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hemistry
화학기계
기계
화학물리학
물리학
자연 과학
뉴스
"
화학
"(으)로 총 6,952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뭇잎보다 효율 좋은 인공광합성 장치 나왔다
2015.03.17
원료로 쓰이는 일산화탄소를 생산했는데, 일산화탄소는 t당 132만 원에 판매되는 값비싼
화학
원료다. 민 연구원은 “생산된 일산화탄소의 순도가 90%를 넘는다”며 “효율을 10%까지 끌어올리면 울릉도 면적의 1.4배(100㎢)의 땅에서 연간 10조 원 가치의 일산화탄소를 생산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5cm 크기 10분 만에 인쇄하는 3D프린터 개발
2015.03.17
더욱 매끄러워졌고, 형태도 한층 정교해졌다. 양동열 KAIST 기계공학과 교수는 “주로
화학
자와 의생물공학자들이 이 3D프린터 개발에 참여한 점도 흥미롭다”며 “획기적인 기술 개발에는 다학제간 연구가 필수”라고 말했다. ... ...
드라마 ‘스샷’ 찍듯 단백질 반응 찍는다
2015.03.17
교환현상을 분석하는 데 성공했다. 또한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작은 물방울에서는 생
화학
반응 속도가 평소보다 1000배 정도 빨라지는 현상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 방법을 통해 3㎲의 정밀한 시간분해능으로 단백질 반응과정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남 단장은 “이전까지 보기 어려웠던 초고속 ... ...
암세포 스스로 자살, 신개념 항암제 나온다
2015.03.16
항암후보 물질을 개발했다. 동물실험에서 부작용도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세대
화학
과 신인재 교수팀은 암세포를 보호하는 ‘열충격단백질(HSP70)’을 파괴해 암세포의 자살을 유도할 수 있는 ‘아폽토졸(Apoptozole)’이란 물질을 새롭게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HSP70은 일반 세포에 열이나 ... ...
미래형 3차원 반도체 제조법 발견
2015.03.16
새롭게 개발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반도체 소자로 자주 쓰이는 산화아연을 가공할 때
화학
적 반응을 일으키는 반응물질의 농도를 이용하면 길이와 굵기를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낸 것이다. 산화아연 나노막대는 반응물질에서 재료를 얻어 성장한다. 반응물질의 농도가 부족하면 여러 ... ...
4D 프린팅이란? “물체가 스스로 조립된다는 점에서 3D 프린팅보다 한 단계 진화”
동아닷컴
l
2015.03.16
한 단계 진화했다. 지난해 여름 홍콩에서 열린 ‘미국전기전자공학회(IEEE) 로봇 및 자동
화학
회’에서는 ‘트랜스포머’처럼 스스로 조립되는 전등이 등장했다. 평면에 펼쳐진 몸체와 센서 등에 열을 가했더니 어느새 전등으로 변신한 것이다. 이 학회에서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다니엘라 루스 ... ...
인간이 지구를 변화시킨 지질시대 ‘인류세’
2015.03.15
실용적인 합성 방식이 나온 것이다. 연구팀이 이번 자동화 공정에 쓴 전략은 실제로
화학
물을 블록처럼 쌓는 것이다. 연구를 진행한 마틴 버크 교수는 논문에서 “자연에서는 복잡한 천연물이 사면체 구조 합성을 통해 만들어지는데 여기서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필요한 ... ...
‘딱딱한 반도체’의 주범 절연막 부드러워졌다
2015.03.10
있었다. 연구팀은 액체 대신 기체 상태의 반응물을 사용하는 ‘개시제를 이용한
화학
기상 증착법(iCVD)’으로 균일도가 높고 불순물이 적은 절연막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절연막은 쉽게 구부러질 뿐 아니라 10nm 이하의 얇은 두께에서도 무기물 소재 절연막 수준의 뛰어난 ... ...
식품첨가물 유화제 알고보니…
2015.03.09
나올 수도 있나…’라는 생각이 들어 검색해봤다. 다행히 이미지가 많았다. 고등학교 때
화학
을 열심히 공부하지 않은 사람들은 뿌연 물 같이 보이는 젖을 확대해 보면 이런 물방울(실제로는 기름방울)이 떠 있는 상태라는 게 놀랍게 보일지도 모르겠다. 이처럼 수용액에 미세한 기름방울이 떠 ... ...
[초대석] “세계 10大대학의 꿈, 8년 만에 달성 가능한 목표가 됐죠”
2015.03.09
졸업(석사) ▽1976년 미국 미주리컬럼비아대 생
화학
과 졸업(박사) ▽1971∼2003년 경상대 생
화학
과 교수 ▽1990∼1999년 한국과학재단 지정 식물분자생물학 및 유전자조작연구센터 소장 ▽2003∼2007년 경상대 총장 ▽2007년∼현재 UNIST 총장 ▽2014년∼현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 [화제의 뉴스] - 10 ... ...
이전
619
620
621
622
623
624
625
626
6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