기계적, ... ...
- 영국, 해양 유류 오염 발생 시 대처 가이드 발표2015.12.17
- 한한다. 한편 유류처리제를 사용하려면 상황에 따라 MMO의 사용승인이 필요하다. 수심이 20미터이하이거나 수심 20미터 이하의 1해리 이내인 경우, 또는 표층하의 유류를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MMO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승인 요청이 있을 경우 MMO는 1시간 이내에 승인 또는 거부의 확답을 ... ...
- [영화 ‘하트 오브 더 씨’를 보고] 고래 잠수 능력의 비밀은… 2015.12.14
- 추가로 수백 미터가 확보됐지만 줄은 계속 풀리고 결국 이것도 얼마 남지 않았다. 수십 미터를 남겨놓고 안 되겠다 싶어 도끼를 들어 내리치려는 순간 줄이 더 이상 풀리지 않는다. 고래가 더 참지를 못하고 수면으로 떠오르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물에 뜬 지친 고래는 창에 수차례 찔리고 결국 ... ...
- 중국, 먼 바다 해상풍력단지 건설 시작 2015.11.12
- 해상풍력단지는 장쑤성 난퉁시 루둥현 동부에 위치해 있으며, 이곳의 바다 깊이는 3.7~15.3미터 사이이다. 이 사업은 중국 해상풍력발전 산업의 흐름을 바꿀수 있는 획기적인 변화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사업은 중국 광허그룹 풍력발전회사가 약 28억 위안을 투자하여 진행되었으며, 풍력발전기의 ... ...
- 우리보다 한발 앞선 스위스 그림젤 연구소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1.04
- 반긴다. 연구소는 외부로 노출된 곳이 아닌 화강암층으로 이뤄진 산 정상의 450~500미터 깊은 곳에 위치한 지하연구시설이다. 게다가 동굴 입구에서 무려 1km가 넘는 거리의 지름 3.5m 굴을 따라 땅 속으로 들어가야 한다. 사방이 화강암 바위로 이뤄져 있어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을 비롯해 독성이 ... ...
- 세계에서 가장 큰 섬 그린란드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0.23
- 이트륨, 스칸듐, 란탄 같은 희귀 광물이다. 하지만 이러한 천연자원은 두께가 수천 미터에 달할 정도로 거대한 빙하 아래에 있어 채굴할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었다. 그런데 최근 지구온난화로 얼음이 녹기 시작하면서 자원개발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석유와 가스는 얼음이 빠른 ... ...
- 네가와트 시대 온다동아사이언스 l2015.10.01
- 설명했다. 김 전문위원에 따르면, 수요반응의 핵심 기술은 전자식 전력량계인 스마트미터, 가격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양방향 통신시스템, 계량데이터 관리시스템(Measured Data Management System, MDMS)으로 구성되는 첨단계량인프라(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이다. AMI를 통해 수요반응(DR)을 구현할 수 ... ...
- 세계 첫 사용후핵연료 영구 처분시설 ‘온칼로’ 1화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9.22
- 온칼로는 핀란드말로 ‘은폐장소’라는 뜻이다. 이곳 연구시설은 지표면에서 깊이 455미터 지하까지 큰 나선 모양으로 지하터널로 연결돼 있다. 터널의 길이는 9.5km다. 이곳이 핵연료 처분장소로 적합한지 지하암반의 특성 연구가 한창이다. 온칼로는 세계 최초의 사용후핵연료 영구처분 ... ...
- 한국도 인공광합성 연구로 달린다동아사이언스 l2015.08.20
-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센터의 주요성과는 무엇일까. 2011년 제올라이트로 0.1nm(나노미터, 1nm=10억 분의 1m)도 구분할 수 있는 분자 분리막을 개발해 에 발표하기도 했지만, 이것보다 중요한 것은 물 전기분해용 전극의 가격을 낮추고 효율을 높이는 것이라고 윤 센터장은 강조한다. ... ...
이전495051525354555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