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710건 검색되었습니다.
- UNIST, 만성질환 원인 병원균 생물막 먹어치우는 박테리아 특성 발견동아사이언스 l2018.07.05
- 먹어치울 능력이 있음을 새로 발견했다. 로버트 미첼 울산과학기술원(이하 UNIST) 생명공학부 교수팀은 포식성 박테리아인 벨로가 다른 세균 그룹인 그람양성균의 세포막도 영양분으로 삼을 수 있음을 발견하고, 이런 성질을 이용해 그람양성균도 퇴치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고 5일 밝혔다. ... ...
- 어르신 낙상 예방...노인 근육 감소, 혈액으로 조기 진단 동아사이언스 l2018.07.05
- 통해 건강한 고령사회에 기여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노화제어연구단 권기선 박사팀과 서울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정선근 교수팀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바이오・의료 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생물학 분야 학술지 ... ...
- 쥬라기 월드 영화만?...영화적 상상력-과학적 사고력 다리 놓는다동아사이언스 l2018.07.04
- 방문연구원이 30일 서울 용산 CGV아이파크몰에서 공룡 관련 특강을 하고 있다. 유전자공학을 활용한 공룡의 부활 가능성, 공룡 시대의 환경 및 다양한 공룡의 행태 등 영화에 나타난 공룡 관련 설정과 궁금증 등을 최신의 연구 동향과 함께 소개했다.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등 행사에 참가한 ... ...
- 풍뎅이 껍질에서 아이디어...초미세 레이저 기기 탄생동아사이언스 l2018.07.04
- 의료용 기술에 응용한 초미세 레이저 기기가 개발됐다. KAIST는 김신현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이 풍뎅이의 일종인 ‘크리슈나 글로리오사 풍뎅이’의 껍질 구조를 응용해 머리카락 굵기와 비슷한 수십 마이크로미터(μm·1μm는 100만 분의 1m) 크기의 공 모양 레이저 발생 기기를 개발했다고 3일 ... ...
- 스마트폰 지문인식, 화면 어디를 눌러도 상관없다!동아사이언스 l2018.07.04
- 손을 얹어도 지문을 읽어내는 기술을 개발했다. 박장웅 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부 교수팀은 은나노 입자를 이용해 압력과 손가락 피부 온도를 동시에 감지하는 다공간 투명 지문인식 센서를 개발, 3일(현지시각)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했다. 지문인식은 불투명한 ... ...
- 촉촉한 맛 그대로...오븐의 재발견, 밀레 다이얼로그 오븐2018.07.03
- 적절한 에너지가 전달되고, 실시간으로 상태를 파악해 필요 이상으로 조리하지 않는 공학적인 방법이 음식을 다른 방법으로 구워내는 겁니다. 여기에 일반적인 오븐의 열이 함께 가해지면서 최적의 조리 조건을 만들어내는 게 핵심입니다. 그래서 열을 가하는 오븐과 마이크로웨이브 사이의 ... ...
- 양성자 쬐어 치매 원인물질 제거한다동아사이언스 l2018.07.02
- 산화철 나노입자를 무해한 성질을 갖도록 바꾸준다. 김종기 대구카톨릭대학교 의공학교실 교수 연구팀은 투과성 양성자를 이용해 알츠하이머성 뇌의 신경독성을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한국연구재단이 2일 밝혔다. 알츠하이머 치매의 원인 물질로 베타 아밀로이드와 타우 단백질이 꼽힌다. ... ...
- 초소형 로봇 몸 속 주입, 세포 원하는 곳 보낸다동아사이언스 l2018.07.02
- 몸속에 전달해 치료하는 등 의학적 활용이 기대된다. 리쥔양 홍콩성시대 기계 및 의공학과 연구원팀은 3D 프린터로 구멍이 많고 속이 비어 있으며 표면 곳곳에 뿔이 난 축구공 모양의 초미세 입체 구조를 만들었다. 먼저 가루 형태의 재료를 놓고 레이저를 원하는 부위에 쪼여 그 부분만 굳게 하는 ...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금속 생명체 탄생 가능할까… 트랜스포머동아사이언스 l2018.06.29
- 다소 차이가 있지만, 트랜스포머라는 이름 그 자체가 갖는 무게감은 로봇과 기계공학을 좋아하는 사람에게 ‘결코 이룰 수 없는 완벽한 메커니즘’이라는 꿈으로 다가오기엔 충분해 보인다. 그 정도면, 트랜스포머도 과학기술의 발전에 나름대로 한 몫 기여하고 있는 건 아닐까 싶다. 트랜스포머 ... ...
- 1분에 뉴클레오티드 200개 연결, DNA 초고속 합성 과학동아 l2018.06.29
- 차단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생명공학’ 6월 18일자에 실렸다.doi:10.1038/Nbt.4173 제이 키슬링 미국 UC버클리 교수팀 소속 세바스찬 팔룩 연구원(왼쪽)과 그의 동료 대니얼 애로우가 DNA 합성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Marilyn ... ...
이전609610611612613614615616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