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71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
2018.06.19
55년 아인슈타인이 사망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라고 한다! 사실 이런 현상이 과학이나
공학
분야에서만 보이는 건 아니다. 예술도 마찬가지다. 1984년 영화로 만들어져 유명해진 연극 ‘아마데우스’에서 재능이 없는 평범한 음악가 살리에리는 “저런 천박한 영혼이 어떻게 이처럼 아름다운 ... ...
조용히 수영하는 ‘뱀장어 로봇’
과학동아
l
2018.06.19
반복하면서 헤엄친다. 속도는 초당 약 1.9mm다. 마이클 톨리 UC샌디에이고 기계항공
공학
과 교수는 “실제 동물의 행동을 흉내 낸데다 소음이 발생하지 않아 해양생물을 가까이에서 관찰할 수 있게 됐다”며 “로봇이 물속에서 활동하는 동안 물속에 전류를 방출하지 않아 해양생물에게 해를 끼치지 ... ...
이상엽 KAIST 특훈교수, 화학
공학
분야 권위상 ‘덴쿼츠 기념강연 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8.06.19
이상엽 KAIST 특훈교수. - 사진 제공 KAIST 이상엽 KAIST 생명화학
공학
과 특훈교수(55)가 ‘댄쿼츠 기념강연상’ 2018년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KAIST가 18일 밝혔다. ... 규명하는 등 친환경적인 화학 기술 연구를 선도해왔다. 시상식은 10월 말 미국 피츠버그 미국화학
공학
회 연례총회에서 열린다. ... ...
“힘 두 배” 진짜 근육 능가하는 인공 근육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18
인체를 닮은 로봇 팔 등을 만들 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현택 서울대 기계항공
공학
부 박사와 안성훈 교수팀은 다른 형태로 변형된 뒤 특정 조건이 되면 다시 원래 형태를 회복하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해 빛으로 움직이는 인공 근육 섬유를 만들었다. 관건은 형상기억합금의 재료와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 지능형 서비스 로봇의 완성형… ‘월-E’
동아사이언스
l
2018.06.18
하지만 인간형 로봇에 회의적인 전문가도 의외로 자주 눈에 들어온다. 인간형은 사실
공학
적인 면에서 볼 때 대단히 비효율적이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평지에선 두 발로 걷는 것보다 바퀴를 이용하는 편이 월등하게 유리하다. 험지라면 무한궤도(일명 캐터필러)가 훨씬 유리할 수 있다. 만약 ... ...
[2018년 필즈상] 미분기하학 난제, 새 관점으로 푼 브라질의 마르케스 교수... 자국에서 영예 안을까?
수학동아
l
2018.06.18
마르케스 교수가 처음부터 수학을 공부했던 건 아닙니다. 대학교 학부 전공은 토목
공학
인데, 대학 때 수학에 매료돼 수학자로 진로를 바꿨습니다. 아주 어릴 때부터 수학을 좋아했지만 수학자가 어떤 일을 하는지 몰라서 수학자를 꿈꿔 본 적은 없다고 합니다. 그래서 브라질 학생들에게 수학자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상상하는 대로...3D 프린터로 찍고 자기장으로 조종하는 소프트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8.06.17
활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를 모은다. 김윤호, 육현우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기계
공학
과 연구원팀은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부드러운 재질의 실리콘 고분자 재료를 인쇄했다. 이 때 재료 안에 자기장을 지닌 작은 입자를 넣었다. 연구팀이 개발한 3D 프린터는 특수한 장치가 돼 있어서 자기장 ... ...
소리로 토네이도 발생 예측
과학동아
l
2018.06.15
도움이 될 전망이다. Justin Hobson(W) 제공 브라이언 엘빙 미국 오클라호마주립대 기계우주
공학
과 교수팀은 5월 7~11일 미국 미네소타주에서 열린 ‘제175회 미국음향학회 연례회의’에서 토네이도 형성 시 발생하는 소리를 분석해, 먼 거리에서도 토네이도 발생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 ...
공간 일부만 보고 전체 모습 유추하는 AI… 2D 장면 몇 개로 3D 영상 만들어
동아사이언스
l
2018.06.15
3D 지도를 만들거나 공간을 동영상으로 살펴보는 것도 가능하다. 이경무 서울대 전기정보
공학
부 교수는 “사람이 일일이 가르쳐야 했던 머신러닝(기계학습)의 근본 한계를 뛰어넘은 결과로, 사람의 지각 능력에 가장 가깝게 다가섰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인공지능(AI) ‘제너레이티브 퀘리 ... ...
핵 폐기 한다면...北-美 어디에 둘까, 핵과학자 이주 가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6.12
재배치하고, 재처리 분야에 종사하는 과학자들은 북한에 필요한 비료 산업과 같은 화학
공학
분야로 전환시킬 수도 있다. 이 선임연구원은 “제한적 연구만을 수행한 과학자들 입장에서는 해외에서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반길 것”이라며 “과학자들의 의견을 존중하는 김정은 정권도 이를 크게 ... ...
이전
612
613
614
615
616
617
618
619
6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