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10월 8일 새벽 토성이 달 뒤로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만나보자.1분도 안되는 천문현상우리나라에서 제대로 관측이 가능했던 토성식은
지난
1997년 가을에 있었다. 올해의 토성식은 약 4년만에 다시 일어나는 것이다. 1997년 바로 이전의 토성식은 그보다 23년 전인 1974년에 있었다. 그만큼 진기한 천문현상이다.10월 8일 새벽 토성식이 일어나는 시각의 토성 ... ...
가을비처럼 쏟아지는 별똥별 잔치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6년마다 지구 궤도에 가깝게 지나간 직후에는 훨씬 많이 떨어진다. 쟈코비니-지너혜성은
지난
1998년에 지구에 가까이 왔다. 올해는 이 혜성의 접근기가 아니지만 별똥별 잔치가 벌어질지도 모른다.10월 중순에 접어들면 오리온자리 유성우가 10월 15일-11월 2일까지 활동한다. 활동 극대기는 10월 2 ... ...
2 활용 : ② 탄소나노튜브와 원자현미경의 찰떡궁합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쓰는 전자소자의 크기는 단지 몇개의 원자크기로, 즉 나노미터(1nm=${10}^{-9}$m)로 줄어들어,
지난
세기를 주름잡았던 마이크론 디바이스는 나노 디바이스에 지위를 넘겨줄 것으로 예측된다.그러나 디바이스의 최소 소자 크기가 광학적 한계인 수백nm 이하가 되면 기존의 반도체공정의 광학적 방법은 ... ...
원숭이인간과 기계인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볼 수 있다.문화는 진화한다. 과거부터 지금도 수많은 문화가 탄생했다. 어떤 것은 철
지난
유행처럼 금새 사라지고, 어떤 것은 다양한 모습으로 변해 그 명맥을 유지한다. 그런 문화적 유전자를 뜻하는 신조어가 바로 밈이다. 밈은 모방을 뜻하는 그리스어 ‘mimeme’으로부터 리처드 도킨스가 새롭게 ... ...
진공청소기 발명 1백년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이런 청소부 로봇이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우리기술이라는 벤처기업이
지난
5월 공동 개발한 홈로봇 ‘아이작’은 진공청소기를 갖추고 있다. 주인이 “청소해”라고 명령하면 스스로 먼지나 과자 부스러기를 빨아들인다. 요즘에는 마루에서 “안방을 청소해”라고 명령하면 안방을 ... ...
천혜의 생태계 민통선 희귀식물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단어다. 민통선지역은 민간인통제선 북방지역(CCZ, civillan control zone)의 약자다. 말 그대로
지난
50여년 동안 민간인의 출입이 통제된 지역이다. 물론 일부 지역에서는 농사도 짓지만, 많은 곳이 비무장지대(DMZ)와 마찬가지로 지뢰로 덮여있다. 민통선지역은 민족상잔의 비극적인 전쟁으로 잉태된 ... ...
역사 속 과학자들의 기괴한 행동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하더라도,지금 우리의 상식을 벗어난 사람도 많다.현재 과학문명을 이룩하기까지 노력한
지난
시대의 엽기과학자들을 만나보자.에라토스테네스(기원전 276년경-194년경)는 처음으로 지구의 둘레를 계산해 유명한 그리스의 천문학자다. 그는 이 연구를 위해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와 시에네라는 ... ...
② 10만 단백질 군단 정체 규명에 도전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생김새, 즉 분자 구조를 안다는 것은 그 단백질을 이해하기 위한 첫 단계다.
지난
2월 인간게놈프로젝트의 결과로 밝혀졌듯이, 인간의 유전자수는 약 3만개 정도다. 현재까지 알려진 인간의 단백질 종류가 10만여개임을 감안하면 예상보다 훨씬 적은 수다. 이는 유전자 하나가 단백질 하나로 일대일 ... ...
물리학자는 왜 대칭성에 주목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한국의 연구자들이 대거 벨 실험에 참여했다.두그룹은 1999년부터 실험을 시작했고
지난
7월에 각각 B중간자의 붕괴에서 CP대칭성 깨짐 현상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정확히 말하면 B중간자와 반B중간자가 특정한 붕괴모드로 붕괴하는 시간 분포가 비대칭이라는 것을 측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로서 4 ... ...
전기의자로 촉발된 직류 · 교류 전쟁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발명왕’이다. 에디슨의 공헌은 1998년 미국의 시사 월간지 ‘라이프’지가 선정한 ‘
지난
1천년의 세계사를 만든 1백대 인물’ 중에서 1위를 차지했다는 점으로 알 수 있다. 이렇게 인류에게 커다란 공헌을 한 에디슨은 왜 노벨상을 타지 못했을까.2번이나 놓쳐버린 노벨상에디슨은 노벨상을 ... ...
이전
641
642
643
644
645
646
647
648
6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