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hemistry
화학기계
기계
화학물리학
물리학
자연 과학
뉴스
"
화학
"(으)로 총 6,952건 검색되었습니다.
‘친환경’ ‘유기농’ 인증 제품, 어디까지 믿어야 하나
2015.03.08
“어떠한 물질도 절대적으로 안전한 것은 없다”며 “인증기관에서 생활용품에 쓰이는
화학
물질에 대해 소비자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그래핀이 안 된다면 이 물질로?
2015.03.08
전기 흐름을 제어하는 반도체적 성질이 부족해 상용화가 더딘 상황이다. 연구팀은
화학
적 합성법을 통해 탄소와 질소가 일정한 비율로 섞인 새로운 2차원 구조체(C2N-h2D)를 개발했다. 이 구조체를 주사터널링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그래핀과 달리 반도체가 되기 위해 필수인 ‘띠 간격(Band Gap ... ...
스마트워치는 스마트폰이 될 수 있을까
2015.03.08
기능을 추가할 수 있게 만든 스마트워치는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 봤다. 오준학 포스텍
화학
공학과 교수팀이 스마트워치에 탑재할 수 있는 플랙서블 오염물질 감지 센서를 개발했다는 내용이었다. 마치 애플리케이션처럼 소비자가 자신의 필요에 맞는 프로그램을 내려받아 스마트워치를 활용하게 ... ...
방사능 오염 토양에서 건강하게 식물 자랄 수 있다
2015.03.05
구조. - 일본이
화학
연구소 제공 연구팀은 후쿠시마 등 방사성 물질 오염지역에 이같은
화학
물질을 적절히 병행하면 관련 지역 농지 복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번 세스톨렌A와 결합한 세슘은 다시 원상태로 돌아가지 않기 때문이다. 신 박사는 “방사성 물질은 여러 종류가 있지만 ... ...
정신분열증에도 ‘사랑 호르몬’이 藥
2015.03.04
옥시토신을 뇌에 도착하게 하는 대신 옥시토신 호르몬이 뇌에서 분비되도록 자극하는
화학
물질인 멜라노코르틴으로 해법을 찾았다. 연구팀은 북미 대륙에 주로 서식하는 프레리들쥐에게 멜라노코르틴을 주입했다. 이 들쥐는 짝짓기를 한 암수가 부부가 돼 장기적인 유대관계를 유지하는 ... ...
[요즘대세 공대가 좋아 Part3] 터치스크린 발표에 농담도 영어로
과학동아
l
2015.03.03
인기가 떨어지면 기계과의 인기가 상승하는 식이다. 생명공학과로 통칭되는 생명
화학
공학과와 생명과학과는 2000년대 초반에 생긴 이후 최근까지 꾸준히 인기를 유지하고 있다. 항공우주학과, 정보 및 통신공학과, 의과학과는 최근 5~6년 사이 인기가 바짝 높아졌다. 건설 및 환경공학과와 원자력 및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일인자 사사이 요시키 박사. - 일본이
화학
연구소 제공 지난해 자살한 일본 이
화학
연구소(리켄)의 줄기세포연구가 사사이 요시키 박사는 간통혐의(아마도 사실이 아닐 것이다)가 결정타가 돼 인생을 망친 사람이다. 같은 연구소 오보카타 하루코 박사팀이 2014년 1월 학술지 ‘네이처’에 낸 줄기세포 ... ...
뱃속 아기 성별 구별할 수 있다?
2015.02.25
사실도 확인했다. 암컷을 밴 어미에 비해 수컷 새끼를 밴 어미의 체취를 구성하는
화학
성분과 페로몬의 종류가 더 적었다. 수컷 새끼를 밴 암컷 여우원숭이의 체취가 가장 단순했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어미 여우원숭이의 체취는 혈중 호르몬의 농도와 종류에 영향을 받는다”면서도 “수컷을 ... ...
광주과학기술원(GIST) 신임 총장에 문승현 교수 선임
2015.02.25
가운데 문 교수를 제7대 총장으로 결정했다. 문 신임 총장은 광주제일고와 서울대
화학
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일리노이공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4년 GIST 환경공학과(현 환경공학부)에 부임해 학과장, 국제환경연구소장, 교학처장, 솔라에너지연구소장을 역임했으며, 2006~2008년 부원장 ... ...
레이저프린터로 DNA 뽑는다
2015.02.24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권성훈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팀과·방두희 연세대
화학
과 교수팀은 공동으로 오류 없이 합성 DNA를 초고속으로 추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오염에 강한 효모균이나 특정한 기능을 강조한 대장균을 가능케 하는 합성생물학은 생명체의 ... ...
이전
620
621
622
623
624
625
626
627
6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