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2001년 과학축제 쌍두마차 대한민국과학축전 ·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방문자들에게 과학적인 원리를 설명한다. 체험 속에서 과학이 녹아드는 순간이다.
지난
7월 31일부터 8월 5일까지 코엑스에서 열린 제5회 대한민국과학축전(주관: 과학문화재단)의 현장이었다. 레이저 총으로 표적 맞추기2001년 대한민국과학축전은 생명공학의 해를 기념해 마련한 생명과 과학, 각종 ... ...
가을밤에 만나는 밤하늘의 기준점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현재 화성은 망원경 상에서 약간 찌그러진 원반 모습으로 크기는 가장 크게 보였던
지난
6월의 절반 정도에 불과하다. 현재 겉보기지름은 11″이며 밝기는 0등급대다. 망원경으로 보면 이미 한쪽이 일그러진 모습이 나타난다. 화성의 표면을 보기엔 이미 늦어버린 시간이지만 맨눈으로 다른 별자리와 ... ...
스스로 사이보그가 된 과학자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있다. 심지어 영국에서는 ‘익살광대’나 ‘미디어의 매춘부’로까지 불리는 형편이다.
지난
해 12월 워릭 교수가 영국 왕립연구소의 크리스마스 강연을 하자 과학계가 한바탕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크리스마스 강연은 1825년 패러데이가 크리스마스 휴가 중에 아이들을 위해 즐겁고 재미있는 ... ...
다이아몬드보다 물을 소중히 여기는 환경공학자 박종문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작업을 통해 문제점을 보완하고 실제로 작은 규모로 만들어 반응기를 동작시키는
지난
한 작업이 이뤄졌다. 여기서 모든 것이 끝난 것은 아니다. 실제로 폐수처리 현장에서 사용되는 90t 규모의 반응기에서는 실험실에서 작게 만들어본 반응기와는 또다른 문제점이 드러났다. 이런 과정을 거쳐 실제로 ... ...
미국 인간 배아줄기세포 지원 의미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가운데 정부는 최근 줄기세포에 대한 연구지원을 확대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지난
6월 보건복지부는 중문의대 정형민 교수팀의 ‘줄기세포 분화를 통한 세포대체요법의 확립과 인공장기의 개발’ 연구과제에 대해 연간 3억원씩 4년간 총 12억원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정 교수는 이번 연구과제 ... ...
Ⅳ 사인 감독과 주자 그들만의 언어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신호를 보낸 뒤, 다시 불펜포수에 중계해 타자에게 공의 구질을 전달했다는 것이다.
지난
6월 일본에서는 긴테스 버팔로즈가 기록원과 짜고 사인을 훔쳤다고 해서 징계를 받기도 했다.사인 훔치기. 실력 이외의 요소로 상대편을 이기려는 행동은 비도덕적이라는 비난을 받을만하다. 그렇다면 사인 ... ...
여성이 남성보다 뛰어난 6가지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전역으로 퍼져나가는데 남성보다 여성의 공헌이 크다는 얘기다.6. 돌연변이 많은 남성
지난
2월 12일 발표된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주요 성과 중 하나는 돌연변이 빈도에 관한 내용이다. 돌연변이란 유전자의 염기서열이 바뀌면서 생기는 다양한 변이를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개체의 생존에 불리한 ... ...
③ 생체실험 그만, 디지털 가상세포 맹활약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질병을 유발하는 원인 단백질·유전자를 발굴하는 일이 가능해진다.필자의 연구실에서는
지난
5월 바이오인포매틱스(주)와 함께 맨하이미아균에 대한 가상세포의 초기형태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맨하이미아균은 소의 반추위(되새김질하는 위)에서 발견한 신종 발효균으로, 식품첨가물과 공업용 ... ...
태양에너지 먹고 움직이는 로봇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히페리온이라 이름 붙여진 이 로봇은 미항공우주국(NASA)의 지원을 받아 개발됐으며,
지난
7월 말 캐나다 노스웨스트주의 데번섬에서 현장 실험을 성공리에 마쳤다. 이 로봇은 24시간 동안 탐사 실험을 수행했으며, 충분한 태양에너지를 공급받기 위해 각각의 태양전지판이 태양을 추적하면서 회전할 ... ...
④ 세계 과학자 공유하는 생명의 데이터베이스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연구는 한둘이 아니다. 분자생물학과 컴퓨터기술이 어떻게 결합했는지, 생물정보학이
지난
역사 속에서 걸어온 길을 살펴보자.프로그램 언어 포트란의 활약1960년대 초에 왜 컴퓨터계산생물학이 출현했을까. 당시 단백질을 이루는 아미노산의 배열순서에 대한 정보가 축적되면서 생물학자들은 ... ...
이전
642
643
644
645
646
647
648
649
6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