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 너의 목소리가 들려 죄수의 딜레마로 범인을 밝혀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딜레마 다음으로 잘 알려진 게임구조로 ‘치킨 게임’이 있다. 원래 이 용어는 1950년대 미국에서 유행하던 자동차 게임이름을 따온 것으로, 자동차 게임의 상황은 다음과 같다.A와 B라는 두 사람이 있다. 두 사람은 각자 차를 몰고 있고, 상대방을 향해 돌진하고 있다. 이때 충돌하기 직전에 운전대를 ... ...
- 우주 시작점의 빛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이상 뛰어나, 전 우주가 막 태어났을 무렵 만들어진 가스까지 찾아낼 수 있지요.알마는 미국, 유럽, 일본 등 우주 과학 선진국들이 주축이 돼 1조 원 이상을 투입한 대형 프로젝트로, 우리나라도 참여하고 있답니다. 7년 뒤에는 알마 옆에 거대한 ‘마젤란망원경’도 세워질 예정이에요. 우주로 향한 ... ...
- 자동차와 달팽이의 대결, 누가 이길까? 터보수학동아 l2013년 08호
- 내구레이스와 함께 꼽히는 세계 3대 레이싱 대회다. 인디 500이 열리는 인디애나폴리스는 미국 동부에 위치한 인디애나주의 주도로, 이곳은 포드가 처음으로 자동차를 만든 곳이기도 하다.인디 500은 ‘인디애나폴리스 모터 스피드웨이(IMS)’라고도 불리는데, 4.03km인 코스를 200바퀴 돌아야 한다. 약 80 ... ...
- [생활] 변덕쟁이 날씨를 예측한다! 기상 통계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줄도록 했어요. 그 결과 전보다 매출이 30%나 늘었어요.3. 날씨 금융상품도 있다?!1997년 미국의 C전기 공급회사는 전세계 최초로 날씨와 관련된 금융 상품을 개발해 거래했어요. C회사는 8월 한 달간 기온이 예상보다 낮으면 그 정도에 따라 전력을 일정 금액만큼 할인받고, 그렇지 않으면 기존보다 ... ...
- [W5 코드 브레이커] 새로운 암호를 등장시킨 컴퓨터의 발전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전세계에 손꼽힐 정도로 최첨단 기술이 필요했어요. 게다가 만들기 위한 비용도 비싸서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에나 고작 몇 대가 있었을 뿐이에요. 하지만 1950~60년대를 거치면서 컴퓨터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했고, 70년대에는 드디어 개인용 컴퓨터까지 개발되었지요. 그리고 이렇게 대중에 ... ...
- Part 3. 바이러스는 어디서 왔는가?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사실이다. 인류와 바이러스의 전쟁은 앞으로 더 치열해질 것이다.정용석_ysjeong@khu.ac.kr미국 텍사스-오스틴대에서 바이러스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하버드의대에서 수학후 지금까지 경희대 교수로 재직중이다. 다양한 RNA 바이러스의 분자생물학을 연구하며 현재 ... ...
- 이제는 네발로봇 세상!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를 내세운 카네기 멜론대 팀 ▲네발로 엉금엉금 기는 ‘로보시미안(RoboSimian)’을 선보인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 ▲로봇 ’발키리(Valkyrie)’를 내세운 NASA 존슨우주센터 ▲일본의 산업용 두발 로봇을 개조해 재난구조용 로봇 스차프트(SCHAFT)를 개발하고 있는 기업 스차프트가 꼽혔다.DARPA ... ...
- [life & Tech] 물과 불과 시간이 만든 돌의 정원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별을 바라보는 건 일생의 추억이 될 것이다.홍인수_iaminsu@gmail.com지리학 전공으로 현재 미국 애리조나주립대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고양이와 함께 살고 있으며, SF를 좋아해 몇 권의 책을 번역하기도 했다 ... ...
- UNIST의 힘은 세계 최고의 교수진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및 대학원의 모든 강좌는 100% 영어로 진행된다. 국내 대학 중에서는 유일한 사례다. 또한, 미국 조지아공대, 미시간대 등 17개국의 50여 개 대학 및 기관과 공동연구를 통해 학부생부터 글로벌 역량을 키워나갈 수 있다. 앞으로는 외국인 교수와 학부생을 전체 정원의 20%까지 늘릴 계획이다.학습을 ... ...
- 의학 - 물리학자가 암 정복에 도전을?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정복에 도전을?물리학자가 암에 도전장을 내놨다. 물리학자이자 우주론자인 폴 데이비스 미국 애리조나주립대 교수와 찰스 라인위버 호주국립대 교수는 최근 지금까지와 다른 방식으로 암을 바라봐야 한다고 주장했다.암은 세포 안에 뿌리박힌 ‘고대의 유전 프로그램’으로 그 기원이 수십억 년 ... ...
이전6406416426436446456466476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