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종"(으)로 총 4,249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가노이드, 동물을 살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뱀의 다양한 독 성분을 연구할 수 있도록 ‘뱀독 오가노이드 은행’을 만들 계획이야. 50종의 뱀에서 독샘 줄기세포를 채취하고, 오가노이드를 만들어 얼려두면, 뱀을 잡지 않고도 뱀독을 연구할 수 있겠지? 연구를 이끈 클레버스 그룹 리더는 “앞으로 이 은행을 이용해 뱀독을 해독하기 위한 ... ...
- [Go!Go!고고학자] 늑도의 특이한 유물들, 어디서 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곳곳에서 화폐로 거래되었어요. 그런데 늑도에서 발견된 개오지는 따뜻한 바다에 사는 종으로, 한국에서는 잡히지 않아요.이와 함께 중국의 동전, 일본의 토기, 동남아시아의 상감 구슬 등 동아시아 전역의 유물이 발견되었어요. 이를 통해 고고학자들은 늑도가 약 2000년 전, 삼국시대의 국가들이 ... ...
- 더워지는데, 등교하는데… 코로나19 언제 멈출까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등교 수업이 시작됐다. 백신과 치료제 개발이 아직은 요원한 상황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재확산과 집단 감염의 우려는 여전히 남아 있다. 끝날 듯 끝나지 않는 코로나19와의 전쟁에서 유일한 희망은 항체 형성밖에 없는 것일까. 코로나19와 관련해 남아있는 궁금증들을 ... ...
- [과학동아 키즈] 네이처, 사이언스 표지도 제 손에서 탄생했어요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장면을 표지로 구현해야할지 디자인 구상이 머릿속에서 거의 실시간으로 이뤄진다. 종종 연구자가 제시한 것보다 더욱 기발한 장면이 떠올라 역으로 연구자에게 아이디어를 제시하기도 한다.이런 작업에는 어릴 적부터 과학동아에 수록된 기사를 읽으며 과학과 연관된 그림 그리기를 취미처럼 해온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6호
- (76p)☞바로가기2018년 김승규 인천대 해양학과 교수는 전 세계 16개국에서 생산되는 소금 39종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의 양을 조사했습니다. 소금 섭취량으로 환산해보니 1인당 연간 10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이상인 미세플라스틱을 2000개 정도 먹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네, ‘헉 ... ...
- 신상 콤부차 대해부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생육 조건을 맞추기 위해 특정 종을 사용한다”며 “시중에 파는 미생물에는 어떤 종이 포함됐을지 모를 가능성이 높은 만큼 제조 후 소량씩 먹고 이상이 없는지 확인부터 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 ...
- [제28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고개를 들어 하늘을 보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역할을 하고 있다. 한국 최초 우주인인 이소연 박사도 2008년 4월 11일간 ISS에 머물며 18종의 과학실험을 진행했다. ISS는 2024년까지 운용될 예정이며, 현재 연장 여부를 논의 중이다. 사진은 2019년 11월 11일 서울에서 달을 통과하는 ISS를 촬영했다. 윤관우·태양계 분야 동상 및 꿈나무상금환일식 201 ... ...
- 도심에서 발견된 여우, 너의 정체는?과학동아 l2020년 05호
- ※편집자주. 3월 29일 청주 도심에서 구조된 여우는 북미산 여우(north american red fox)인 것으로 4월 26일 최종 확인됐습니다. 북미산 여우는 캐나다, 미국 등 북미지역 ... (minimum viable population) : 자연계에서 한 생물집단이 인위적인 개입 없이 멸종하지 않고 살아갈 수 있는 최소 ...
- 코로나19,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모양이다. 이에 ‘왕관’이라는 뜻의 그리스어 ‘코로나(corona)’라는 이름이 붙었다. 7종은 번식력과 생존력 등이 서로 달라, 증상의 크기와 질병의 전파력도 다르다. 코로나19의 치사율은 사스보다 낮고, 전파력은 사스보다 높거나 비슷한 것으로 추정된다.코로나19의 주된 증상이 폐렴인 이유는 ... ...
- [과학뉴스] 티라노사우루스과 새 공룡 종(種) ‘저승사자’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종이라고 분석했답니다.캘거리대학교 달라 젤레니츠스키 공룡학자는 “우리는 이 종이 서식했을 당시 가장 크고 힘이 센 최상위 포식자일 것으로 본다”면서 “학명은 ‘저승사자’라는 뜻을 담아 ‘타나토테리스테스 데그루토룸’(Thanatotheristes degrootorum)이라고 지었다”고 말했어요. 이 때문에 ... ...
이전6061626364656667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