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종"(으)로 총 4,249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2년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 ┃사스와는 다른 ‘중동의 사스’ 메르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는 중증 폐렴을 일으키는 동시에 동물과 사람 사이의 이종간 감염도 일으킨다. 메르스는 사스와 같은 코로나바이러스 계열이고,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때 나타나는 증상도 유사해 흔히 서로 비교된다. 그러나 두 바이러스 사이에는 엄연히 차이가 있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의 ... ...
- 2019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예측 어려운 신종 괴물의 출현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높은 6단계에 해당한다. WHO가 설립 이후 팬데믹을 선포한 건 1968년 홍콩독감과 2009년 신종플루에 이어 세 번째다. WHO의 6월 14일자 코로나19 상황보고서(Situation Report)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769만708명이 감염됐고, 이 가운데 42만7630명이 사망했다 ... ...
- 바이러스는 어떻게 생겨났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합쳐진 형태이거나, 아직 생각하지 못한 가설이 새롭게 등장할 수도 있다. 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기원이 각각 존재할 가능성도 있다. 작지만 복잡다단한 미스터리한 존재, 바이러스여 ...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사이토카인 폭풍이 일어나 스스로 위험해질 수 있다. 현재까지 박쥐의 몸속에는 최대 200종의 바이러스가 사는 것으로 알려져 ‘바이러스 저장고’라는 별칭을 얻었다. 이들 바이러스는 면역반응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완벽한 숙주의 몸속에서 끊임없이 돌연변이를 일으키며 언제든 인간에게 ...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않은 치료법에 대해 스스로 실험 대상이 되기를 원했던 것으로 알려졌다.한편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일으킨 상황에 대해 호프만은 2020년 3월 20일 프랑스 주간지 ‘파리 매치(Paris match)’와 인터뷰에서 인체 면역강화를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 ...
- 오가노이드, 동물을 살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뱀의 다양한 독 성분을 연구할 수 있도록 ‘뱀독 오가노이드 은행’을 만들 계획이야. 50종의 뱀에서 독샘 줄기세포를 채취하고, 오가노이드를 만들어 얼려두면, 뱀을 잡지 않고도 뱀독을 연구할 수 있겠지? 연구를 이끈 클레버스 그룹 리더는 “앞으로 이 은행을 이용해 뱀독을 해독하기 위한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6호
- (76p)☞바로가기2018년 김승규 인천대 해양학과 교수는 전 세계 16개국에서 생산되는 소금 39종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의 양을 조사했습니다. 소금 섭취량으로 환산해보니 1인당 연간 10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이상인 미세플라스틱을 2000개 정도 먹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네, ‘헉 ... ...
- 더워지는데, 등교하는데… 코로나19 언제 멈출까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등교 수업이 시작됐다. 백신과 치료제 개발이 아직은 요원한 상황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재확산과 집단 감염의 우려는 여전히 남아 있다. 끝날 듯 끝나지 않는 코로나19와의 전쟁에서 유일한 희망은 항체 형성밖에 없는 것일까. 코로나19와 관련해 남아있는 궁금증들을 ... ...
- [타이거킹: 무법지대] 호랑이가 반려동물이 될 수 없는 세 가지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가능성도 있다. 올해 4월 5일에는 미국 뉴욕시에 있는 브롱크스동물원에서 호랑이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다. 그리고 4월 23일 함께 생활하던 호랑이와 사자 등 7마리도 확진 판정을 받았다. 현지 언론은 코로나19 무증상 감염자 직원에 의해 바이러스가 전염됐을 ... ...
- [한페이지 뉴스] 뿌리 유전자, 식충식물에선 잎에서 발현돼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발현돼 곤충을 유혹하는 휘발성 물질을 분비하는 역할을 했다. 연구팀은 식충식물 3종의 유전자 수도 비교했다. 그간 식충식물은 새로운 영양 섭취 방식을 개발하기 위해 일반 식물보다 더 많은 유전자를 가졌을 것으로 예상됐다.하지만 대부분의 식물이 3만~4만 개의 유전자를 갖고 있는 반면,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