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hemistry
화학기계
기계
화학물리학
물리학
자연 과학
뉴스
"
화학
"(으)로 총 6,952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인 첫 日 이
화학
연구소(RIKEN) 종신 주임연구원
2015.04.10
“1996년 서울대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도쿄에 여행을 왔어요. 원래 미국에서 박사학위를 받을 생각이었는데, 도쿄 여행이 계기가 돼 도쿄대 ... 석학과 신진 연구자들이 조화롭게 섞여 있다”면서 “한국의 젊은 과학자들이 이
화학
연구소의 문을 적극적으로 두드리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
“통합수능 봐야만 창의적 인재 되나?”
2015.04.07
‘통합교육’에 수능까지 바꿀 필요 없어”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제공 이덕환 서강대
화학
과 교수(오른쪽 사진)는 이날 발표에서 “정부가 시행하고자 하는 교육은 ‘통합’이라는 이름으로만 바뀌었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수능통합에 관련해 정부 당국에서 아무것도 내 놓은 것이 ... ...
단 1분 만에 충전, ‘꿈의 배터리’ 나온다
2015.04.07
저렴한 배터리를 개발했다. - 스탠포드대학교 제공 홍지에 다이 미국 스탠퍼드대
화학
과 교수팀은 충격을 가하거나 구멍을 뚫어도 폭발하지 않으며 1분이면 완전히 충전되는 새로운 알루미늄 전지를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알루미늄 전지는 제조 단가가 싸고 사용 시간이 길어 자동차용 전지로 ... ...
자연에 답이 있다! 바이오재료의 세계
2015.04.07
진행했고 지난해 6월 SLIPS테크놀로지라는 회사는 세웠다. 지난해 10월 SLIPS테크놀로지와
화학
업계의 거인 바스프는 SLIPS가 코팅된 열가소성수지를 만들기로 계약을 맺었다. ● 거미줄보다 단단한 삿갓조개 이빨 삿갓조개의 치설에 박혀있는 이빨. 바위에 붙어있는 조류를 긁어먹는데 쓰이는 ... ...
플라스틱에 그래핀 섞어 공기 차단 성능 240배 ↑
2015.04.07
유남호 KIST 선임연구원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제공 흔히 플라스틱이라고 부르는 합성수지 중엔 ‘고분자복합재료’로 분류하는 것들이 있다. 강도나 내열성이 우수하고 ... ’ 3월 24일자에 게재됐다. 연구팀이 개발한, 합성수지 혼합용 그래핀을 나타낸
화학
식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
서울~대전 쉬지 않고 달릴 수 있는 배터리 나온다
2015.04.06
가까스로 다닐 정도이며 언덕 등을 만나면 거리는 더 줄어든다. 박호석 성균관대
화학
공학과 교수(사진)팀은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배터리 용량을 2배 이상 늘릴 수 있는 전극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현재 사용되는 리튬이온 전지보다 출력이 높아 언덕도 쉽게 오를 것으로 보여 이 배터리가 ... ...
지긋지긋한 항암제 부작용 없애는 기술 나왔다
2015.04.02
연구팀이 규명한 트랩1단백질(푸른색)과 저해약물(붉은색)의 결합구조. -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부작용이 전혀 없는 항암제 후보물질 ...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성과는 미국
화학
회가 발간하는 국제 학술지 ‘미국
화학
회지(JACS)’ 3월 31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이제 과학도 요리가 대세?
2015.03.30
다양한 젤화제를 찾아 액체 식재료를 젤로 만든 막 안에 가두는 요리들이 탄생했고
화학
실험실에서 진공을 걸어 용매를 날려 시료를 농축하는 기구인 진공회전농축기(rotovap)를 써서 기존의 요리과정에서는 잃어버릴 수밖에 없는 향기분자를 유지한 식재료를 이용한 요리를 개발할 수 있게 됐다. 또 ... ...
우주서 영감 얻은 예술작품이 궁금하다면
2015.03.29
현장에서 만나 잠깐 이야기를 나눈 일이 있었다. 당시 이 군은 학교
화학
동아리 회장으로 축전에서 부스를 차리고 실험을 진행했다. 그날 축전에 왔던 김승환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도 이 부스를 재미있게 봤다고 꼽을 정도로 인상적이었다. 이 군은 이후에도 종종 소식을 전해왔다. 이 ... ...
“빅뱅 이전에는 무엇이 있었을까?”
2015.03.29
어떻게 변해갈지 짚는다. 유독 물질의 배출구로서의
화학
이 환경을 생각하는 ‘녹색
화학
’으로, 또 지구 환경을 복원하고 재생하려는 ‘블루 케미스트리’로 전환되는 과정을 살펴보자. ... ...
이전
616
617
618
619
620
621
622
623
6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