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7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액체 금속 전자회로’ 개발… 접을 수 있는 기판 나온다동아사이언스 l2018.07.18
- 유연성 소재로 만들기 어려워 실용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서울대 공대 기계항공공학부 고상근 교수팀은 자유롭게 구부러지는 ‘액체 금속’을 이용, 전자회로의 굵기가 수 ㎛(마이크로미터, 1㎛는 100만분의 1m) 단위인 전자회로를 제작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렇게 제작된 액체 ... ...
- “수능서 기하-과학Ⅱ 빼는 것은 이공계 사망선고”…13개 과학기술단체 공동 서명운동동아사이언스 l2018.07.18
-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이번 서명운동에는 과총과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국공학한림원, 전국자연과학대학장협의회,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 한국약학교육협의회, 기초과학학회협의체, 한국수학관련단체총연합회, 한국과학교육단체총연합회, 바른 ... ...
- [뉴스룸]‘메이커’를 가르칠 선생님이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 l2018.07.18
- 어려운 까닭이다. 메이커 활동은 긍정적으로 바라볼 여지가 크다. 국민들의 과학과 공학 소양이 높아지길 기대할 수 있고, 다양한 경제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최근엔 메이커에게 필요한 공구나 재료를 판매하는 등 관련 사업을 벌이는 사람도 늘고 있다. 이런 효과가 모이면 국가적 경제 ... ...
- 레이저 비추면 숨어있던 입체영상 생생히… 신개념 보안기술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8.07.18
- 보안식별 영상기술을 개발했다. 노준석 포항공대 기계공학과 교수팀과 서울대 재료공학부 남기태 교수팀은 홀로그램과 반사형 디스플레이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메타표면’ 제작에 처음으로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메타표면은 빛의 파장보다 작은 크기의 구조물을 배열해 만든 소자다 ... ...
- [카드뉴스] 보이지 않아도 알아요2018.07.12
- 색도 없기에 탐지하기도 쉽지 않다. 박인규 KAIST 기계공학과 교수와 정연식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플라스틱의 일종인 폴리스티렌구슬이 스스로 조립되는 현상을 응용해 실리콘 기반의 수소 탐지 센서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수소에 반응하는 원소인 팔라듐을 나노 입자로 만들었다. 그 뒤 ... ...
- 프로야구 ‘갑 중의 갑’은 ‘강속구 투수’동아사이언스 l2018.07.09
- 꽂아 넣는 투수가 한층 더 유리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포항공대(POSTECH) 산업경영공학과 정우성 교수팀은 메이저리그(MLB) 선발투수들을 두 종류로 구분하고, 빅데이터 분석으로 어떤 유형의 투수가 팀 승리에 더 기여하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일관성 있게 같은 스트라이크 존에, 빠른 속도로 ... ...
- 다이아몬드 속에 ‘양자컴퓨터의 미래’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8.07.09
- 양자컴퓨터에 활용할 정보처리 기술을 개발했다. 브렌던 로즈 미국 프린스턴대 전기공학과 연구원팀은 인공 다이아몬드 내부에 인위적으로 실리콘 성분을 넣어 다이아몬드 특유의 규칙적인 구조를 깬 뒤, 그 틈 안에 전자 등 입자를 넣어 양자계산 및 메모리에 활용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연구 ... ...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새 원장에 김장성 현 부원장 동아사이언스 l2018.07.06
- 석사(1991년), 종양생물학 박사(2005년) 학위를 취득했다. 1990년부터 2010년까지 (재)목암생명공학연구소 연구위원 및 이사로 재직했으며 이후 생명연구원에서 미래연구정책본부장과 부원장 등을 역임했다. 김 원장은 "생명과학기술 분야 연구개발 및 공공인프라 구축·운영에 역량을 집중해 국가 ... ...
- 뇌-유전자-우주의 비밀...스타 과학자 5人에게 듣는다 '사이언스 바캉스 2018'과학동아 l2018.07.06
- 대신 행동하는 기술)나, 인간의 뇌를 닮은 인공지능(AI) 개발에 응용할 수 있다. 그는 “뇌공학 연구가 앞으로 미래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함께 생각해보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재승 KAIST 교수. -사진 제공 정재승 황정아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우주 날씨’를 소개한다. ... ...
- [카드뉴스] 세상에서 가장 작은 로봇이 말하는 당신의 건강은?2018.07.05
- 했다. 4. 3D 프린터로 만드는 스마트한 나노-마이크로 로봇 리준양 홍콩성시대 기계및의공학과 연구원팀은 3D 프린터로 구멍이 많고 속이 비어 있으며 표면 곳곳에 뿔이 난 수십 마이크로미터의 축구공 모양 초미세 입체 구조를 만들었다. 비록 관절을 움직이는 등 세부 동작은 할 수 없지만, 금속 코팅 ... ...
이전6086096106116126136146156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