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스페셜
"
뇌
"(으)로 총 87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신경세포 분류학 시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3
분석했다. 이를 바탕으로 신경세포 종류를 새로 분류한 것이다. 타직 연구원은 “
뇌
속 신경세포 연구 중 가장 포괄적으로 진행된 작업으로 15년의 걸친 분석 작업의 결과”라며 “각각의 세포가 특정 위치에 왜 존재하는지 등을 추가로 연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 비타민을 아시나요
2018.10.31
그물버섯)에 많이 들어있다. ESH는 인체의 거의 모든 조직에 존재하는데, 특히
뇌
와 골수, 수정체, 각막, 적혈구에 높은 농도로 분포한다. ESH는 강력한 항산화제로 심혈관계질환을 예방하고 손상된 조직을 보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음으로 이름도 복잡한 피롤로퀴놀린 퀴논(pyrroloquinoline quinone, ... ...
[표지로 읽는 과학]위장술 끝판왕 갑오징어
뇌
를 연구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0
교수는 “
뇌
의 패턴 변화에서 피부색의 패턴을 유추하는 기존 방법이나 피부 변화에서
뇌
의 변화를 역추적하는 방법 모두 중요하다”며 “이를 상호 보완하면 갑오징어의 위장술에 대해 보다 명확히 규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
2018.10.02
유전자 146개, 기저전
뇌
에서 유전자 33개가 차이를 보였다. 전전두피질과 기저전
뇌
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비롯한 정보를 처리하는 곳으로 여러 신경전달물질이 관여하고 있다. 이 가운데 길들인 동물에서 보이는 쾌활하고 싹싹한 성격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는 쾌락중추에 작용하는 도파민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울트라디언 리듬을 알면 삶이 편해진다
2018.09.26
CRH)을 분비한다. CRH는 바로 밑
뇌
하수체로 이동하고 이 신호를 받은
뇌
하수체는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을 분비한다. 부신에 도착한 ACTH는 코르티솔 분비를 촉진한다. 따라서 실방핵의 칼슘 농도가 울트라디언 리듬을 보인다는 게 부신의 호르몬 분비가 울트라디언 리듬을 보이는 원인이 될 수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보였다”고 쓰고 있다. 이어서
뇌
염후파킨승증과 진행성핵상신경마비 환자의
뇌
슬라이드를 보여준 스틸은 “이것들 알츠하이머병에서 볼 수 있는 신경세포 엉킴과 아주 비슷하다”며 “어쩌면 이 엉킴에 신경계퇴행에 관한 중대한 단서가 들어있는 것인지 모르겠다”는 말을 한다. 20여 년이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사람형 FOXP2를 지닌 생쥐는 초음파 영역에서 내는 ‘찍찍’거리는 소리가 바뀌었고
뇌
기저핵 부분의 신경회로가 변화됐다. 사람형 FOXP2를 지닌 보노보의 발성기관 구조가 바뀌어 앵무새 수준으로 발음할 수 있게 된다면 칸지 정도의 의사소통능력을 지닐 경우 어떤 말을 할까. 아마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남성은 평균 10%이고 여성은 20%로 영장류보다 훨씬 더 높다. 에너지를 많이 먹는 큰
뇌
를 유지해야 하고 사냥같이 체력을 소진할 활동이나 굶주림에 대비하기 위해 에너지를 비축할 수 있게 진화한 결과다. 여성은 수유 등 육아 때문에 추가로 더 필요하다. 수렵채집인이야 체지방을 양껏 저장할 ... ...
[팩트체크] 옥중단식·수사압박으로 알츠하이머병 걸릴 수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8.27
사건으로 알츠하이머병에 걸렸다’고 할 순 없다”고 잘라 말했다. 김지은 이화여대
뇌
인지과학과 교수도 “PTSD가 알츠하이머병을 악화시킬 순 있어도 유발한다고 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PTSD 환자들도 기억력 감퇴 등 인지기능 저하 증세를 보이지만 이는 일시적인 현상일 뿐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활성화시킬 수 있을까. 가장 확실한 방법은 저온에 노출시키는 것이다. 추위를 느끼면
뇌
는 교감신경을 통해 갈색지방조직으로 신호를 보내 열생성 반응을 일으키라고 명령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매개하는 게 갈색지방세포 표면의 베타-아드레날린수용체다. 따라서 이 수용체를 자극하는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