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행성 에로스 미스터리 둘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찍은 소행성 표면 사진은 과학자들의 많은 기대를 모았다. 이에 대한 분석 결과가
지난
9월 27일 네이처에 실렸다.에로스 표면 사진을 보면, 돌조각과 작은 암석, 그리고 다른 암석 파편으로 덮여있다. 어떻게 질량이 적은 소행성에 이들이 남아있을 수 있었을까. 소행성은 중력이 약하기 때문에 어떤 ... ...
03 암세포 침투로 막는 한방 항암물질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체질에 맞도록 산자고, 의이인, 해마 등의 약재를 추가시켜 앤지옴을 개발했다. 앤지옴은
지난
3월 국내에 특허등록된 암 관련 국내 최초의 한약처방이다. 현재 미국 등에서도 특허를 출원중이다.서양 연구 결과와 동일한 유효성분앤지옴은 어떻게 암 전이를 막을 수 있을까. 암은 여러 복잡한 단계를 ... ...
제4회 컴퓨터창의성대회 시상식 거행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출전하는 학생도 종종 눈에 띈다. 고등부 은상을 수상한 서울 석관고의 정용민 군은
지난
해 출전했다가 본선까지 진출했지만 수상하지는 못했다. 이를 아쉬워한 정군은 올해 다시 재무장해서 은상을 거머줬다. 초등 고학년부 금상을 수상한 최효은 양은 이번 출전이 3번째다. 현재 ... ...
우리나라 강물 근원지 오염 적신호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할 강물의 출발 지점에서도 환경오염의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 아주의대 장재연 교수는
지난
9월 25일 개최된 영인과학의 25주년 세미나에서 ‘한반도 근원수 분석’이란 주제로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발표했다.장 교수는 한강의 검룡소 등 남북한 6개 강이 시작되는 발원지와 백두산 천지, 한라산 ... ...
마늘은 감기 특효약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마늘이 감기를 예방하고 회복을 촉진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지난
10월 3일 보도했다. 이번 연구의 주인공은 영국 이스트 서식스에 소재한 마늘연구센터의 피터 조슬링 박사. 연구팀은 알리신 보충제인 알리맥스로 실시한 실험을 통해 이 사실을 확인했다. 알리신은 마늘의 ... ...
02 백혈병 치료제 글리벡 만능인가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국내의 보험료를 담당하고 있는 국민건강보험재단의 재정이 바닥났기 때문이다. 정부는
지난
6월말부터 바닥난 재정을 메우기 위해 금융기관을 통해 매달 3천여억원을 빌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사정 때문에 의료계 한편에서는 정부의 정책 실패로 인해 하루하루가 급한 백혈병 환자만 피해를 ... ...
대규모 유성비 11월 19일 새벽에 쏟아진다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바로 사자자리 대유성우의 원인이 된다.유성우의 예측은 대단히 어렵다. 가까운 예로
지난
1998년 우리나라에서 사자자리 유성우는 시간당 1만개 이상으로 예측됐다. 하지만 당시 우리나라에서는 실망스럽게도 시간당 약 3백개 가량에 불과했다. 또 의외로 예상보다 약 17시간이나 빨리 우리나라가 ... ...
방랑자 혜성의 진면목 최초 포착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신기술을 테스트하는 탐사선 딥스페이스에 어울리는 도전 대상이라 할 수 있었다. 이는
지난
2월 최초로 소행성에 착륙하는 미션을 성공시켰던 탐사선 니어-슈메이커의 경우와 비슷한 도전이었다. 원래 니어-슈메이커는 소행성 에로스 둘레를 돌면서 소행성을 탐사하는 일이 주목적이었다 ... ...
손바닥 위에 세워진 첨단 실험실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지금까지 노벨상 수상자들을 살펴보면 새로운 관측기구를 개발한 사람들이 많다.
지난
10년 간 분석기술의 소형화는 생의학 분석화학의 주된 연구분야로 자리잡아 왔다. 다양한 시료와 시약을 작은 단위로 처리, 분석이 가능한 초소형장치를 개발하는 일은 많은 과학자의 관심을 일으켰다. 몇몇 ... ...
Ⅱ 21세기 첫 노벨상 수상자들 : 생리·의학 - 세포분열 조절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이 단계가 순차적으로 조화롭게 이뤄져야만 가능하다.세포분열의 ‘엔진’과 ‘기어’
지난
30년 간의 세포분열 메커니즘 연구는 주로 효모를 모델로 세포분열 과정에 이상이 생긴 돌연변이를 찾고 그에 해당하는 유전자를 분리해 규명하는 분자유전학적 접근 방법이 주를 이뤘다. 1964년 MIT에서 ... ...
이전
639
640
641
642
643
644
645
646
6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