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스페셜
"
미터
"(으)로 총 603건 검색되었습니다.
'90.5를 기억하라'…인간마저 위협하는 플라스틱의 역습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2.09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이 실험 물고기로 흔히 쓰이는 제브라피쉬에게 수십nm(나노
미터
. 1nm은 십억 분의 1m)의 미세 플라스틱을 투여한 결과, 배아의 세포 속 미토콘드리아가 손상된 것으로 나타난 겁니다. 연구팀은 “미세 플라스틱은 자체로도 미토콘드리아를 손상시키지만, 다른 독성 물질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젊을 때 근력운동을 해두면 좋은 이유
2019.02.06
근섬유의 수축과 이완으로 힘을 내야 하는데 만일 보통 세포처럼 지름 수십㎛(마이크로
미터
. 1㎛는 100만분의 1m)인 공 모양이라면 섬유가 너무 짧기 때문이다. 근육을 이루는 근섬유는 근육세포 하나로 이뤄져 있는데 길이가 수십㎝에 이르기도 한다. 세포에는 세포핵이 하나 들어있지만 ... ...
미세플라스틱 몸속 들어오면 세포 꼼짝 못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0
미세플라스틱은 플라스틱 조각이 쪼개지거나 분해되면서 생기는 1㎛(마이크로
미터
·1㎛는 100만분의 1m) 이하의 작은 입자를 말한다. 현미경으로도 관찰이 어려울 정도로 크기가 작아 체내 깊숙이 침투할 수 있다. 하지만 구체적인 체내 흡수 과정이나 분포, 생물학적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몸통 검댕 나노입자의 탄생
2018.12.05
점점 덩치가 커지고 더 안정한 라디칼이 만들어지다 이들이 서로 뭉쳐 지름 1~4㎚(나노
미터
. 1㎚는 10억분의 1m)의 3차원 구조물인 ‘검댕 씨앗’이 된다. 일단 씨앗이 형성되면 주변에 있는 탄화수소와 라디칼이 순식간에 달라붙어 마치 눈덩이가 불어나듯 커지며 지름 10~50㎚인 공모양의 ‘검댕 ... ...
수소 연료 앞당길 효율 높은 나노 촉매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3
이중수차보정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해 나노입자의 구조를 1조 분의 1m 단위인 피코
미터
단위로 관찰하고 성분비를 분석해, 이 새로운 촉매의 특성을 밝혔다. 백현석 연구원은 “전자현미경의 성능을 더 개선해 하나의 원자가 나노 입자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 확인해 복잡한 구조의 나노입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TV의 과잉스펙 시대
2018.11.13
경우 최적시청거리는 1.14m다(그림에서는 세로축의 단위가 피트라 0.3을 곱해야
미터
가 된다). 이 거리에서는 해상도가 이보다 더 높은 영상이라도 우리 눈에는 더 선명하게 보이지 않는다. 반면 이보다 멀어지면 우리 눈은 해상도가 더 낮은 영상에서도 같은 수준의 선명도를 느낄 수 있다. 한편 5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민들레 씨앗의 유체역학
2018.11.07
개가 뻗쳐있는 구조다. 필라멘트의 길이는 평균 7.4㎜이지만 지름은 평균 16.3㎛(마이크로
미터
. 1㎛는 1000분의 1㎜)로 머리카락 지름의 5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 위에서 갓털을 내려다보면 필라멘트에 막혀 있는 공간이 얼마 안 돼 도저히 낙하산의 공기저항 효과를 낼 수 없을 것 같다. 참고로 어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보이지 않는 곳으로 사라지기도 했다. 내가 다른 젖소와 같이 계속 느릿느릿 걸어 몇백
미터
쯤 따라가면 앨리스가 숨바꼭질을 하는 게 보였다. 앨리스는 호두나무 뒤에 숨는다고 숨었지만 덩치가 너무 커서 당연히 너무나도 잘 보였다. 내가 자신을 발견했다 싶으면 다시 달려가서 다음 나무 뒤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가장 큰 종류로 유칼립투스속(屬)에 700여 종이 있고 대부분 호주에 분포한다. 키가 60
미터
넘게 자라는 종도 있다. 코알라는 이 가운데 먹이로 30여 종을 선호한다. 유칼립투스 잎에는 기름샘(oil gland)이 분포해 잎에 기름 성분이 많고 냄새가 강한 휘발성 물질을 다량으로 내놓는다. 소위 ... ...
[사이언스 지식IN] 일상 속 ‘라돈’ 피해 줄이려면 첫째도, 둘째도 ‘환기’
2018.06.03
실내 어딘가에서 나왔을 라돈 기체 농도를 낮추는 겁니다. 먼지를 흡착해 수 ㎛(마이크로
미터
) 크기 미세먼지를 거르는 필터로는 라돈 기체를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공기 청정기를 사용할 때도 반드시 수시로 환기를 해야 합니다. Q. 아파트에서도 라돈이 나온다는데, 정말인가요? A. 네,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