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왓슨과 크릭도 상상 못한 DNA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자란 나무에서 겨우 환자 한 명을 1년 동안 치료할 수 있는 양 밖에 얻을 수 없거든요.
미국
캘리포니아버클리대학교의 제이 키슬링 교수팀은 유전자를 변형시킨 대장균이나 효모를 이용해 말라리아 치료제를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방법을 찾아냈어요. 이렇게 만든 치료제를 아프리카에 공급하고 ... ...
수학과 세상의 경계를 넘나든 수학자 스티븐 스메일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스티븐 스메일은 1966년 ‘푸앵카레의 추측’ 문제를 5차원 이상에서 해결한 업적으로 필즈상을 받았다. 당시 그의 나이는 36세였다. 여기까지 보면 인류 역사상 종종 등장하는 ... 방식에 구속되지 않은 담대함으로 새로운 방식과 틀을 만들어 수학문제에 접근한다." _
미국
수학회 소식지 ... ...
[체험] 정육면체와 정팔면체의 합체! 자이로스코프 만들기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개발해 선보였다. 당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을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도 사랑받고 있어,
미국
장난감의 고전으로 여겨진다.아하! 실험 플러스 정팔면체 자이로스코프의 수학적 성질실험에 소개된 정팔면체 자이로스코프는 정팔면체를 응용하여 만든 것으로, 그 안에 정육면체를 끼워 넣은 모양이다. ... ...
추락하는 비행기에서 살아남으려면?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작동하지 않았다면 원인은 기체 결함일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7월 11일 데보라 허스먼
미국
연방교통안전위원회(NTSB) 위원장은 “비행기록장치를 조사한 결과 자동속도조절장치는 정상적으로 작동했다”라고 발표했다. 조종사의 과실 쪽에 무게를 두는 발언이었다. 허스먼은 “자동속도조절 ... ...
천문학 - 해왕성의 잃어버린 막내 찾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중에서 가장 작다.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어두운 별의 1억 분의 1 정도 밝기다. 그래서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보이저 2호가 1989년 해왕성을 스쳐 지나가면서 고리와 위성을 조사했을 때도 발견되지 않았다.우연한 발견이었다. 쇼월터 박사는 무심코 해왕성의 고리 바깥쪽 영역 쪽으로 조사 범위를 ... ...
빙하가 물러나면 자주범의귀가 핀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아직 관측이 부족 하거든요.극지연구소에서는 북극 다산과학기지를 포함하여 최근
미국
알래스카, 캐나다 캠브리지 베이에 온실가스의 방출 또는 흡수를 감시할 수 있는 관측 장비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어요. 연구팀은 앞으로 관측지를 그린란드와 시베리아로도 확장할 계획이라고 해요. 연구팀은 ... ...
아이를 때리면 안 되는 과학적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어린이가 받은 학대가 다음 세대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과학으로 밝혀졌어요.
미국
하버드 보건대학교 안드레아 로버츠 박사팀은 어린 시절에 신체, 정신적 학대를 심하게 받은 사람은 성인이 되어 자폐증 자녀를 낳을 확률이 높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연구팀이 25~44세 여성 5만 명을 분석한 ... ...
다섯 가지 과학을 입으면 IRON MAN 으로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독거노인을 살필 수도 있어. 심전도와 호흡, 체온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거든.
미국
비보메트릭스 사에서 만든 라이프셔츠는 건강에 이상이 생기면 센서가 병원으로 정보를 전송해 의사에게 알려 준단다. 환자에게 위급한 상황이 닥치면 바로 알 수 있지. 또 라이프셔츠에는 동작을 감지하는 ... ...
퍼즐로 놀았더니 수학 점수가 쑥!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간단한 도형 맞추기 퍼즐을 시켰더니 산수 실력이 같이 좋아졌다는 연구결과를
미국
‘인지발달학술지’에 발표했다.믹스 교수는 평균 만 7세 학생 34명을 대상으로 연구했다. 이를 위해 사전 테스트를 통해 산수 실력과 공간지각력, 그리고 공간지각력 중에서도 회전 능력을 별도로 확인했다. ... ...
이영돈 PD의 수학 먹거리 X파일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사실을 알아낸다. 이를 ‘케플러의 가설’이라고 한다. 케플러의 가설은 1998년
미국
의 수학자 토머스 헤일스가 컴퓨터를 활용해 증명했다.결국 우유병들을 효율적으로 채우려면 49개 이상일 때부터는 정육각형 방식으로 채워야 한다 ... ...
이전
641
642
643
644
645
646
647
648
6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