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스페셜
"
뇌
"(으)로 총 87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운동만 해서는 절대 살 못 뺀다!
2017.06.13
1분에 60~70회씩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고 신장은 24분 주기로 온 몸의 피를 걸러내고 있다.
뇌
는 우리가 아무리 ‘멍 때리고’ 있을 때라도 전체 칼로리 소모량의 20%를 쓰고 있다(디폴트모드네트워크가 돌아가고 있다고 말한다). 그렇더라도 어쨌든 운동을 하면 그 양에 비례해 여기서 추가로 칼로리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면역계가 우리 몸을 낯설게 느낄 때 일어나는 일들
2017.05.24
이 약물의 신호가 미주신경을 통해 몸 전체로 전달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미주신경은
뇌
와 몸 곳곳을 연결하는 신경계로 심장박동과 호흡, 장운동 등 불수의(의지와 무관) 기능을 담당한다. 트레이시 박사는 약물이 아니라 미세한 전류를 일으키는 장치를 미주신경에 부착해 자극을 주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
2017.04.18
따라서 풍미의 개인차는 냄새수용체나 맛수용체 유전자의 차이 또는 해당 정보를
뇌
에서 처리하는 경로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실제 유전자의 서열을 비교한 결과 개인에 따라 차이가 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전자 염기서열의 차이인 단일염기다형성(SNP)이 광범위하게 존재한다. 만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수록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
2017.04.11
3단계와 4단계인 깊은 잠의 특징은 서파(진동이 느린
뇌
파)의 비율이 높은 것인데
뇌
에 경두개자극(tDCS)을 줘 서파의 비율을 높일 경우 숙면의 효과를 낸다는 연구결과를 소개하는 수준이다. 앞으로는 지금까지 기초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나이든 사람의 잠의 질을 높여주는 연구가 본격적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
2017.03.21
피로해졌을 때 이를 회복시키는 작용을 한다. 일을 많이 하면 피곤하고 졸리는 것도
뇌
세포에 아데노신 농도가 높아진 결과다. 뉴런의 아데노신 수용체에 달라붙어 이런 작용을 방해하는 물질이 바로 카페인이다. 커피를 먹으면 한동안 정신을 말똥말똥해지는 이유다. 문득 의지보다는 몸 속 ... ...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
2017.03.14
측정한 인류의 두개골 가운데 가장 길다. 또 다른 두개골인 ‘쉬창 2’는 뼈가 부족해
뇌
용량을 계산할 수 없는 상태이지만 적어도 네안데르탈인 수준은 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이렇게 머리가 큰 사람들은 누구인가. 두개골 모양을 보면 먼저 네안데르탈인처럼 눈 위의 뼈가 툭 튀어 나온 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
2017.02.28
기능)을 이루기 위해 다른 수단(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게 아주 흔한 일이라는 것이다.
뇌
세포를 다 합쳐봐야 100만 개도 채 되지 않는 곤충이지만 이를 어떻게든 활용해 얼굴 인식 능력을 획득한 것이다. 결국 진화계통수로 인지능력을 판단하는 오류를 범해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미국 중서부에 ... ...
[사이언스 지식in] 치매 왜 생기는 걸까? ... 흔들리는 알츠하이머 원인의 정설
동아사이언스
l
2017.02.20
개발해 임상 시험을 진행했습니다. BACE1이 베타-아밀로이드를 만들 수 없게 만들어
뇌
세포 손상을 막겠다는 계획이었지만 특별한 치료효과를 보지 못했지요. 이에 자료모니터링위원회에서 “임상적으로 긍정적 소견을 도출할 수 없다”는 의견을 내며 3차 임상시험을 중단하기에 이르렀습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털과 땀샘의 음양이론
2017.02.07
진화하기가 어려웠을 것”이라며 “약 100만~300만 년 전 영장류(인류의 조상)의
뇌
가 커지기 시작할 때 털이 빠지고 외분비샘(땀샘)이 생겼다”고 설명했다. ‘털 없는 원숭이’라는 제목의 책도 있듯이 모피가 사라지고 땀샘이 생긴 게 인류 진화의 원동력임은 알고 있었지만 둘이 맞물린 현상이라는 ... ...
완벽한 인공지능구현, '기초과학 연구'가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17.02.03
같은 신축성을 지원한다. 이영희 단장은 "앞으로 터널링 메모리를 시냅스로 사용해
뇌
세포의 신호 전송 방식을 그대로 모방한 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이라며 "후속 연구가 완성되면 스마트폰과 같은 작은 디지털기기에서 알파고와 같은 AI 기능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력 소비와 발열은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