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스페셜
"
미터
"(으)로 총 60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진핵생물 진화의 열쇠 쥔 고세균, 배양에 성공하다
2019.08.27
phagocytosis)으로 포획했을 고세균과 비슷하다면 덩치가 꽤 커야 하는 데 1㎛(마이크로
미터
. 1㎛는 100만분의 1
미터
)도 안 돼 대장균보다도 작았기 때문이다. 박테리아를 잡아먹기는커녕 잡아먹힐 크기다! 그러나 자세히 들여다보자 MK-D1의 생김새가 예사롭지 않았다. 세포 표면에 짧은 줄 같은 ... ...
WHO "식수 속 미세플라스틱 위험 수준 아냐" 학계선 추가 연구 필요 제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8.25
분석했다. 이들 식수를 분석한 결과 93%가 미세플라스틱에 오염돼 있으며 100마이크로
미터
(μm)보다 큰 입자가 1리터당 10.4개나 들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0μm보다 작아서 플라스틱인지 아닌지 확실지 않은 입자도 1리터당 314개씩 발견했다. 병마다 들어 있는 플라스틱 입자의 개수는 큰 차이가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헬레니즘 시대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달의 거리를 어떻게 구하는지를 설명했다.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는 약 1억5000만 킬로
미터
이다. 태양의 크기를 재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지구-태양 사이의 거리를 아니까 지구에서 태양의 위-아래, 또는 좌-우 끝을 바라보는 각도를 재면 된다. 놀랍게도 지구에서 태양을 바라보는 겉보기 크기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달걀 감별하는 시대
2019.08.21
난각막은 남겨두고 겉의 껍질만 없애는 방법을 개발했다. 난각막은 두께가 6㎛(마이크로
미터
. 1㎛는 100만분의 1m)에 불과하기 때문에 근적외선이 투과하면서도 알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현재 연구자들은 AAT라는 회사와 손을 잡고 시제품을 만드는 단계에 있다고 한다. 달걀에 전혀 손상을 주지 ... ...
[표지로 읽는 과학] 외계의 전파 신호, 정확한 위치가 잡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1
표지에 담았다. 이는 호주 서부에 위치한 대형 전파망원경 집합체인 ‘호주 스퀘어 킬러
미터
어레이 패스파인더(ASKAP)’의 모습이다. 12
미터
구경의 대형 전파망원경 36대로 구성된 ASKAP는 우주에서 오는 전파 신호의 발생 위치를 정확히 잡아내는 능력을 갖췄다. ASKAP는 우주에서 오는 짧지만 강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빛으로 나노
미터
급 미세소관 움직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1
물질 이동에 관여한다. 약 25나노
미터
(nm, 10억분의 1
미터
)의 지름에 200나노
미터
~25마이크로
미터
(μm, 100만분의 1
미터
) 길이의 원통 형태로 이뤄졌다. 인간의 머리카락보다 약 1000배 얇은 수준이다. 표지 속 오렌지색의 동그란 물체가 모터 역할을 하며 미세소관을 움직인다. 이 동그란 물체의 정체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모두가 동의하는 허블상수 구할 수 있을까
2019.07.30
1메가파섹(메가는 100만, 1파섹은 약 3.26광년) 떨어져 있는 천체는 초당 500킬로
미터
속도로 멀어진다며 이를 ‘K=500’으로 표시한 것이다. 훗날 K는 H0로 바뀌었고 허블상수(Hubble constant)로 불리고 있다. 그런데 허블이 허블상수를 발표한 지 90년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허블상수에 대한 논문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잉크 안 쓰는 컬러프린터를 만들다
2019.07.02
플라스틱에 교차반응이 번갈아 일어나게 하는 정상파 광학 기술은 최소 1.8㎛(마이크로
미터
. 1㎛는 100만분의 1m) 크기로도 가능해 1만4000dpi(인치 당 화소수)의 해상도가 구현할 수 있다. 반면 일반 잉크젯 프린팅의 해상도는 아무리 좋아도 1200dpi 수준이다. 잉크 방울의 크기를 더 이상 줄일 수 없기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킬로그램, 130년 만의 전진
2019.06.27
있다면 이를 숫자로 표현한 자연상수들이 우리에게도 아주 익숙한 모습일 것이다. 가령 1
미터
는 우리의 신체 크기와 비슷하다. 그러나 코페르니쿠스 이후로 우리는 우주의 변방으로 일찌감치 밀려났다. 과학이 인류에게 가져다 준 가장 큰 선물은 아마도 우리가 이 우주의 특별한 존재가 아니라 ... ...
[표지로 읽는 과학] 자가면역질환 치료의 새 희망 '비타민B6'
동아사이언스
l
2019.06.15
2’(SHMT2)-‘탈유비퀴틴 BRCC36 이소펩티다제 복합체’(BRISC)의 모습을 0.38 나노
미터
(㎚, 10억분의 1m)의 해상도로 구현한 것이다. 영국 리즈대 엘튼 제키라 분자및세포생물학부 교수 연구팀은 자가면역질환에 관여하는 SHMT2-BRISC의 모습을 극저온 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해 그 역할을 파악하고 비타민 B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