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스페셜
"
미터
"(으)로 총 60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픈 자, 죽는 자, 멀쩡한 자
2020.02.04
Viruses)’ 제공 숙주의 유전적 다양성이 차이 불러 바이러스는 크기가 나노
미터
단위인 작은 입자로 숙주 세포 안에서만 증식할 수 있는 기생체다. 한 줌에 불과한 게놈(코로나바이러스의 경우 3만 염기)으로 60억 염기쌍으로 이뤄진 사람의 세포를 이기려면 바이러스의 입장에서 많은 ... ...
김우주 교수 "무증상 감염 가능해도 전파력 낮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1.29
바이러스가 많이 들어 있다. 바로 눈 앞에 있는 사람은 환자가 기침할 때 0.5마이크로
미터
(1는 100만분의 1m) 이상 크기의 미세한 침방울이 눈이나 코, 입의 점막, 피부에 묻을 수 있다. 다만 피부는 단단한 막이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피부에만 묻어서는 침투하지 못한다, 바이러스가 눈이나 코나 입의 ... ...
[표지로 읽는 과학]세포를 완전한 3D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9
하지만 세포를 일일이 잘라내는 과정에서 세포가 망가지기 쉽고, 수십 마이크로
미터
(㎛·100만 분의 1m) 크기의 세포를 한번에 조망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연구팀은 두 현미경을 조합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우선 고압에서 세포를 동결시킨다. 세포의 활동을 급격하게 멈추고 얼리는 과정에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뉴턴의 사과
2020.01.09
확인된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최근의 실험결과 하나를 소개하자면 수십 마이크로
미터
까지 역제곱 법칙이 확인되었다. 반대로 아주 큰 우주적인 스케일에서 역제곱 법칙이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 우주의 암흑물질 등을 대체해서 설명하기 위해 일부 과학자들은 수정된 뉴턴 동역학(Modified ... ...
QLED vs. OLED vs. 마이크로LED…CES는 디스플레이 기술 각축장
동아사이언스
l
2020.01.08
선보였다. 홈엔터테인먼트에 적합한 디스플레이로, 스스로 빛을 내는 마이크로
미터
(100만 분의 1m) 크기의 작은 LED 하나하나가 화소가 되기 때문에 형태나 크기에 제약이 없는 게 특징이다. 수십 인치 크기의 가정용부터 100인치 이상 크기의 상업시설용 대형 스크린까지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빙판길은 왜 그렇게 미끄러울까
2019.12.25
물층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얼음 표면이 물체에 눌리면 그 충격으로 나노
미터
크기의 작은 얼음 조각들이 떨어져 나가 물과 섞이고 그 결과 물도 아니고 얼음도 아닌 ‘제3의 물체(a third body)’가 되면서 점도가 크게 높아진다는 것이다. 빙판 위에 놓인 하중이 클수록 점도가 더 ... ...
[인류와 질병] 남성 10명 중 4명 울리는 탈모
2019.12.14
참 이상한 체모다. 보통 체모는 아주 길게 자라지 않는다. 오직 머리털과 수염만 몇
미터
씩 자란다. 이유는 아직 잘 모른다. 비인간 영장류의 머리털의 길이는 체모와 비슷한 수준이다. 체모보다 긴 머리털을 가진 동물종은 그리 흔하지 않다. 하지만 대머리가 되는 영장류는 많다. 아리스토텔레스가 ... ...
가장 정교한 남극 빙하 밑 지형도 새로 그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3
제작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오사이언스’에 이달 13일 공개했다. 남극대륙은 수천
미터
두께의 빙하로 덮혀 있다. 빙하는 땅 위에 멈춰있지 않고 흐르면서 녹는 정도가 달라진다. 빙하 아래 지형 구조가 빙하가 흐르는 방향과 속도를 결정하기 때문에 빙하가 바다에 잠기면서 일어나는 해수면 ... ...
VR용 초고해상도 OLED, 유리 위엔 올릴 수 없다는 ‘고정관념’ 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9
디스플레이에 쓸 수 있는 수준의 해상도에 도달했다. 조 박사는 OLED 용액을 13.6마이크로
미터
(㎛·100만 분의 1m) 간격으로 담을 수 있는 특수 용기를 개발하고 여기 담긴 용액을 끓여 날려 보내 유리 기판에 그대로 옮기는 기술을 개발했다. 우선 용액이 담길 길고 얇은 채널이 여러 개 나열된 특수 ... ...
[표지로 읽는 과학] 한층 더 상세하게 재현한 뇌 신경세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1
대한 분석 및 작업을 약 4000시간 정도 투자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50만 세제곱마이크로
미터
(㎛3·100만분의 1m)의 부피로 신경세포를 재구성하는데 성공했다. 이는 이전에 존재하던 모형보다 300배 이상 더 큰 부피로 공간 해상도가 높아졌음을 뜻한다. 공간해상도가 높을수록 신경세포간 구분이 쉬워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